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RP(개인형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세제 변경과 이중과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2025년부터 세법 개정으로 인해 해외 ETF 투자 시 예상보다 세금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ISA·IRP에 해외 ETF 투자하면 손해다”라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정확히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그리고 실제로 나에게 불리한지 꼼꼼하게 따져보겠습니다.

 

 노후 준비 프로젝트를 위해, 절세를 위해, 개인연금 만한게 없는것 같긴해요

 

15. 노후 준비 방법 - 개인연금, 안전자산, 배당 & 시나리오 별 수익률 비교

안녕하세요!오늘은 제가 올해부터 시작한 노후 준비 프로젝트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인생을 길게 보고 20년, 30년 후를 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매달 조금씩 꾸준히 투자하는 세 가

fire-programmer.tistory.com

 

 

 

📌 1. 2025년 세법 개정 내용: 해외 ETF 배당금 이중과세 논란


✔️ 기존 과세 방식 (2024년까지)
• 해외 ETF에서 배당금이 발생하면 배당금 전액이 계좌로 지급됨
• 연금 수령 시(연금저축·IRP) 또는 ISA 만기 시 낮은 세율(ISA는 9.9%, 연금은 3.3~5.5%)로 과세

✔️ 2025년부터 변경되는 과세 방식
• 해외 ETF 배당금이 발생하면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후 지급
• 연금 수령 시 한 번 더 국내 세금 부과 (ISA는 9.9%, 연금은 3.3~5.5%)

✔️ 이중과세 문제 발생
동일한 소득(배당금)에 대해 두 번 과세하는 상황이 발생
→ 실질적인 세금 부담이 증가하여, 배당 중심 해외 ETF 투자자들에게 불리


📌 2. 어떤 경우에 불리해졌을까? (ISA vs. 연금 vs. IRP)

구분 ISA / 개인연금 IRP
세제 혜택 비과세 한도 내 200~400만 원, 초과분 9.9% 과세 납입금의 12~15% 세액공제 (최대 900만 원)
배당소득 과세 방식 (2025년 이후) 해외 배당금 15% 원천징수 후, 만기 시 9.9% 추가 과세 해외 배당금 15% 원천징수 후, 연금 수령 시 3.3~5.5% 추가 과세
불리한 경우 배당 중심 ETF 투자 시 손해 연금 수령 시 배당금 추가 과세로 불리
유리한 경우 장기 보유 & 성장주 위주 투자 IRA 대체 투자 & 연


📌 3. 배당 ETF vs. 성장 ETF, 어떤 투자가 유리할까?


✔️ 배당 중심 ETF (예: SCHD, VYM) → 불리
• 배당을 받을 때마다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 연금 수령 시 한 번 더 세금 부과

✔️ 성장 중심 ETF (예: SPY, QQQ, VOO) → 상대적으로 유리
• 배당금이 적고, 주가 상승으로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큼
• 배당이 아닌 매매 차익 중심 투자 시 이중과세 문제 덜함

📢 결론:
배당금이 많은 고배당 ETF(SCHD, VYM 등) 투자자들은 세금 부담이 증가하지만,
성장 ETF(SPY, QQQ, VOO 등)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음


📌 4. QQQ·SPY 추종 국내 ETF를 이용하는 나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 [사용자의 투자 스타일]
• 개인연금을 통해 QQQ·SPY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에 투자
• 목적: 라이트한 세액공제 + 라이트한 노후 준비
• 연 300~400만 원 정도 투자

✔️ 팩트 체크: 영향이 클까?
• 국내 상장된 미국 ETF 추종 상품(TIGER 미국 S&P500, KODEX 미국나스닥100 등)은 배당금(분배금)이 크지 않음
• 따라서 해외 ETF 배당 이중과세 문제에서 영향이 크지 않음
• 주가 상승으로 인한 매매 차익 실현 시 과세 문제 없음

📢 결론:
💡 배당이 아닌 성장 위주의 투자 스타일이라면, 이번 개정안의 불리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
💡 국내 상장 ETF를 통해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방식도 여전히 유효


📌 5. 이번 세법 개정에 대한 투자 전략은?


✅ 배당 ETF 투자자는 신중해야 함
•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해외 ETF에 투자할 경우, 세금 부담이 증가
• 고배당 ETF 대신 성장 ETF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조정 고려

✅ 국내 상장 미국 ETF 활용
•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나스닥100 같은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하고, 배당보다는 성장률을 중시한다면 문제는 없음

✅ ISA·IRP 활용 전략 재검토
• ISA 계좌 만기 전 전략을 다시 점검
• 연금저축·IRP는 세액공제 효과를 고려해 유지 or 조정


📌 6. 결론: 해외 배당 ETF는 신중, 성장 ETF는 여전히 유효


📌 이번 개정으로 인해 해외 배당 ETF 투자자들은 불리한 세금 구조에 놓일 가능성이 큼
📌 그러나 성장주 중심의 ETF (SPY, QQQ 등) 투자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음

🚀 이번 세법 개정으로 인해 혼란이 있지만, 투자 스타일에 따라 영향이 다릅니다.
📊 배당 중심 투자자들은 전략을 재검토하고, 성장주 중심 투자자들은 기존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세법 변화와 투자 전략을 점검하며,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 여러분의 투자 전략은 어떻게 조정하고 계신가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2월의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특히, 2월에 보유한 주식을 일부 매도하는 전략이 왜 유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 동향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투자 전략을 어떻게 세울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18. 내가 사용하는 가장 간단하면서, 잘 먹히는 주식 매도 전략 (RSI)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오늘은 레버리지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효율적인 매도 전략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저처럼 TQQQ, SOXL, FNGU 같은 3배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분들은

fire-programmer.tistory.com

 

1. 2월은 역사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달

📉 S&P 500의 월별 평균 수익률(1950~2023년 통계)
• 2월 평균 수익률: -0.07%
• 12개월 중 2월이 가장 낮은 수익률을 기록한 달 중 하나
• 1월 효과(연초 강세장) 이후 조정이 나타나는 시기

📉 나스닥 100의 월별 평균 수익률(1985~2023년 통계)
• 2월 평균 수익률: -0.24%
• 기술주 중심의 조정이 심한 달

🔍 출처: Stock Market Almanac

위 데이터를 보면 2월은 투자자들이 보유 종목을 정리하거나 조정하는 달로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수익률이 나쁜 9월을 비롯하여 2,5월이 12월 중에서 통계적으로 수익률이 가장 안 좋은 달이에요

2. 최근 시장 변동성과 약세 신호


📉 최근 3주 연속 금요일 하락 현상
• 최근 3주간 금요일마다 미국 증시가 하락하는 패턴이 나타났습니다.
•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이 금요일마다 급락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 이는 주말을 앞둔 투자자들이 리스크 회피 차원에서 포지션을 줄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2022~2023년의 급등 후 조정 가능성
• S&P 500과 나스닥 100은 2년 연속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하지만 2024년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선반영된 상태라 추가적인 상승이 쉽지 않은 환경입니다.
• 역사적으로 연속 상승 이후에는 조정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금리 인하 기대와 연준의 스탠스 변화 가능성
• 현재 시장에서는 연준(Fed)이 2024년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습니다.
• 하지만 연준이 예상보다 금리를 천천히 내리거나 동결할 경우 시장 조정이 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3. 2월 투자 전략: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


💡 ① 2월은 역사적으로 약세장에 해당하는 달
💡 ② 최근 금요일 하락 패턴이 지속되면서 시장 불안감 증가
💡 ③ 2년 연속 상승 후 기술적 조정이 나타날 가능성
💡 ④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로 인한 변동성 확대 가능성

📌 따라서 2월에는 아래 전략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포트폴리오 일부 정리:
• 최근 강한 상승을 보였던 테슬라(TSLA), 엔비디아(NVDA), 애플(AAPL) 등의 빅테크 종목 일부 매도
• 지수 ETF(SPY, QQQ) 일부 차익 실현

✅ 현금 비중 확대:
• 2월은 조정이 나올 가능성이 높은 달이므로 현금 비중을 50% 이상 확보
• 추가 하락 시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

✅ 방어적인 섹터로 이동:
• 배당주(SCHD, VYM), 헬스케어(UNH, PFE), 필수소비재(PG, KO) 같은 방어적 섹터 비중 확대

✅ 하락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ETF 고려:
• SQQQ(나스닥 3배 숏), SPXS(S&P500 3배 숏) 같은 인버스 ETF 활용
• TLT(장기채 ETF), GLD(금 ETF) 같은 안전자산으로 일부 자금
킹지만, 숏은 항상 주의해야하니 비추

4. 결론: 2월에는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


📌 2월은 역사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달이며, 최근 시장 변동성을 고려할 때 보유 종목을 일부 정리하는 전략이 유리할 가능성이 큼
📌 주식 일부 매도 후 현금 비중을 확대하고, 방어적인 섹터로 이동하는 것이 안전한 전략
📌 연준의 금리 정책과 시장 흐름을 지켜보며, 추가 하락 시 저가 매수 기회를 노리는 전략이 효과적

🚀 지금은 무작정 홀딩할 때가 아니라, 리스크 관리와 현금 확보를 통해 다음 기회를 대비해야 할 시점입니다.

2월 시장을 현명하게 대비하시고, 좋은 투자 기회를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 😊

 

 

ISA, IRP, 개인연금 투자자 주의! 2025년부터 바뀌는 과세 정책과 대응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RP(개인형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세제 변경과 이중과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2025년부터 세법 개정으로 인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한창 연말정산 시즌인데, 다들 잘 하고 계신가요?

이번 연말 정산 하면서 절세혜택에 대한 중요성을 많이 느낀 시간이었는데요.

그중에서도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연금저축계좌, IRP(개인형 퇴직연금)의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이 세 가지 계좌는 모두 세제 혜택이 있지만, 각각 운용 방식과 목적이 다릅니다.

나에게 맞는 절세 계좌를 찾을 수 있도록 자세히 비교해볼게요!


1.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란?

ISA는 중기 투자 및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종합 계좌

한 계좌에서 주식, 펀드, ETF, 예금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운용할 수 있으며,

최소 3~5년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SA의 장점

비과세 혜택: 수익 중 200~400만 원까지 비과세,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운용 자유도 높음: 국내 주식, ETF, 예금 등 다양한 상품 투자 가능
중도 인출 가능: 3~5년 후 만기 시 자유롭게 자금 사용 가능
단기·중기 투자 가능: 55세 이후까지 묶이지 않음

ISA의 단점

가입 기간 제한: 최소 3~5년 유지해야 혜택 가능
해외 주식 직접 투자 불가(ETF로 우회 투자 가능)

📌 이런 분들에게 추천!

3~5년 후 자금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
투자에 관심이 있지만, 장기간 묶이는 건 싫은 사람
노후 대비보다는 단기 투자와 비과세 혜택을 원하는 사람


2. 연금저축계좌란?

연금저축계좌는 노후 대비를 위한 계좌로,

납입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경우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계좌의 장점

세액공제 혜택: 연 1,800만 원 납입 가능, 이 중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노후 대비 가능: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3.3~5.5%) 적용
ETF, 펀드, 채권, 예금 등 다양한 상품 운용 가능

연금저축계좌의 단점

55세 이전 해지 시 기타소득세(16.5%) 부과
자금 유동성이 낮음(단기 자금 운용 불가)

📌 이런 분들에게 추천!

노후 대비를 위해 장기 투자할 사람
세액공제 혜택을 받아 절세하고 싶은 사람
장기 투자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고 싶은 사람


3. IRP(개인형 퇴직연금)란?

IRP는 퇴직금을 포함한 노후 자금을 운용하는 계좌예요. 근로자가 퇴직금을 직접 관리할 수 있으며, 연금저축계좌와 함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RP의 장점

연금저축보다 더 큰 세액공제 혜택:

  •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근로자) / 1,200만 원(자영업자)까지 세액공제 가능
    퇴직금 운용 가능: 퇴직금을 IRP 계좌로 받아 운용 가능
    노후 대비 가능: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 적용

IRP의 단점

55세 이전 해지 시 기타소득세(16.5%) 부과
본인 납입금은 인출 불가(퇴직금 포함)
주식 직접 투자 불가(ETF만 가능)

📌 이런 분들에게 추천!

퇴직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사람
연금저축보다 더 큰 세액공제를 받고 싶은 사람
노후 대비를 위해 장기 투자할 사람


4. ISA vs. 연금저축 vs. IRP 비교 정리

-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세액 공제는 없고, 번 돈에 대해 비과세이므로, 단기간 동안의 수익금에 대한 비과세 효

- 연금저축계좌와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거의 같아요. 차이는 퇴직금을 IRP로 받을수 있고, 세제 혜택 금액이 좀 더 높다는 점

 

주요 목적 중기 투자, 비과세 혜택 장기 투자, 노후 대비 퇴직금 및 노후 대비
세제 혜택 수익 중 200~400만 원 비과세, 초과분 9.9% 과세 납입금액의 12~15% 세액공제(최대 700만 원) 연금저축 포함 최대 900~1,200만 원 세액공제
운용 가능 상품 예금, 펀드, ETF, 리츠, 국내 주식 펀드, ETF, 채권, 예금, 해외 ETF 펀드, ETF, 채권, 예금
최소 유지 기간 3~5년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해지 시 불이익 3~5년 내 해지 시 혜택 없음 55세 이전 인출 시 기타소득세(16.5%) 부과 55세 이전 인출 시 기타소득세(16.5%) 부과
유동성 3~5년 후 자유롭게 사용 가능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 가능

5. ISA, 연금저축, IRP 중 어떤 계좌가 나에게 유리할까?

ISA가 더 유리한 경우

3~5년 단기 투자 후 자금이 필요한 사람
유동성을 확보하면서도 비과세 혜택을 원하는 사람
해외 주식 직접 투자 대신 ETF로 운용할 사람

연금저축계좌가 더 유리한 경우

노후 대비를 위한 장기 투자자가 필요한 사람
세액공제 혜택을 극대화하고 싶은 사람
55세 이후 연금 수령으로 절세하고 싶은 사람

IRP가 더 유리한 경우

퇴직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싶은 사람
연금저축보다 더 큰 세액공제를 받고 싶은 사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계획이 있는 사람

💡 최적의 방법은?

ISA로 중기 자산을 불리고, 연금저축과 IRP로 노후 대비를 하면 가장 효율적인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어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
화성 가즈아!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 오늘은 팔란티어(PLTR)라는 기업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팔란티어는 AI와 데이터 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정부와 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인데요.

최근 몇 년 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그럼 팔란티어에 대해 알아보면서 왜 팔란티어에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팔란티어의 독보적인 기술력

팔란티어는 AI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하는 기업입니다.

팔란티어의 제품은 고담(Gotham)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두 가지 주요 플랫폼으로 나눠집니다.

이들은 각각 정부 및 국방 분야, 기업 및 산업에서 사용되는 강력한 데이터 분석 솔루션입니다.

고담(Gotham)

고담은 미국 국방부, 정부 기관, 보안 기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통합하고 분석하여, 중요한 위험 예측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합니다.

  • 사용 예시: 미국 국방부에서 테러리스트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거나, 군사 작전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 특징: 비밀 등급 기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IL6 인증을 보유하고 있어 보안성이 매우 높습니다.

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AIP는 상업용 기업을 대상으로 한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입니다.

이 플랫폼은 기업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즈니스 리스크기회를 예측,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도와줍니다.

  • 사용 예시: 금융 기업에서는 AIP를 통해 포트폴리오 리스크 분석주식 시장 예측을 할 수 있고, 제조업체는 생산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정 개선효율성 향상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특징: 데이터 자동화 및 AI 예측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리스크를 사전에 감지하고, 기업의 의사결정을 실시간으로 지원합니다.

2. 팔란티어의 뛰어난 실적과 성장 가능성

팔란티어는 최근 몇 년 간 빠르게 성장하며 강력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30% 성장하며 7.2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조정 잉여현금흐름(FCF)은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초과하며, FCF 마진은 60%에 달하고 있습니다.

  • 매출 성장률: 고객 확장과 신규 계약 증가 덕분에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 Rule of 40: 팔란티어는 매출 증가율영업이익률을 더한 수치가 **68%**에 달하며, SaaS 기업 중에서도 매우 우수한 성과를 자랑합니다.

3. 강력한 정부와의 협력 관계

팔란티어는 미국 정부와의 협력이 매우 깊은데,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에도 기대가 되는부분이 있어요. 

팔란티어의 주요 제품인 고담(Gotham)은 미국 국방부를 비롯한 정부 기관들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국가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IL6 인증을 포함한 다양한 보안 인증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정부와의 협력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 사례: 팔란티어는 미국 국방부와 함께 군사 작전, 정보 수집 및 분석, 국가 안전 보장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트럼프 정부와의 협력: 향후 공공 부문 개혁과 IT 고도화에서 AI가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팔란티어는 이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다양한 산업 포트폴리오

팔란티어는 금융, 제조, 헬스케어, 에너지, 국방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며,

주요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 사례: Microsoft, BP, Wendy’s와 같은 글로벌 대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 기술 적용: 팔란티어는 생산성 향상, 위험 관리, 최적화된 의사결정 등을 가능하게 하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5. 팔란티어 투자 매력 포인트

    • 미래 성장성: AI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필수적인 미래 사회에서 팔란티어의 성장 잠재력은 매우 큽니다.
    • 우수한 재무 구조: 높은 잉여현금흐름마진율을 기록하고 있어, 회사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에서 고르게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리스크를 분산시킨 점도 투자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6. 팔란티어에 올해도 투자해야 하는 이유

  • AI 붐에 힘입어 가이던스를 상회하는 실적발표!
    잉여현금흐름이 특히 눈에띄게 높아졌고, 실적도 좋아졌다

미래에셋증권 리서치

  • 매출 성장과 잉여흐름 마진증가 - 성장과 이익 두마리 토끼를 잡고 있는 2024년도까지의 모습
  • 2025년도도 트럼프 시대를 맞이하여 기대가 됩니다.

결론: 팔란티어, 미래를 선도하는 AI 기업

팔란티어는 AI와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과 정부 및 기업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자랑하는 기업입니다.

고담(Gotham)과 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은 팔란티어의 핵심 플랫폼으로,

각각 국방 및 정부 분야, 기업 및 산업에서 효율적인 데이터 분석과 예측을 통해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미래의 기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향후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할 것입니다.

AI 기반의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시대에서 팔란티어의 성장은 투자자에게 매우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2025년, 팔란티어와 함께 미래를 선점하세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팔란티어와 같은 미래 산업에 대한 투자를 시작해보고 싶다면, 지금이 바로 그 시작점일 수 있습니다!

 

AI에 투자하는 다른 방법도 확인해보세요

 

AI에 투자하는 방법

간단 요약 1.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회사에 직접 투자 (AI기업) 2. AI 서비스의 생태계에 필요한 회사에 투자 (반도체 ETF) 0. 개요 AI의 부상은 기술 자체뿐만 아니라 AI와 관련된 투자에 대한 관심을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결제 수단으로,
특히 설 명절을 맞아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 확인 방법과 최대 30% 할인받을 수 있는 꿀팁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인 방법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하기 전에 내 주변에서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온누리 Pay' 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온누리 Pay 앱 실행: 앱을 실행한 후, 메인 화면에서 '우리 동네 가맹점 찾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2. 가맹점 검색: 하단의 '지도보기'를 통해 주변 가맹점을 확인하거나, 우측 상단의 '돋보기' 아이콘을 눌러 상호명으로 직접 검색할 수 있습니다. 혹은 아래 링크에서도 확인 가능해요. 미리 사용 가능한곳을 둘러보고 결정하는게 좋아요

가맹점포찾기

홈 > 온누리상품권 > 가맹점포찾기

www.sbiz.or.kr

 
이렇게 하면 자주 방문하는 마트, 식당, 정육점 등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이 가능한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설맞이 온누리상품권 최대 30% 할인받는 방법

설 명절을 맞아 온누리상품권은 다양한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잘 활용하면 최대 30%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1. 기본 할인율 상향: 2025년 1월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한 달간 기본 할인율이 기존 10%에서 15%로 상향됩니다.
  2. 결제 금액의 15% 환급: 이벤트 기간 내에 결제한 금액의 15%를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단, 매주 최대 환급 금액은 2만 원이며, 최소 7천 원 이상 결제 시 적용됩니다.

3. 온누리상품권 구매 방법 및 유의사항

온누리상품권은 '온누리 Pay' 앱을 통해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

  • 구매 한도: 월 최대 200만 원까지 구매 가능합니다.
  • 유효 기간: 구매일로부터 5년입니다.
  • 세액공제 혜택: 근로자는 지역상품권 사용 시 기본 30%, 전통시장은 40%의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온누리상품권을 더 잘 활용하는 꿀팁

1. 온라인 전통시장에서도 사용 가능!

전통시장이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도 많이 활성화되면서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전통시장관이 늘어나고 있어요. 특히 쿠팡 전통시장관,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 서비스 같은 곳에서도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할 수 있답니다.

  • :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구매하면 집 앞까지 배달되기 때문에, 직접 전통시장에 방문하기 어려운 분들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요.

2. 고정비 절약용으로 활용하기

온누리상품권은 정육점, 반찬가게, 식자재 마트처럼 생활 필수품을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어요. 매달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항목을 상품권으로 해결하면 지출을 절약하면서 추가 할인 효과까지 누릴 수 있죠.

  • 추천 카테고리: 정육점, 과일가게, 식재료 구입 등 고정비가 많이 들어가는 곳에서 활용하세요. 특히 명절에는 대량 구매할 일이 많으니 더 유리합니다.

3. 가족과 함께 나눠서 할인받기

상품권 구매 한도가 월 200만 원으로 정해져 있지만, 가족 구성원 명의로 따로 구매하면 여러 명이 동시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예를 들어, 3인 가족이라면 매달 최대 600만 원어치 상품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죠.

  • : 부모님이나 형제자매와 함께 구매하고, 필요한 시점에 나눠서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4. 세액공제까지 챙기기

온누리상품권을 사용하면 전통시장 사용분에 대해 4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일반 카드나 현금보다 세금 절약 효과가 크기 때문에 연말정산을 대비해서라도 꼭 챙겨야 할 부분입니다.

  • : 온누리상품권 사용 후 반드시 영수증을 챙겨 두고, 해당 금액을 소득공제 항목에 포함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FAQ)

Q1. 온누리상품권으로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온누리상품권은 대형마트나 편의점에서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주로 전통시장, 전통시장 내 상점, 그리고 일부 소상공인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사용 가능한 곳을 찾을 땐 반드시 가맹점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Q2. 온누리상품권을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나요?

구매한 온누리상품권은 원칙적으로 환불이 불가합니다. 다만 유효기간(5년)이 지나면 잔액 환불이 가능하니 유효기간을 꼭 체크해 두세요.

Q3.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어떻게 충전하나요?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은 온누리 Pay 앱이나 제로페이 가맹 앱(예: 농협 올원뱅크, 신한 SOL)에서 충전할 수 있습니다. 충전 후 QR코드로 결제하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마무리: 온누리상품권을 똑똑하게 활용하자!

온누리상품권은 단순히 전통시장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수단을 넘어서, 고정비 절약과 소득공제 효과까지 누릴 수 있는 다재다능한 결제 수단이에요.
특히 명절이나 고정비 지출이 많은 가정이라면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2025년 설 명절을 맞아 다양한 할인 혜택과 이벤트를 잘 활용하고,
이번 기회에 주변 시장에서의 알뜰 소비도 경험해 보세요.
온누리상품권으로 시작하는 알뜰한 재테크! 꼭 실천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

오늘은 레버리지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효율적인 매도 전략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

저처럼 TQQQ, SOXL, FNGU 같은 3배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분들은 매도 타이밍 잡기가 정말 어렵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목표 수익률 기반, RSI 기반, 기간 기반 매도 전략을 조합한 복합 매도 전략을 소개할게요.

 

19. 2월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 재매수를 위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할 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2월의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특히, 2월에 보유한 주식을 일부 매도하는 전략이 왜 유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 동

fire-programmer.tistory.com

 

 


진짜 이 글을 쓴 이유!

2025-01-03에 RSI 지수가 높아져서 300만원이상의 수익을 얻고 매도!(soxl,bulz)

하지만 1~2영업일 뒤에 수익률이 2.5배가 되어 배가 아픈 상황!(2025-01-06)

전략을 세우고 글을 작성하는 2025-01-10 현재 기준,, 주식이 급락하면서..

내가 판 그 곳이 어깨였음을 알게되었다 (머쓱)

나쁘지 않았네요. 허나 매도 전략을 실제로 세워두면 나쁠게 없죠!

마저 작성합니다 

 

1. 나의 투자 스타일

  • 종목 - tqqq soxl fngu 같은 세배 레버리지를 주로 투자
  • 매수 포인트 - (계속 주시중에)우상향 한다는 믿음으로 RSI 지수가 40이하로 내려갈때 주로 매수 (특히 급락직후)
  • 매도 포인트 - RSI 지수70 넘어갈때 주로 매도
  • 강점 - 하락장이나 공포감이 시장에 있을때 잘 버티고,매수도 잘 하는 편
  • 개선 포인트 -
    매수 포인트는 무릎에서 잘사는데, 매도 포인트를 현재 가슴정도에서 파는듯. 어깨까지 높여보자!

 

2. 계기

이번 글을 쓰게 된 계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매수 포인트는 잘 잡는 편이지만, 매도 포인트를 조금 더 잘 잡고 싶다

rsi 지수를 주로 보고 우상향한다는 믿음아래 50아래로 떨어지면 조금씩 사모으다가 오래동안 들고 엄청올랐을때까지 잘 버팀.

근데 rsi기 떨어지면 더 사 모으면 되는데, 매도를 못 한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매도 포인트를 한번 놓쳤을때에 다음 사이클까지 투자금과 기회비용이 묶여있는게 아쉬움

그렇다면 분할매도가 좋을까.

그럴 경우 또 수일 덜 먹는 경우도 있긴하지만 안전하니까.. 어떤 전략이 나에게 어울릴까

 

아래는 매도에 대한 현재 저의 상태이면서 추구하는 방향입니다

  • 목표 수익률은 없음 (보유기간도 3주에서 2년까지 다양한데 대부분은 3-6달 정도 안에 매도 하는편)
  • 보통은 1~2번정도에 매도 (분할매도하는것에 대한 결과론적인 장단점은 있지만..)
  • 상승사이클때 팔지 못해서 1년이상 길게 장투해서 그 비슷한 고점 근처까지 가거나 혹은 1년이상 장투하다가 결국 손절하고 다른 더 떨어진 주식우로 갈아타서 성공하는적도 있음
  • 레버리지 리스크는 알고 있지만 안전하게 우상향하는 상품이라 사실 크게 우려하진 않음 => 대부분 이득
    결국 올라갈 etf이고 수수료나 레버리디로 깎이는겅 감안해도 훨씬 더 많은 수익율을 기록

3. 기본 매도 전략: 세 가지 기준

주로 사용할 매도 기준은 크게 세 가지예요.

a. 목표 수익률 기반

• 목표 수익률을 30%, 50%, 70%로 설정해 각각의 구간에서 1/3씩 분할매도하는 방식이에요.
• 이렇게 하면 급등장에서 빠르게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요.

b. RSI 기반 매도

• RSI가 70 이상으로 과매수 상태에 진입할 때 분할매도를 시작해요.
• 상승장에서 RSI가 더 높아질 수 있지만, 최소한 일부 수익을 확정짓는 데 유리하죠.

3. 기간 기반 매도

• 보유 기간이 3개월을 넘기면 분할매도를 시작하는 전략이에요.
• 3배 레버리지는 장기 보유 시 손실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일정 기간 이후에는 반드시 일부 수익 실현이 필요하다고 봐요.

 

4. 복합 매도 전략: 세 가지 전략을 조합

위 세 가지 기준을 조합하면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요.

매도 비율 설정

1. 급등장(강한 상승장)
• 목표 수익률 50% 달성 시 50% 매도 → RSI 80 도달 시 30% 매도 → 3개월 보유 시 나머지 20% 매도
2. 완만한 상승장
• 목표 수익률 30% 달성 시 30% 매도 → RSI 70 도달 시 30% 매도 → 3개월 보유 시 나머지 40% 매도
3. 횡보 또는 약한 상승장
• 3개월 보유 시 50% 매도 → 목표 수익률 20% 달성 시 30% 매도 → RSI 70 도달 시 나머지 20% 매도

상승장 강도 판단 기준

• 급등장: 한 달 내 수익률이 20% 이상 증가할 때
• 완만한 상승장: 3개월 내 수익률이 10~20% 증가할 때
• 횡보장: 3개월 내 수익률이 10% 이하일 때

 

이렇게 하면 좋은 이유

1. 기회비용 최소화
• 상승장에서 일부 수익을 확정 지어 다음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2. 리스크 관리
• 3배 레버리지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일정 수익 실현이 필수입니다.
3. 심리적 안정감
• 분할매도 덕분에 고점에서 매도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줄일 수 있어요.
4. 나만의 매도 전략 한 줄 요약

 

5. 결론 : 나의 매도 전략

RSI + 목표 수익률 or 보유 기간을 기준으로 2단계 분할매도!

  • RSI : 70%돌파시 70%
  • 목표 수익률(30%)/보유기간(3달) 달성시 30%


올해는 상승장과 횡보장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런 복합 매도 전략을 잘 활용한다면 더 안정적으로 수익을 실현할 수 있을 거예요.

여러분도 자신만의 매도 기준을 세워서 꾸준히 실천해보세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년에도 함께 성공 투자해봐요!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ETF 투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ETF(상장지수펀드)는 다양한 자산을 하나의 상품으로 묶어 거래할 수 있는 펀드인데요,

분산 투자와 저비용 투자, 유동성 등 여러 장점이 있어서 재테크 초보자에게 딱입니다.

자, 그럼 ETF의 기본부터 시작해서, 추천 상품까지 알아보겠습니다!

1. ETF란?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로, 하나의 주식처럼 주식 시장에서 매매가 가능해요.

예를 들어, S&P500을 추종하는 ETF는 미국의 500대 대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게 해주고, 나스닥 100을 추종하는 ETF는 IT 관련 기업에 집중 투자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그만큼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어 리스크를 줄이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2.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ETF 상품

초보자라면 안정적인 자산에 먼저 투자하면서 경험을 쌓는 게 중요합니다.

그럼, 어떤 ETF를 선택할지 고민되시죠?

월 100만원씩 투자하기 좋은 ETF 3개를 소개할게요!

 

제가 주변에 주식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상품은 SPY,QQQ입니다! 

요즘에는 SCHD도 조금씩 관심있게 보고있습니다!

 

 

spy, S&P 500 : 워렌 버핏도 믿고 사는 미국 주식 치트키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주식의 대표적인 ETF 중 하나인 S&P 500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작년부터 주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주변에서 주식을 시작하려 할 때, 가장 많이 추천했던 ETF입

fire-programmer.tistory.com

 

 

QQQ : 나스닥 1등부터 100등 (금융주 넌 빠져)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미국 ETF Invesco에서 운용하며, 현재 미국 ETF 시총 5위 규모의 성장주 위주의 ETF! 개인적으로도 QQQ는 S&P 500과 더불어 주변 미국 주식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fire-programmer.tistory.com

 

 

 

S&P500 추종 ETF (SPY)

S&P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500대 기업을 추종하는 지수인데요, 이 기업들은 대부분 안정적인 기업들이라 장기적으로 꾸준히 성장해왔어요. 그래서 SPY는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

  • 추천 상품: 국내에 상장된 ‘KODEX 미국 S&P500’, ‘TIGER 미국 S&P500’
 

한국에 상장된 S&P500 추종 ETF 비교 (feat. KINDEX, TIGER, KODEX, KBSTAR)

안녕하세요. 오늘 알아볼 주식은 S&P 500을 추종하는 한국시장의 ETF입니다. S&P의 특장점은 여기서 확인 안정적인 장기 투자 하기에 미국 주식 시장만큼 좋은 게 없죠! 특히 S&P500!! 미국에는 뱅가드

fire-programmer.tistory.com

나스닥 100 추종 ETF (QQQ)

나스닥은 주로 기술주가 포함된 지수로, IT 기업들이 많죠. QQQ는 성장성이 뛰어난 기업들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수익을 노리는 투자자에게 좋습니다.

  • 추천 상품: ‘KODEX 미국 나스닥100’, ‘TIGER 미국 나스닥100’

미국 배당 ETF (SCHD)

배당주를 선호하는 분이라면 SCHD를 추천해요. SCHD는 미국의 안정적인 배당주에 투자하는 ETF로, 배당 수익을 꾸준히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시면 SCHD가 좋은 선택입니다.

  • 추천 상품: ‘KODEX 미국 배당주’

 

3. 월 100만원씩 투자했을 때 예상되는 수익

이제 월 100만원씩, 총 1년, 10년, 20년 동안 각각 투자했을 때, 예상되는 수익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산한 결과, 아래와 같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거예요.

1. SPY 투자 시

  • 1년 후: 100만원씩 투자했을 때, 예상 수익은 약 12%~15% 정도 (12% 수익 기준: 약 1,120만원).
  • 10년 후: 평균 8% 수익률을 유지한다면 약 1억 5천만원 이상 (10년 동안 8% 수익률 기준).
  • 20년 후: 복리 효과가 커져서 약 3억원 이상 (연평균 수익률 8% 기준).

2. QQQ 투자 시

  • 1년 후: 예상 수익률은 약 15%~18% (15% 수익 기준: 약 1,150만원).
  • 10년 후: 평균 9% 수익률을 유지하면 약 1억 8천만원 이상.
  • 20년 후: 약 4억원 이상 (연평균 수익률 9% 기준).

3. SCHD 투자 시

  • 1년 후: 예상 배당 수익은 약 4~6% 정도 (배당금 포함, 약 1,040만원).
  • 10년 후: 약 1억 2천만원 이상 (배당금도 꾸준히 늘어나면서, 7% 수익 기준).
  • 20년 후: 약 2억 5천만원 이상 (배당금 효과와 장기 복리 수익 합산).

4. 어떤 ETF가 더 유리할까?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한다면?
    • SPY가 좋습니다. S&P500에 투자하는 SPY는 안정적인 성장성과 분산 투자의 효과가 있기 때문에, 장기 투자에 유리해요.
  • 성장성 높은 기술주에 투자하고 싶다면?
    • QQQ를 추천합니다. 나스닥 100에 투자하는 QQQ는 IT와 기술주 위주의 기업들에 집중 투자하는데, 단기적 성장이 크고 장기적으로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 SPY 보다 high risk, high return을 원하신다면!
  • 배당 수익을 원한다면?
    • SCHD가 적합합니다. SCHD는 안정적인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지급하며, 장기적으로 배당금도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현금 흐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자에게 이상적이에요.

결론

월 100만원씩 투자하는 것은 소액 투자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큰 자산으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초보자라면 안정적인 ETF로 시작해 꾸준히 투자하면서 경험을 쌓고, 장기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SPY, QQQ, SCHD 중 자신에게 맞는 투자 스타일을 선택해서 투자해 보세요!

 

 

재테크를 시작하는 첫 걸음, ETF와 함께! 2025년, 더욱 스마트한 투자를 시작해 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TIGER 미국 S&P500 환헤지(H) 같은 주식 이름 뒤에 (H)가 붙는 경우, 환 헤지(Hedged)를 의미하는데요.

이는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환율 헤지 전략이 적용된 상품임을 나타냅니다.


환헤지(Hedged)의 의미

1. 환율 변동 리스크 제거
• 외국 자산에 투자할 때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H)가 붙은 주식이나 ETF는 환율 변동 위험을 헤지(보호)하기 위해 금융 파생상품(선물, 옵션 등)을 사용해 환율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2. 헤지된 상품의 특징
• 수익 안정성: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 위험이 줄어듭니다.
• 비용 발생: 환헤지에는 추가 비용(헤지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상품의 총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환헤지와 비환헤지의 차이

• 환헤지(Hedged): 환율 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상품.
• 비환헤지(Unhedged): 환율 변동에 노출된 상품.
• 예: 미국 달러 강세 시 비환헤지 상품은 환차익을 누릴 수 있음.

예시
• 환헤지 상품:
• “TIGER 미국 S&P500 환헤지(H)” → 미국 S&P500에 투자하되, 환율 변동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환헤지 적용.
• 비환헤지 상품:
• “TIGER 미국 S&P500” → 환율 변동에 노출된 상품.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배당 투자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ETF SCHD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SCHD는 대표적인 배당 ETF로 추천되는 상품으로, 안정성과 배당 수익률이 특징입니다.

또한, SPY와의 차이를 통해 어떤 상황에서 SCHD가 더 유리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SCHD 소개

SCHD는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로,

미국 주식 중 배당 성장이 뛰어나고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우량주를 선별해 투자하는 ETF입니다.

주요 특징

  • 높은 배당 수익률: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하며, 안정적인 배당 소득을 제공합니다. (3%이상의 배당률)
  • 낮은 운용 보수: 0.06%라는 매우 낮은 운용 비용으로 비용 대비 효율이 좋습니다.
  • 다양화된 포트폴리오: 100여 개의 대형 우량주에 분산 투자합니다.

구성 종목

SCHD는 배당 안정성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강한 기업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쉐브론(Chevron), 홈디포(The Home Depot), 시스코(Cisco) 같은 기업이 대표적입니다.


2. SCHD vs SPY 비교

운용 목표 고배당 및 배당 성장 중심 S&P 500 지수 추종
구성 종목 수 약 100개 기업 약 500개 기업
배당 수익률 약 3.5~4.0% 약 1.5~2.0%
성장성 낮음 (배당 안정성 위주) 상대적으로 높음 (성장주 포함)
운용 보수 0.06% 0.09%

SPY는 시장 전체를 추종하며, 배당보다는 성장성과 주가 상승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 SCHD는 고배당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3. 어떤 경우에 SCHD가 좋은가?

  • 배당 소득을 원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현금 흐름이 필요한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 안정적인 장기 투자: 시장 변동성을 줄이면서 꾸준히 배당을 재투자하려는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 리타이어 플랜: 노후 대비를 위해 고배당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4. 어떤 경우에 SPY가 좋은가?

  • 성장주 중심의 투자: 주가 상승으로 자산을 늘리고 싶은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 분산 투자: 다양한 산업과 기업에 투자하고 싶은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 단기 수익 추구: 배당보다는 주가 상승을 통한 수익을 원하는 경우.

5. SPY, SCHD 매달 100만원 씩 투자했을때 예상 수익 비교

  • 아래는 SPY와 SCHD에 매달 100만 원씩 투자했을 때
    10년, 20년, 30년 후 예상되는 투자 평가액과 누적 배당금입니다.

    1. SPY: 연평균 수익률 10%, 배당수익률 1.5%
    • 총 투자금액:
    • 10년: 1억 2천만 원
    • 20년: 2억 4천만 원
    • 30년: 3억 6천만 원

    투자 기간 평가 금액 누적 배당금 총 수익 (평가액 + 배당금)
    10년 약 2억 원 약 1,276만 원 약 2억 12백만 원
    20년 약 7억 18백만 원 약 7,586만 원 약 7억 94백만 원
    30년 약 20억 62백만 원 약 2억 69백만 원 약 23억 31백만 원

    2. SCHD: 연평균 수익률 9%, 배당수익률 3.5%
    • 총 투자금액:
    • 10년: 1억 2천만 원
    • 20년: 2억 4천만 원
    • 30년: 3억 6천만 원

    투자 기간 평가 금액 누적 배당금 총 수익 (평가액 + 배당금)
    10년 약 1억 89백만 원 약 2,877만 원 약 2억 18백만 원
    20년 약 6억 38백만 원 약 1억 63백만 원 약 8억 1백만 원
    30년 약 17억 2백만 원 약 5억 48백만 원 약 22억 5백만 원

    3. 분석 및 결론
    1. SPY:
    • 높은 연평균 성장률(10%)로 장기 투자 시 자본이 크게 불어납니다.
    • 배당 수익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자산 성장에 중점을 둔 투자에 적합합니다.
    2. SCHD:
    • SPY보다 약간 낮은 자본 성장률(9%)에도 불구하고, 배당수익률이 높아 꾸준한 현금흐름을 제공합니다.
    • 배당 수익을 통한 추가 재투자 또는 생활비 충당에 유리합니다.

위 내용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것으로 약간의 오차가 있을수 있는데,

결론은 SPY보다 수익률 자체는 낮지만, 배당률이 높아 전체 수익은 어느정도 비슷하게 나올수 있으며

장점은 확실한 현금흐름이 매달 나온다는 것입니다.


6. 결론

  • 배당 중심 투자자: SCHD
  • 성장 중심 투자자: SPY

결국, 자신의 투자 목표와 재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CHD는 배당 소득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에게 강력히 추천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5년 새해가 밝았지만, 증시는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 둔화와 금리 동결 또는 인하 기대감 속에서도 하락 및 횡보장이 예상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요.

이런 시기, 과연 어떤 투자 전략이 적합할까요?

특히 많은 투자자들이 선택하는 SPY와 SCHD를 비교해 어떤 ETF가 하락·횡보장에서 더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아래에 적어놨습니다.

 

17. 2025년 투자전략 - 보수적인 투자 (장단기 금리차 활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에 있어 꼭 알아둬야 할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최근 뉴스를 보다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요,이게 단순한 경

fire-programmer.tistory.com

 


SPY와 SCHD: 무엇이 다른가?

  1. SPY
    •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미국 대형주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 효과를 가짐.
    • 장기적으로 꾸준한 우상향(평균 연8~10%)을 보여왔지만, 배당 수익률은 낮음(1% 초반).
    • 상승장에서는 높은 성장 잠재력으로 유리.
  2. SCHD
    • 미국의 고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는 ETF로, 배당 수익률이 높음(현재 약 3.5%).
    •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 성과를 기대.
    • 하락·횡보장에서 배당금으로 손실을 완화하는 특징.

하락·횡보장에서 SPY vs. SCHD: 과거 데이터를 통한 비교

가정:

  • 투자 금액: 1억 원
  • 투자 시점: 2013년 (금융위기 이후 하락장)
  • 분석 기간: 10년 (2013~2022년)
연도 SPY 총가치 SCHD 총가치 누적 배당금 SCHD 총 수익
2013 13,000만 원 12,800만 원 384만 원 13,184만 원
2014 14,560만 원 14,080만 원 835만 원 14,915만 원
2015 14,706만 원 14,502만 원 1,313만 원 15,816만 원
2022 30,764만 원 28,602만 원 6,870만 원 35,472만 원

분석 결과:

  • SPY: 상승장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총 가치 약 3억 760만 원.
  • SCHD: 배당금으로 손실을 줄이고, 총 가치와 배당을 합쳐 약 3억 5472만 원.

하락·횡보장에 추천하는 투자 전략

  1. 장기 투자
    • 하락장에서 SCHD는 배당금 효과로 안정적.
    • 반면, 상승장이 예상된다면 SPY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
  2. 배당금 재투자
    • SCHD는 하락장에서 배당금으로 투자 손실을 보완.
    • 배당금을 재투자하면 복리 효과를 극대화 가능.
  3. 분산 투자
    • 두 ETF를 조합해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
    • 예: 70%는 SPY, 30%는 SCHD로 배분.

2025년 하락장이 온다면?

올해는 경기 침체와 기업 실적 부진으로 하락·횡보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안정적 배당을 통한 수익 보전이 중요한데, SCHD가 더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하락장에서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하고 배당금을 재투자하면 장기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론: 어떤 ETF를 선택할까?

  • SPY: 상승장 예상 시 선택.
  • SCHD: 하락·횡보장에서는 배당 재투자로 안정적 수익 확보.
  • 장기적 목표와 시장 상황에 따라 선택하거나, 두 상품을 적절히 혼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025 투자 전략

매달 100만원씩 1년간 투자 예정

기대 효과 : 현재 3.5%인 배당률이 10,20,30년 후에는 5%가 넘는 배당금이 되지않을까

"황금알을 낳는 아기 거위를 키워보자"

 

올해도 꾸준한 투자로 경제적 자유를 향해 같이 나아가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