반응형

엊그제가 천이백슬라
어제가 천슬라같은데
팔백슬라라니...

머스크 형이 세금 낸다고 테슬라 팔고(최대 주주 리스크), 테이퍼링+금리 때문에 조정 받는 장이라고는 하지만!
포트폴리오의 가장 큰 부분이 테슬라여서 뼈 아픈 상황이에요.

개인적으로 테슬라는 오를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기 때문에!
매수 포인트로 삼으려고 하는데..
추매 하려다가 평단가 올라가는게 너무 맘이 아프고!
서브 계좌에 넣을까 하기엔 1주가 너무 비싸서 고민 중인 저에게 딱 맞는 상품을 발견했으니..!

반응형

삼슬라 내돈 내산 투자 후기 확인하기

테멘

 


통합본으로 내용 확인하기

 

삼슬라 : 테슬라 3배 레버리지 (TSL3) 최종 정리

삼슬라 정리 삼슬라 : 테슬라 3배 레버리지 (TSL3) 엊그제가 천이백슬라고 어제가 천슬라같은데 팔백슬라라니... 머스크 형이 세금 낸다고 테슬라 팔고(최대 주주 리스크), 테이퍼링+금리 때문에

fire-programmer.tistory.com

3배 레버리지 상품, 어떤걸 선택해야 유리할까?

 

3LTS TSL3 차이점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어떤걸 사야하나?)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차이점 이 궁금한 이유는 어떤 걸 살지 결정하기 위함이겠지요?! 하나씩 알아가보자면 1. 삼슬라란? 테슬라의 3배 레버리지 aka.삼슬라 즉, 테슬라의 주식이 5%오르면 -> 3배 레

fire-programmer.tistory.com

삼슬라 투자 후기

 

삼슬라(TSL:테슬라 3배 레버리지) 투자 후기

삼슬라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전에 작성한 아래 글에서 확인! 삼슬라 : 테슬라 3배 레버리지 (TSL3) 엊그제가 천이백슬라고 어제가 천슬라같은데 팔백슬라라니... 머스크 형이 세금 낸다고 테슬라

fire-programmer.tistory.com

 

 

삼슬라(TSL3 : 테슬라 3배 레버리지) 투자 성공기

이전 글 내용정리 삼슬라(TSL3 : 테슬라 3배 레버리지) 투자 후기 part.2 삼슬라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전에 작성한 아래 글에서 확인! 삼슬라 : 테슬라 3배 레버리지 (TSL3) 엊그제가 천이백슬라고 어

fire-programmer.tistory.com


1. 삼슬라란?

테슬라 3배 레버리지 이름하야 삼슬라!
티커는 TSL3 이고, 미국이 아닌 영국에서 상장 되어있는 ETF랍니다
정확한 이름은 Leverage Shares 3x Tesla ETP

2. 상세 설명

사실 ETF라고는 하나 그냥 테슬라를 3배로 추종하는 상품이라 크게 설명할 점은 없네요
테슬라를 간단히 설명하면
배터리나 자율주행 산업도 선도하고 있는 전기차의 대장주입니다.
게다가 머스크의 다른 프로젝트들(스페이스X, 스타링크, 도지코인..?)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 주식입니다

테슬라의 가장 큰 강점이자 약점머스크
내년엔 제발 가만히 있어줘 트위터 금지

3. 특장점

  • 가장 큰 특징은 역시 3배 레버리지 => 수익도 손실도 3배!!
  • 영국에 상장된 상품이라 현재 매매 가능한 증권사는 삼성증권 뿐!

4. 나의 생각

결국 장기적으로 테슬라는 무조건 오른다
단기적으로 봐도 800슬라는 과도한 조정이다
1000이하라면 그래도 꽤 매력적인 포인트다

결론
크지 않은 금액으로, 과하게 조정 받은 지금 좀 사서 재미를 보는것도 훌륭해 보임

5. 추세

글을 쓰고 있는 지금, 가뿐히 900슬라 안착..
그래도 아직 1000이하는 살만해 보인다



끄읕!

 

반응형
반응형

삼성자산 운용(KODEX)이 국내 최초로 나스닥 100 지수를 2배(레버리지)로 추종하는 ETF와 -1배(인버스)로 추종하는 ETF를 12월 9일에 상장했다고 합니다.
기존에도 나스닥 100에 2배(레버리지) 혹은 -1배(인버스)로 투자하는 상품이 없었던 건 아닙니다만..
여태까지는 ETF와 비슷한듯 다른 ETN이었고, ETF로서는 처음으로 상장했다고 하네요

1. KODEX 미국 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 H)란?

삼성자산 운용이 국내 최초로 나스닥100지수를 2배로 따르는 ETF를 출시했고
정확한 이름은 KODEX 미국 나스닥 100 레버리지 (H)’입니다

2. 나스닥 100 지수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가장 큰 100개의 대기업 (금융 기업 제외) 을 모아 만든 지수입니다.
미국에서는 QQQ라는 ETF가 추종하는 지수로 유명하죠.
QQQ가 궁금하시다면 여기에서 확인

정리하자면
나스닥 100 지수
=
미국 100대 기업 (금융 제외)
=
QQQ (미국 상장 ETF)

그리고 이번에 나온 ETF가 QQQ를 2배로 추종하는 QLD한국판인 셈이죠

3. 특장점

  • QLD (나스닥 100 지수를 2배로 추종)
  • 연 0.3%의 낮은 운용비 (미국 ETF 대비 1/3)
  • 환전 불필요
  • 낮시간 거래 가능

4. 내 생각

개인적으로는 QQQ3배 레버리지TQQQ를 좋아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메인 계좌에서 장투용으로 TQQQ를 가지고 재미를 보고 있기 때문에, QQQ의 레버리지 상품에 관심이 많습니다.
우리나라에도 3배 레버리지 상품이 열렸으면 바로 샀겠지만!
아쉬운 대로 QLD에 해당하는 ETF에도 관심을 갖고 투자를 하려 합니다.

5. 결론

미국 주식장에서 250만 원 이상의 수익을 내면 초과 수익의 22%를 양도소득세로 다음 해에 내야 하는데요.
내년부터는 저도 내야 하기 때문에, 어차피 QQQ나 QLD와 비슷한 상품에 투자를 고려중이라면,
아묻따 위 상품을 적극 고려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접근할 것 같아요.

개인연금/퇴직연금등 몇 십년동안 가져가야 하는 안정성이 최고로 고려되야 하는 계좌에선
나스닥 100 / S&P 500 추종 ETF를 매수!

일반 개인 계좌에서 투자할때는
미국장의 TQQQ나 QLD매수!!

혹은 환전/세금등의 문제로 국내장에서 해결하고 싶은 경우엔
KODEX 미국 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 H) 매수!!

반응형
반응형

폭락장이 오고 반등하더니... 얼마나 됐다고 다시 조정을 받기 시작하는데...!

매매일지

 

공통 매수 이유
위의 종목은 투자하는 종목이 비슷하기 때문에 (IT위주 대기업) 일단 망할것 같다는 생각은 1도 해본적 없음
저가라면 무조건 매수하는게 좋다고 생각 함

 


❗하지만 3배 레버리지 ETF이기 때문에 매운맛을 수익도 3배, 손실도 3배라는 점 잊지 않긔❗
궁금하다면 아래에서 확인하기
✔FNGU란...
✔BULZ란...

 

 

 

 

 

 

매수 종목 : FNGU
매수 가격 : $35.2364
매수 이유 : 1년 중에서 손꼽히는 기울기로 떨어짐 & RSI 최저점 (31)

 

 

 

 


매수 종목 : BULZ
매수 가격 : $24.6900
매수 이유 : 1년 중에서 손꼽히는 기울기로 떨어짐 & RSI 최저점 (37)



 

 

 

 

 

 

 

 

 

 

 

 

덕분에 사자마자 역시 반등은 했다


매수 종목 : DAL
매수 가격 : $36.8511
매수 이유 :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한 VIX 52% 급상승, 10%이상 하락, 1년 최저가 갱신


매수 종목 : PLTR
매수 가격 : $18.5200
매수 이유 : 기존에 갖고 있던 팔란티어가 많이 떨어져서 약간의 물타기. 요즘 약간 아슬아슬한 행보를 보이고 있으니 조심하긴 해야겠다...

매도 종목 : SVXY
매도 가격 : $53.12
매도 이유 : 다음날 바로 반등은 했지만, 매도 포인트를 못 잡고 -로 돌아섰지만, 더 좋은 매수 종목들이 발견됐기 때문에 매도

 

❗매도하기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 내가 정한 수익률을 초과 달성한 경우
  • 내가 매수했던 당시와 현재의 상태가 변한 경우
  • 더 좋은 투자처를 찾은 경우
반응형
반응형
출처 - https://hyun-am-coding.tistory.com/entry/Chapter-14-UML-%EB%AA%A8%EB%8D%B8%EB%A7%81

UML 모델링 특징

  • 가시화 : SW 개념 모델을 시각화, 이를 통해 소통
  • 명세화 : 정확하고 명백한 모델 생성, 이를 통해 개발을 위한 분석/설계/구현에 필요한 모델을 완전하게 명세
  • 구축 : 프로그래밍으로 구현
  • 문서화 : 요구사항 표현

 

UML 구성요소

  • 사물
  • 관계
  • 다이어그램

 

UML 모델링 절차

  1. 초기 클래스 다이어그램
  2.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3. 클래스 다이어그램 변경
  4. 순차 다이어그램 작성
  5. 인터페이스 식별(클래스 다이어그램 수정)

 

UML 모델링의 이해

  • 4가지 측면
  • 3가지 레벨

정적 모델링 도구

  • 시스템의 정적이고, 지좃적인 측면을 모델링
  • 종류 :  클래스 다이어그램, 오브젝트 다이어그램,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 작성절차
  • 오브젝트 다이어그램
  • 컴포넌트 다이어그램

 

동적 모델링 도구

  •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객체의 상태, 행위, 상호작용 표현
  • 종류 : 유스케이스, 행위 다이어그램, 인터랙션 다이어그램, 순차 다이어그램
반응형
반응형

교육 링크 : https://www.kifin.or.kr/common/greeting/main.do

 

올해부터 한국에 상장된 레버리지/인버스 ETF/ETN에 투자하려면 아래 레버리지 ETP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비용은 3000원이고, 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교육이수 후에 받는 인증 번호를 증권사에 입력해야 레버리지/인버스 ETP에 투자 가능합니다

 

레버리지 ETF,ETN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상황에 투기 억제를 위한 교육인것 같더라고요

 

들은 김에 정리한 교육

ETP : Exchange Traded Product  = ETF + ETN

ETN : Exchange Traded Note = 주식시장에서 사고 팔수 있는 채권(을 상장시킨 증권회사), 원금보장 X

ETF : Exchange Traded Fund = 주식시장에서 사고 팔수 있는 펀드

종목 = 주식, 채권, 원자재, 부동산, 통화, 혼합자산, 레버리지,  인버스

사실, 어디서 만들었는지에 차이가 있지만, 거의 똑같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비슷하다.

 

ETF 순자산가치의 변화를 가격/지수의 변화의 일정 배율로 연동하여 운용하는것을 목표로 한다

정배율 : 일반 주식처럼 1배

역배율 : 인버스 = 해당 주가가 5%떨어지면 수익률이 5%올라가는 형식

레버리지(2배) : 수익률이 2배 = 해당 주가가 5% 올라가면 10% 수익률을 얻는다.

 

레버리지 ETF를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현물만으로는 불가능하고 파생상품을 포함해야한다

 

ETP는 펀드에 비해 운용 비용이 덜 들어간다 (저비용)

괴리율 : 실제 추종하는 지수와의 벌어지는 차이. 급등/급락시에 쏠림현상으로 괴리율이 높아짐

복리효과 : 기초자산이 대세 상승/하락일때는 유리, 등락을 반복할때는 불리

롤오버 : 기초자산의 롤오버를 하는데에서 발생하는 유/불리성이 존재

반응형
반응형

전에 조사했던 VIX 관련 ETF중에서 가장 매수하고 싶었던 SVXY를 월요일 저녁에, 매수했다.

자세한 건 여기..

 

간단요약

SVXY :  VIX 지수를 0.5로 인버스로 추종하는 ETF

매매일지

  • 매수 종목 : SVXY
  • 매수 가격 : $56.7516
  • 매수 이유 : 금요일 VIX 지수 +56% 폭증! 기술적 반등이든, 뭐든 반드시 VIX가 떨어질거라 예상 -> 적중
  • 매수 날짜 : 2021-11-29 
  • 느낀점
    • 0.5배 추종을 감안하더라도 VIX가 많이 움직이는 날이 많지 않은데, 이정도 수치는 조금 아쉽다
    • 그리고 바로 사기가 어려워서 결국 장 시작 직전엔가 산거 같은데, 이미 오른 상태에서 사져서 2차 아쉬움
    • 게다가 다음날 바로 또 +18%증가하느라 SVXY는 -8%돼서 3차 아쉬움
    • 장투를 하려면 차라리, SPY/QQQ가 나을것 같다
    • 폭락 조정장에서 1~3일 정도 보고 하는 단타에 어울리는 느낌이다.
반응형
반응형

VIX 지수는 주식시장과 반대로 움직이는 변동성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이걸 보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VIX에 투자하고 싶을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VIX 파생 상품 리스트

(VIX 비례)

VIXY : VIX에 비례해서 따라감 (Short-Term VIX 선물 지수를 추종)
UVXY : VIXY를 1.5배로 추종, VIX는 우하향하기 때문에 장기투자 절대 금지 (연평균 수익률 -77%..ㄷㄷ)
TVIXF : 일일 VIXY 2배 레버리지. 당연히 2배로 녹기 때문에 장투 절대 절대 금지

(VIX 인버스)
XIV : VIXY 인버스인데, 엄청난 레버러지 효과! 덕분에(?) 2018년 상폐...
SVXY : VIXY의 0.5배 인버스. 장기적으로 우상승. VIX가 크게 상승할 때 매수해야 하는 주식 1순위

 


알아볼수록 쉽게 투자하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씨게 오네요..


VIX 투자 전략

SVXY 투자 시나리오

= 절대 VIXY에 투자하지 말아야 할 시나리오(VIXY : VIX와 연동된 ETF)

  • VIXY가 이미 크게 상승한 경우
  • 강한 콘탱고인 경우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높은 현상, 이게 정상이지만 과도한 경우)
  • VIX 선물 만기일이 얼마 남지 않은 경우(ex. 네 마녀의 날)
VIXY는 우하향하기 때문이면, 그나마 존버로 버틸 수 있는 SVXY가 투자하기엔 낫다고 보입니다.

 

참고 

  • 5분 만에 지수 0.5% 하락 vs 50분 만에 0.5% 하락 - 이것은 천지차이
    => 시장 지수의 단기 하락 & VIX 상승
    => 추가적인 지수 하락이 없다면, VIX가 점점 떨어지게 된다 (변동성이 줄어든다)
    ex. VIX 상승 후 30분 정도 횡보를 보이면 VIX는 곧 하락
  • VIX가 강한 상승 추세라면, 지수는 1시간 이내에 크게 하락 => VIX 급등
  • 시장의 불안감에 VIX가 떨어지지 않고 횡보 중이더라도, 24시간 내로 새로운 고점을 만들지 못하면 곧 하락할 가능성 높음

 

 

결론

VIX에 투자하는건 정말정말 위험하다...

만약 하겠다면 VIX가 20%이상 오른 확실한 시점에서 SVXY를 매수하는 전략은 괜찮을 듯!!

 

반응형
반응형

1. VIX 지수란?

Volatility index의 줄임말로, 변동성 지수라는 뜻입니다. 

시카고 옵션거래소에 상장된 S&P 500 지수옵션의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VIX는 직접 매매할수는 없고 관련 ETF를 매매해야 합니다

 

주식시장이 빠르게 하락할 때 상승하므로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쉽게 말해서 VIX가 올라가면, 주가는 떨어지고, 

VIX가 떨어지면, 주가가 올라간다고 보면 됩니다.

 

VIX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깁합니다만...

저는 지켜보고 있는 종목이 있다면, VIX 지수가 급등하거나, 해당 종목만 급락한 시점에 매수 포인트를 잡곤 합니다

 

2. VIX 상세 설명

  • S&P500 선물옵션을 사용해 콜옵션과 풋옵션 사이의 갭을 계산하여 수치로 나타냅니다.
  • 옵션만기일이 중요한데, 만기일이 다가오면서 갭이 작아지면 VIX 수치가 작아진다.
  • 매주 만기일이 돌아오므로, 매주 금요일마다 VIX가 하락하는 추세가 있다고 합니다.
  • 급격한 하락(ex. 대공황)이 일어나기 전에 VIX는 계속 상승한다는 점에 필요성이 대두됐습니다.
  • S&P500은 꾸준히 우상향 하기 때문에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크지만, 완전히 S&P 하락 = VIX 상승 은 아님
  • 지수가 높을수록 주가가 많이 출렁인다고 합니다.

3. 매수/매도 타이밍 

일반적으로 VIX 지수의 평균은 20% 정도라고 볼 수 있고, 30% 이상이라면 바닥권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굳이 VIX에 투자하지 않고, 지켜보던 주식의 매매 타이밍을 참고하기에 좋은 것 같아요

 

따라서 정리해보자면

매수 타이밍

  • VIX 급등(10% 이상)
  • 20 미만

매도 타이밍

  • VIX 급락(10% 이상)
  • 40 이상

 

반응형
반응형

델타 바이러스보다 강하다는 누 바이러스가 뉴스에서 계속 나오더니 '오미크론'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그리고 또 다서 코로나 때문에 주식 시장에 (나름) 폭락장이 찾아왔다.

무려 VIX (변동성지수)가 52%나 상승하는 건 1년에도 몇번 나오지 않는 일이다.
역시 모든 종목들이 골고루 박살 났지만, 역시 위드 코로나 기대로 많이 올랐던 여행 관련주가 많이 뚜까 맞았다.

그 중에서 항상 내 관심 목록에 있던 2 아이를 지켜봤다. 델타항공 & 카니발
오늘만 각각 -11%, -13%정도씩 떨어졌고, 1년 차트로 봐도 1년 중 최저가로 떨어졌길래 한번 줍줍 해봤다.
마침 토스 해외주식 3개월 무료 여서 토스로 매수

 

이정도 급등이면, 다음날 최소로 기술적 반등정도는 나올듯

매매일지

매수 종목 : DAL
매수 가격 : $36.38
매수 이유 :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한 VIX 52% 급상승, 10%이상 하락, 1년 최저가 갱신

매수 종목 : CCL
매수 가격 : $17.95
매수 이유 :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한 VIX 52% 급상승, 10%이상 하락, 1년 최저가 갱신

반응형
반응형

MSA란?

가장 작은 단위의 서비스로 나눈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서비스들로 구성하는 구조

 

MSA 장점

  • 필요 서비스만 배포 가능
  • 서비스 확장 가능 (Scale-out) + cloud
  • 신기술 적용 용이

MSA 단점

  • 성능하락  - 서비스간 통신에 많은 비용이 들어감
  • 트랜잭션 - MS간의 통신으로 인한 트랜잭션 관리 힘듦

 

Monolithic -> MSA 바꾼 이유

  • 플랫폼 사업 - 필요한 기능만 묶어서 제공  => 다양한 제품군으로 적용 가능
  • 그로 인한 장점은 테스트/배포가 빨라지고, 추후 사업 진행 상황에 따른 scale-out 용이 (=cloud 장점)

 

MSA 구성

  • 가장 작은 / 독립된 MS들로 서비스 구성 => DDD(도메인 주도 설계)
  • MS가 많아서 찾기/관리 어려움
    • API Gateway (Zuul,Kong,nginx) : 외부에서 하나의 Endpoint 알면 접근/관리 가능해서 편리 (+서비스 디스커버리,라우팅, 로드밸런싱, 보안)
      • Non java 서비스는 sidecar 등록(polyglot) => Eureka java 어플
      • Sidecar :  MS의 트래픽을 관리하는 컨테이너를 생성해서 관리
  • MS간의 통신
    • Service Mesh (Istio) : MS 통신 담당,  API GW 같은 역할이지만 MSA 내부에서 접근용도
      • API GW 같은 역할이지만 있는 효과적 : GW 먼저 라우팅(인증,에지 라우팅) -> MESH 라우팅(관찰/제어) 점점 통합되는 ...
      • Backing Service (Kafka, RMQ, AMQ) :  큐를 이용한 비동기 통신
  • 개발
    • CI/CD (Jenkins, Gitlab) : 개발 소스 통합/배포 자동화
    • 컨테이터 환경 (Docker, k8s) : 서비스들을 실행하는 환경을 관리
  • 모니터링 및 서비스 관리
    • Telemetry (Zipkin+ Sleuth, Grafana, Prometheus, EFK, ELK ) : 서비스 모니터링 log/프로세스 추적 가능
반응형

'개발 > M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A (2) - 아키택쳐 개요 정리  (3) 2021.11.23
MSA(1) - MSA란? (MSA Overview)  (1) 2021.1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