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수종목

디즈니 : 174.4367 달러에 3주 매수!

매수시기

2021.07.19 장전거래 

매수 이유

  • 1년이나 연기됐던 블랙위도우 개봉을 시작으로 내년말까지 3달마다 1편씩 마블의 영화가 개봉예정
    닥터스트레인지, 스파이더맨, 이터널스, 가오갤 등등!!
  • 디즈니 플러스 효과 : 가입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마블 시리즈+ 독자적인 컨탠츠를 극장과 수입을 나누지 않고 혼자 꿀꺽 가능
  • 디즈니가 가지고 있는 ESPN도 구독료 상승으로 인한 매출 증가 예상
  • 코시국 이후 디즈니의 매출에 큰 부분을 차지하는 디즈니 월드 정상화 기대

코멘트

  • 계속해서 좋은 장이다가 15,16일 이틀 연속 꽤 크게 조정장이 왔길래 분할 매수를 시작

앞으로의 전망?

마블이 있는한! 디즈니의 미래는 밝다!

반응형
반응형

현금으로 300만원정도 유지하고 있던중 저번주 목,금 연속으로 조정장을 씨게 맞았습니다.

조정장은 못 참지! 당시 VIX지수도 말도 안되게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떠오른 말이 있었죠

공포에 사라!


저번주 말에 조금씩 조정을 받긴했지만!!

코로나 댈타, 람다 변이가 스멀스멀 영향을 끼쳐서인지 여행산업 관련주는 유독 더 많이 빠진걸로 판단했습니다.

금요일에만 -5%정도

여지껏 봤듯이 코로나가 진정되면 또 다시 올라갈거라 판단했고, 이건 장기로 가져갈건 아니고 중단기로 가져갈 종목으로 싼 가격에 줍줍했습니다.

매수 체결 내역
니우, SOXL은 물/불타기이고, 디즈니도 ㅈ

 


카니발
스피릿

 

매수종목

스피릿 에어로 시스템즈

델타 에어라인

카니발

NIU - 물타기

SOXL - 불타기

매수시기

2021.07.19 월요일 장전거래

매수 이유

눈여겨보던 여행주들을 조정장때, 특히 많이 조정당했을때 조금씩 줍줍

  • 크루즈 산업도 다시 일어나기 시작했고, 항공도 코로나 이전의 80%정도까지는 이용률이 올라왔다
  • 7월 15,16일 조정장이 좀 씨게 연속으로 왔기 때문에, 머지않아 회복할거라 판단
  • 그중에서도 여행관련 산업(항공/크루즈)이 전반적으로 많이 조정당하는 형세
    -> 변이로 인해 조금 더 조정이 올 수 있으나, 역시 백신등으로 머지 않아 회복할 것이라 판단

코멘트

  • VIX도 과하게 높고, 생각보다 과하게 조정당했다고 판단
    -> 노려보고 있던 여행관련주를 부담가지 않게 조금씩 줍줍
    -> 며칠 더 조정 당하면 중단기로 코로나가 약세가 되면 다시 올라갈거라 판단

앞으로의 전망?

이미 이틀 지난 시점에서, 생각보다 빠르게 회복해서 놀랍긴합니다. (8~10%정도의 수익률)

몇 달 가져가려고 주운 주식은 아니기에, 이번달 안에 처분할듯?! 싶긴합니다만

여행산업이 생각보다 많이 회복하긴 한것 같네요

반응형
반응형


매수종목

카카오 게임즈

매수시기

2021.05.06

매수 이유

  • 당시 HMM, 하이브와 함께 MSCI 지수 편입이 유력 -> MSCI 지수에 편입 효과 기대
  • 카카오 택시를 콜 할때마다 '오딘'을 질리도록 하는 광고를 보고 찾아 봄 -> 카카오 게임즈의 최고 기대작으로 조만간 서비스 시작이 예정 되어 있음

코멘트

  • 사실 2가지 이유 중 MSCI 지수 편입 효과를 단기적으로 누리려고 매수 (2번째 이유는 보험임)
  • 하지만 MSCI 지수에 편입 실패 -> 한참 동안 횡보 -> 딱히 살것도 없어서 계속 보유
  • 오딘 서비스 개시일을 기점을 3일 연속 장중 10% 상승 (10%찍고 내려오긴 함)

앞으로의 전망?

사실 기대 이상의 수익률(=10%)을 얻었기 때문에 언제 매도해도 성공이지만,
하반기에도 기대되는 신작이 출시 예정 + 모회사인 카카오의 계열사 IPO (페이,뱅크)의 효과도 있지 않을까 해서
일단 카카오 페이 IPO 근처에서 주가보고 판단

+ 토스 증권으로는 처음해 본 매매인데, 초보자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낮을듯한 UI이지만
오히려 기사용자들은 불편한듯 한 UI인듯?!

반응형
반응형

노후를 위한 대표적인 연금의 종류는 3가지가 있습니다.

퇴직연금, 개인연금, 국민연금

직장인의 경우, 퇴직연금&국민연금은 회사에서 알아서 처리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와는 반대로개인연금은 퇴직연금과 달리 개인이 따로 가입해야 하는데요.

노후(은퇴 후)에 국민연금 + 퇴직연금 + 개인연금을 통해 노후 자금을 마련해서 적정 생활비의 절반 정도를 준비하기를 국가차원에서도 바라고, 지원하고 있어요. 그 외에도 주택연금 + 개인소득이나 모아둔 자산으로 나머지를 충당하기를 독려하죠

그래야 국민의  삶이 안정화되고 국가 차원에서도 불안이 어느 정도 해소되기 때문에 세금 등 많은 지원을 해주려 합니다.

결론 먼저 보기 : 가입해야 한다면 연금 저축 펀드를 고려해보자!

 

 

연금 저축의 종류

연금저축펀드 - 자유 납, 확정기간, 원금 미보장

연금저축보험 - 정기 납, 종신, 원금보장

연금저축 신탁 - 은행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저축펀드는 ETF/펀드 등에 투자하는 것이라 자유롭고, 수익률을 투자하기 나름이죠. 

연금저축보험은 말 그대로 보험류, 신택은 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그중에 좋은 건?

저 3중에 반드시 하나를 고른다면 저는 연금저축펀드가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2가지 상품에 비해, 가입하는 게 이득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연금저축 펀드란?

  • 지급 방법 - 기간 지급, 평생 지급 중 택
  • 중도해지 불가 
  • 국내 펀드 (ETF)
  • 납입 한도 연 1800만 
  • 세액공제 외 금액은 비과세 → 배당소득세, 매매차익은 유예 
  • 수령 조건 -5년 이상 납입, 만 55세 이상 
  • 연금소득세 (55~77) 5.5%

 

장점은

  • 세액공제 - 연 16.5% (최대 400만 원/1년)
  • 수익의 15.4%의 추가 소득세 유예 : 대신 후에 총금액에서 5.5%를 제하게 됩니다
  • S&P500 같은 안정적인 ETF를 투자한다면 (평균 연 10%의 수익률) 가장 높은 수익률
    (예) S&P500 국내 ETF로 시뮬레이션(20년, 10%,400만)
    → 같은 조건보다 66만 원씩 세제 효과
    → 20년 후 1억 정도 효과 (개별:7억, 연금:8억)

 

단점은

  • 긴 기간 동안 금액이 묶임 -> 결혼/내 집 장만 등을 계획하고 있다면 고민..
  • 중도해지시 손실 가능성 큼

 

고민할 점

  • 혜택 받는 이익의 15.4% 이자소득세 vs 연금수령 시 세금 5.5% → 뭐가 이득인지 비교는 힘듦
  • 확실한 건 16.5% 세제효과

 

가입 방법

  • 증권사에서 연금저축 계좌 개설
  • 매달 34만 or 한 번에 400만 납입
  • 연말정산 → (16.5% 세제혜택)

 

결론

사실상 신탁이나 보험은 큰 메리트가 없지만,

펀드의 경우 S&P500등 안정적인 ETF를 고를 안목만 있다면 추천!

세금을 줄이거나 노후준비에 도움이 되는 것이 가장 큰 장점

하지만 돈이 몇십 년 동안 묶이기 때문에 (집/결혼 준비등을 계획 중이라면) 젊은 나이에 빨리 들 필요는 없을 듯 

 

혹은 어차피 한국에 상장된 ETF 투자 계획중이라면 이왕이면 세제 효과까지 볼 수 있도록 추천

 

 

아래링크 참고

 

개인연금, 30대에게 필수가 아닌 이유

노후준비의 핵심은 현금흐름을 '중층설계' 하는 것

blog.toss.im

 

반응형
반응형

개발하다 보면 마음속으로 믿고 보는 블로거들이 몇몇 생기기 마련이다.

출근길에 우연히 유튜브에서 '기억보단 기록'을 이라는 기술 블로그의 주인의 인터뷰영상을 보았다.

매일 자면서 가던 출근길이었지만 잠이깨고, 머리를 한대 맞은것 처럼 많은 생각이 들게 됐다.

 

 

 

개발자로서의 성장

  1. 지방대, 무스펙, 비전공자였지만 2년간 국비 학원을 다녀서 SI 직장에서 다니다가 한계를 느끼고 이직을 결심
  2. 매일 아침 2시간동안 공부하고 주말에도 알고리즘, 전공지식에 대해 꾸준하게 공부해서 ZUM 검색포털로 이직
  3. 거기서 혼자힘으로 만든 서비스의 코드 리뷰를 하는데, 기능이나 화면이 아닌 내부 성능(로직)을 가지고 평가를 받으면서 공부 방향이 많이 바뀌었고, 더 좋은 개발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하셨다고 함.
    = 화면은 빨리 만드는건 당연한 거고, 더 좋은 구조로, 더 확장성 있는 구조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
  4. 회사에서 강의를 하면서 해당 내용을 스터디, 블로그로 정리하면서 활동하다가 배달의 민족으로 스카우트
  5. 원래는 트래픽이 많은 포털 사이트로 가기를 선호했지만, 한창 배민에 좋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던 시절에 같이 일하고 싶어서 이직해서 오셨고 결국 배민이 짱 먹음ㅎㅎ
요즘들어 업무를 하다보면, 업무적인 실력은 좀 늘었지만, 과연 개발 실력은 ? 하는 생각이 든다
일인 만큼 업무처리는 당연히 빠르게 하고!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부쩍 든다

더 좋은 소스& 확장하기 좋은 구조로 만들어야 겠다는 고민은 항상 가지고 개발하자!

전에는 원노트에 혼자만 정리했는데, 블로그에 쓰면서 한번 더 정리하고, 스터디도 병행하면서 더 내것으로 만들자

생각

  1. 무라카미 하루키의 생활패턴 
    : 무조건 하루 4시간만 작업하는 게 꾸준히 오래 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들기 좋다
  2. 처음엔 5분짜리 시스템이 트래픽이 늘어서 16시간짜리 시스템이 됨
    그때는 그 방식이 맞았을 수도..
    이전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을 때는 새로운 기술, 새로운 구조로 아예 새로 만들어야 함.
  3. 그전까지의 무기로는 싸울 수 없는 상황 = 전쟁의 판도가 너무 빨리 바뀌므로
    또 언제 전쟁의 상황이 바뀔지 모르니 남는 시간에 다른 무기에 대해 항상 공부
  4. 잡담이 경쟁력 : 옆에 자리가 있으면 항상 의자를 두고 누가 오든 대화를 해야 함
    처음엔 힘들었는데 바로 피드백이 오기 때문에 훨씬 생산성이 좋다
IT업계는 전쟁의 무기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꾸준히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야만 한다!!

 

집념

  1. 1일 1 커밋 운동
    : 업무시간외에도 사이드 프로젝트로 개인 공부를 하고 있음을 증명
    심지어 갑상선암으로 입원하는 기간에도 예약을 걸어서 3년 동안 유지
  2. 하루에 80% 정도의 목표치만 채우고 나머지 20%는 내가 하고 싶은걸 하자
    그게 쉬지 않고 스트레스를 크게 받지 않고, 번아웃이 오지 않는다
  3. 개발을 잘하는 유형은 2가지
    사냥개처럼 어떻게든 결과를 물어오는 집요함
    or
    글 잘 쓰는 사람처럼 당연히 있어야 할 곳에 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코드를 작성
  4. 전체적인 인생은 제멋대로! 그때그때 하고 싶은걸 저지르자! 그게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목표는 내 범위에서만 나옴 => 목표를 정하면 다른 델 안 보니까 내가 생각 한길만 가게 됨
이 영상을 보고 매일 업무 처리만 급급하게 할게 아니라
여유가 있다면 20%의 남은 시간에 능동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적용할 수 있도록 고민하자

소스코드는 누가 봐도 이해할 수 있게! 당연한 위치에 당연하게 위치할수 있게!!

너무 재지말고 하고싶은걸 하면서! 목표도 계속 수정하면서 재밌게 살자

끝.

 

 

 

멀리서 유튜브도 같이 응원하겠읍니다. 화이팅!

 

기억보단 기록을

Java 백엔드, AWS 기술을 익히고 공유합니다.

jojoldu.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매수종목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 중국 전기차 관련 주식 ETF (자세한 내용은 하단 링크 참고)

매수시기

올해초, 전기차 뿐 아니라, 모든 주식이 미쳐 날뛰고 있을때

매수 이유

  • 개별 주식으로 가지고 있던 LI, NIU, XPEV로 재미를 보고 있던 상황
  • 글로벌 전기차 시장 + 중국 전기차 시장 모두 계속 커지고 있는 상황이고, 아직 전기차의 침투율이 낮은 상황

코멘트

  • 당시 테크주를 위주로 거품이 커져가고 있던 상황, 전기차 관련주들 역시 거품이 많이 꼈지만, 당분간 더 낄것이라 생각하고 매수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2월부터 길고 긴 암흑의 시대가 옴
  • 4달 동안의 마음 고생이 끝나고 최근에서야 다시 +전환
  • 원래는 한달정도만 갖고 팔려했는데, 타의적 장투를 해버림..

앞으로의 전망?

전기차 관련해서 완성차, 2차 전지, 충전 인프라등등 관련주라면.. 앞으로 몇년간 아묻따
하지만, 걷혔던 거품이 다시 조금씩 끼고 있는것 같은 느낌도 없지않아요.
장기적(몇년)으로 생각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일듯
단기적으로는 인플레다 중국 리스크다 뭐다 해서 오르락 내리락이 있을걸로 예상



중국 전기차 ETF에 대해 궁금하다면 아래를 클릭!

중국 전기차 ETF :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지난해부터 많이 올랐던 섹터중 하나가 전기차 시장입니다. 아직까지는 테슬라가 전기차의 상징과도 같은 상황이지만, 중국의 전기차 시장 또한 매서웠습니다. 특히 작년 가을부터 시작된 중국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작년 여름, 전기차 시장의 인기 덕분에 한창 2차전지 관련주들의 주가가 폭등하던 때가 있었는데,

그때 사놓았던 ETF의 수익률이 현재 40%를 넘겼습니다.

 

매수종목

KODEX 2차전지테마 (전기차 2차전지 관련 ETF)

 

매수시기

작년 늦여름으로 기억하는데, 한창 2차전지 관련주가 1,2번의 폭등한 후에 구매

 

매수 이유

  • 아직 침투율 5% 채 되지 않은 전기차 시장을 생각했을 때, 전기차 가격의 40%에 해당하는 2차 전지의 중요성과 성장성, 점유율 등을 판단했을 때, 들어가지 않을 이유가 없음
  • 해당 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이미 검증되었으므로 매수

 

코멘트

사실 원래는 이 금액의 3배 정도를 매수했었습니다만..!

작년부터 계속해서 한국 시장에 투자했던 투자금을 미국 시장으로 옮기고 있었기에, 10~20%의 수익률을 보고 이미 70% 정도를 야금야금 팔아서 넘어간 게 좀 아쉽네요

그 이후론 딱히 살게 없어서 잘 안 보다가 보니 수익률이 좀 올라갔네요

역시 존버가 답.

 

 

 

앞으로의 전망?

전기차 관련해서 완성차, 2차 전지, 충전 인프라등등 관련주라면.. 앞으로 몇년간 아묻따..!

 

 

 

2차전지 ETF 설명은 여기서..

 

2차전지 ETF : KODEX 2차전지테마

작년부터 붐이었던 전기차와 전기차 관련주.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나가는 분야가 2차 전지 관련 분야입니다. 세계 2위 LG화학(LG에너지 설루션), 5위 삼성 SDI, 6위 SK이노베이션 등 전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작년부터 붐이었던 전기차와 전기차 관련주.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에서 잘 나가는 분야가 2차 전지 관련 분야입니다.

세계 2위 LG화학(LG에너지 설루션), 5위 삼성 SDI, 6위 SK이노베이션 등
전기차와 2차 전지는 빼놓고 생각할 수 없으니 올라갈 건 불 보듯 뻔한 상황

그렇다면 초기 시장인 상황에서
상위권의 기업에 투자하는 게 좋을지 : 부익부
중하위권에 투자하는 게 좋을지 : 위로 상승폭이 더 열려있을 거란 판단

2가지 상황 중에 어떤 상황일지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냥 2차 전지 시장 전체에 투자를 하면 되니까~

KODEX 2차 전지 테마 (ETF)

1. KODEX 2차 전지 테마란

2차 전지 산업 전반에 투자하는 ETF
= 2차전지 밸루체인 (원재료, 장비, 부품, 제조에 관련한 국내 상장 기업)에 모두 투자
상장일 : 2018.09.12
총보수 : 연 0.45%

2. 상위 10개 종목은

역시나 우리의 예상대로 2차 전지 3대 장인 LG화학, 삼성 SDI, SK이노베이션이 각각 20%,15%,15% 정도씩을 차지하고 3종 목합이 50%
그다음에 포스코 케미컬, 최근에 상장한 SKIET, 에코프로, 에코프로 비엠, 일진머티리얼즈, 씨아이에스 순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3. 1년간 수익률은

역시나 작년 여름에 엄청 올랐다가 횡보
또 연말~1월에 폭등 후 아직까지 횡보하는 양상으로 보이네요
연 수익률은 90%가 넘네요. 무려 94% 정도
1년 동안 이 펀드에 매월 30만 원씩 투자했다면, 내가 투자한 360만 원이 700만 원이 됐을 거라는 계산도 나오네요
음.. 이건 매달 30만 원이 아니라 1년 전에 한 번에 360만 원을 넣었을 때 700만 원 (=수익률 94%)가 되는 게 맞는 계산인 것 같기는 한데..?

4. 앞으로의 전망은

그럼 앞으로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전기차를 만드는 기업에서도 스스로 배터리를 만들겠다는 얘기는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만!
그런 기술력이 단기간 내에 뚝딱하고 나올리는 없을 테죠
당연히 커져가고 있는 전기차 시장과 거기서 선전하고 있는 국내 기업이 많다는 걸 생각한다면
묻고 떠블로 가..!
우리나라 3 대장의 글로벌 점유율도 거의 34% 정도니까

반응형
반응형

지난해부터 많이 올랐던 섹터중 하나가 전기차 시장입니다.
아직까지는 테슬라가 전기차의 상징과도 같은 상황이지만, 중국의 전기차 시장 또한 매서웠습니다.


특히 작년 가을부터 시작된 중국 전기차의 랠리 LI(리 자동차), XPEV(샤오펑), NIO(니오)까지 작년에만 최소 몇배씩 주가가 올랐다가, 올해 2월 조정장부터 씨게 조정 받고 있습니다.

NIO만 보더라도 엄청난 주가 상승...

 

 

 

1. 중국 전기차 ETF

미래에셋에서 운용하는 TIGER 차이나전기차 SOLACTIVE

이 ETF는 중국이나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중국 전기차 산업 관련 기업을 최대 20종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완성차, 부품, 배터리, 화학기업까지 포함해서 중국, 홍콩, 미국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들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  상세 정보

상장일 : 2020년 12월 8일  (정말 따끈따끈한 ETF네요)

운영보수 : 연 0.49% (ETF 치고는 꽤나 큰...)

시가총액 : 9500억원 정도.. (TIGER의 코스닥150이 2000억정도인데..ㅎㄷㄷ)

현재가 : 13900원

정기적으로 연 2회 변경

3. 구성 종목

ETF의 상위 10개 종목입니다.

테슬라의 중국 라이벌인 BYD가 6위로 6.5%정도의 비중을 갖고 있네요

작년 LG화학과 2차전지 분야 세계 1,2위를 다툰 CATL도 7.25%로 4위에 해당하네요

 

4. 결론

물론 아직 거품이 다 걷혔다고는 볼 수 없지만.

전기차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생각했을때!

그 중에서 중국 전기차 시장을 생각한다면!!

장기적으로는 아직 몇년간은 한창 매수 타이밍이 아닐까 싶습니다.

(개인 생각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오라클에서 특정 날짜 사이가 며칠인 구하는 방법

 

1. Contract 테이블의 StartTime과 오늘 사이에 며칠이 지났는지 확인

SELECT
	TRUNC(SYSDATE - TO_DATE(StartTime,'YYYYMMDDHHMISS'))
FROM
	CONTRACT

2. Contract 테이블의 Duration에 지정한 날짜가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

(ex. Duration:30일, StartTime이 7일전 => 유효기간은 23일 남음 )

SELECT
	Duration - TRUNC(SYSDATE - TO_DATE(StartTime,'YYYYMMDDHHMISS')) Remaining_Days
FROM
	CONTRACT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