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주식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이지만,

양도소득세와 환전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할 때 한국 주식도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어요.

특히 미국 ETF(SPY, QQQ)와 유사한 한국 상장 ETF와 레버리지 상품을 활용하면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대안과 이유를 함께 알아볼게요.

 

이글을 쓰는 이유는 2024년 ETF베이스로 투자를 했는데

양도소득세만에 2달치 월급을 내야 하는 상황이 왔습니다...

어떻게 하면 양도세를 절세할수 있을지 여러가지 방법을 찾고 있었는데요.

궁금한 점을 조사하면서 공유드리고자 해요.

 

일단 저는 TQQQ와 SOXL을 제일 많이 매매하긴했는데,

QQQ같은 경우 레버리지로 국내에 투자하면 비슷한 수익률이지만 세금은 덜 내지 않을까했거덩여

 

그전에 왜 ETF를 투자하는가 하면

 

6. 내가 ETF에 투자하는 이유 (aka.주식 시장에 투자하기)

내가 운이 좋으면 타이거 우즈를 1홀을 이길 수는 있지만 18홀 모두 돌았을 때, 이기는 건 불가능하다(어렵다)골프는 18홀 동안의 스코어를 합산해서 점수를 내고, 그걸로 승부가 결정됩니다.내가

fire-programmer.tistory.com

 

그렇다면 왜 SPY와 QQQ인가?! 이건 워낙 유명하지만 다시 한번 리마인드!

 

 

spy, S&P 500 : 워렌 버핏도 믿고 사는 미국 주식 치트키

안녕하세요. 오늘은 미국 주식의 대표적인 ETF 중 하나인 S&P 500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작년부터 주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주변에서 주식을 시작하려 할 때, 가장 많이 추천했던 ETF입

fire-programmer.tistory.com

 

 

QQQ : 나스닥 1등부터 100등 (금융주 넌 빠져)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미국 ETF Invesco에서 운용하며, 현재 미국 ETF 시총 5위 규모의 성장주 위주의 ETF! 개인적으로도 QQQ는 S&P 500과 더불어 주변 미국 주식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fire-programmer.tistory.com

 

 

1. SPY에 해당하는 한국 주식 ETF

SPY 대안: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1. KODEX S&P 500 TR (27763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지수: S&P 500 Total Return Index
• 특징:

• S&P 500 지수에 포함된 미국 대형주에 투자.
• 미국 원본 ETF(SPY)와 유사한 움직임을 보여줌.
2. TIGER S&P 500 (143850)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지수: S&P 500 Price Index
• 특징:
• SPY와 비슷한 흐름.
• 한국 원화로 거래 가능하므로 환전 부담이 없음.

2. QQQ에 해당하는 한국 주식 ETF

QQQ 대안: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1. TIGER 나스닥 100 (133690)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지수: NASDAQ-100 Price Index
• 특징:
• 미국의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된 나스닥 100 지수 추종.
• 환전 없이 한국 원화로 거래 가능.
2. KODEX 나스닥 100 TR (30494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지수: NASDAQ-100 Total Return Index
• 특징:
• 나스닥 100의 성장성을 따라가며 장기 투자에 적합.

 

 

그렇다면 레버리지 상품도 있겠죠?

 

TQQQ : QQQ의 3배 레버리지 (QQQ 매운맛)

안녕하세요. 날이 부쩍 더워진걸 보니, 작년 여름의 좋았던 때가 떠오르네요. 오늘 정리할 내용은 QQQ를 3배로 추종하는 TQQQ (ETF)입니다. QQQ는 미국 기술주가 주로 상장되어 있는 나스닥 시장의 상

fire-programmer.tistory.com

 

레버리지 상품: 더 큰 수익률을 노릴 수 있는 선택

미국에는 TQQQ같은 QQQ의 3배레버리지까지 있지만, 아쉽게도 국내는 2배까지만 제공하고 있습니다

 


3. S&P 500 레버리지 (2배)

1. TIGER 미국 S&P 500 레버리지(292150)
• 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 특징: S&P 500 지수의 2배 수익률을 추구.
• 주의점: 레버리지 상품은 변동성이 크므로 단기 투자에 적합.

 

4. 나스닥 100 레버리지 (2배)

1. KODEX 미국 나스닥 100 레버리지(275980)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특징: 나스닥 100 지수의 2배 수익률을 추구.
• 주의점: 상승장에서는 큰 수익을, 하락장에서는 큰 손실을 가져올 수 있음.

 

5. 한국 주식이 좋은 대안인 이유

1) 세제 혜택
• 한국 주식 양도소득세 면제 한도: 연간 5,000만 원 이하
• 국내 상장 주식에서 발생하는 양도차익이 연간 5,000만 원 이하라면 양도소득세가 면제됩니다.
• 반면, 미국 주식은 250만 원 이상 차익부터 22%(지방세 포함) 세율로 과세됩니다.
• 예를 들어:
한국 주식에서 4,000만 원 차익 → 세금 0원
미국 주식에서 4,000만 원 차익 → 약 836만 원 세금 납부

2) 환전 비용 절감
• 미국 주식을 거래하려면 환전(원화 → 달러)이 필요해요.
• 평균 1~2%의 환전 수수료가 발생하므로 장기적으로 보면 큰 비용이 됩니다.
• 반면, 한국 주식은 원화로 바로 거래 가능해 비용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3) 거래 편의성
• 미국 주식은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야간 거래가 필요하지만, 한국 주식은 국내 시간대에 맞춰 거래 가능해 편리합니다.

 

6. 결론

QQQ나 SPY 같은 미국 ETF를 투자하거나, 2배 레버리지에 투자할 경우에는 추천!!

위의 상품들이 좋은 대안입니다.

왜냐하면 양도세가 무시못하는데, 미국주식의 경우 250만원만 넘어가면 22%씩 내야 하는데, 금액이 상당합니다;;

(참고로 2배 레버리지에 투자하려면 1시간짜리 강의를 듣고, 투자계좌에 1000만원 이상을 넣어놔야 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미국 TQQQ와 국내 QQQ 2배레버리제 투자했을때 비교

수익이 나고 250만원 이상 나는걸 기반으로 비교했을때, 그래도 TQQQ가 조금 더 수익률이 더 높은걸로 계산되긴해서, 저는 좀 더 고민해봐야겠어요. 

반응형
반응형

요즘 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미래를 위해 주식 계좌를 만들어 자산을 선물하고 싶어 하죠.

저는 아직 아이는 없지만, 아이가 생긴다면 아이를 위해 계좌를 준비할것 같은데요.

알아본 정보를 공유하려고 해요.

특히 미성년자를 위한 계좌 개설 방법, 미국 주식 투자 가능 여부, 그리고 주요 주의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했어요.

 

 

왜 아이에게 주식 계좌를 선물해야 할까?

1. 장기적 복리 효과
• 어릴 때부터 주식을 보유하면 긴 시간 동안 복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요.
2. 금융 교육 기회
• 경제와 투자에 대해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줍니다.
3. 미래 자산 마련
• 학자금, 결혼 자금, 노후 자금 등 장기적인 자산을 준비할 수 있어요.

 

미성년자 주식 계좌 개설 및 선물 방법

1. 직접 개설 후 자산 이전(증여)

• 방법: 아이 명의로 계좌를 개설한 후 부모가 주식을 증여하거나 일정 금액을 입금합니다.
• 절차:
1. 증권사 방문: 부모가 필요한 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준비해 증권사에 방문.
2. 계좌 개설: 아이 명의의 계좌를 만듭니다.
3. 자산 이전: 주식이나 현금을 증여하여 계좌에 입금.
• 장점:
• 미성년자 시절부터 장기 투자가 가능.
• 자산을 증여하는 과정이 투명하고 간단.
• 단점:
증여세가 발생할 수 있음(10년간 2,000만 원 면제).
• 배당금, 매매차익 등이 아이 명의로 귀속되므로 소득세 관리 필요.

 

2. 부모 명의 계좌에서 관리하다가 성인이 된 후 이전

• 방법: 부모 명의로 자산을 관리하다가 아이가 성인이 되면 계좌를 이전.
• 절차:
1. 부모 명의로 주식 계좌 개설 및 투자.
2. 아이가 성인이 되면 주식을 증여하거나 계좌를 이전.
• 장점:
미성년자 계좌의 제약을 피할 수 있음(미국 주식, 매도 제한 등).
• 증여 타이밍을 조절해 세금을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 단점:
부모의 자산으로 간주되므로 법적 소유권은 부모에게 있음.
• 장기적으로는 아이 명의 계좌로 옮기는 과정에서 증여세 발생 가능.

 

3. 증권사 신탁 상품 활용

• 방법: 신탁 계좌를 통해 아이 명의로 자산을 운영.
• 절차:
1. 부모가 증권사에 신탁 상품 가입.
2. 신탁 계좌에 일정 금액을 맡겨 아이의 자산으로 운영.
3. 아이가 성인이 되면 신탁 해지 및 계좌 이전.
• 장점:
• 자산을 전문적으로 관리받을 수 있음.
• 증여세와 세금 문제를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
• 단점:
• 수수료가 발생하며, 신탁 금액의 일정 비율을 지불해야 함.
• 초기 투자 금액이 높아야 하는 경우가 많음.

 

미국 주식 투자 가능 여부

1. 미성년자 계좌에서 미국 주식 투자
•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미성년자 계좌로 미국 주식 거래가 가능합니다.
• 단, 일부 증권사는 환전 기능 제한이나 매도 시 부모 동의가 필요한 경우가 있으니 확인하세요.
2. 부모 계좌로 관리하다 이전
• 미국 주식 매매에 제약이 없다면 부모 계좌에서 관리 후, 나중에 아이 계좌로 증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 이 경우 초기 투자 및 매매에 유연성이 있습니다.

 

주의사항

1. 증여세 관리
• 10년 동안 2,000만 원까지는 비과세지만, 이를 초과하면 증여세 신고가 필요합니다.
• 증여세율은 10%에서 최대 50%까지 적용될 수 있으니 신중히 관리하세요.
2. 미성년자 보호 규정
• 증권사별로 미성년자 계좌에 매도 제한, 고위험 상품 거래 제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HTS/MTS에서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3. 장기 투자 중심
• 아이를 위한 계좌는 단기 매매보다는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S&P 500 ETF(SPY, IVV), 나스닥 100 ETF(QQQ), 배당주 ETF(SCHD) 등이 안정적입니다.

상세 내용은 아래글에서 확인하기

https://fire-programmer.tistory.com/180

 

 

14. 미국 배당주 모아가기 - 황금 알을 낳는 거위를 만들자

노후를 위한 꾸준한 현금흐름, 배당주 투자가 답입니다안녕하세요, 여러분!오늘은 노후를 대비해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로 배당주 투자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요즘 은퇴 후

fire-programmer.tistory.com

 


4. 교육 병행
• 계좌만 만들어주고 끝내지 말고, 경제와 투자에 대한 기본 개념을 함께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요 증권사 비교

증권사 미국 주식 거래 가능 여부 미성년자 계좌 제한 특징
키움증권 가능 부모 동의 필요(매도 제한 가능) 환전 및 외화 예수금 관리 제한 가능성 있음
삼성증권 가능 고위험 상품 제한 국내외 주식 거래 가능. HTS/MTS 사용 제한 없음
NH투자증권 가능 부모 확인 후 거래 가능 신탁 계좌 제공. 세금 관리 옵션 다양
KB증권 가능 매도 시 부모 동의 필요 다양한 ETF 상품 제공

 

결론

아이를 위해 주식 계좌를 선물하는 건 경제적 책임감과 자산 형성의 좋은 출발점이에요.
• 미성년자 계좌로 직접 개설: 증여세 관리만 잘하면 장기적으로 훌륭한 자산이 됩니다.(2000만원까진 부담x)
• 부모 명의 계좌 관리 후 이전: 초기 투자가 유연하며, 세금 부담 시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세금 부담 시기를 조정O)
• 신탁 계좌 활용: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할 경우 적합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에 있어 꼭 알아둬야 할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최근 뉴스를 보다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요,

이게 단순한 경제 용어를 넘어 투자 위기 타이밍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저도 처음엔 “그게 뭔데?“라는 생각이었지만, 하나씩 알아가면서 투자에 큰 도움이 됐어요.

오늘은 장단기 금리차가 뭔지, 실제로 과거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현재 상황까지 쉽게 풀어볼게요.

 

1.장단기 금리차란?

먼저, 장단기 금리차는 간단히 말해서 장기 국채 금리와 단기 국채 금리의 차이입니다.
여기서 국채 금리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에 투자했을 때 받는 수익률을 뜻하죠.


10년-2년 금리차
• 10년물 장기 국채 금리에서 2년물 단기 국채 금리를 뺀 값
중장기적 경기 흐름을 볼 때 활용


10년-3개월 금리차
• 10년물 국채 금리에서 3개월물 국채 금리를 뺀 값
단기적인 연준 정책이나 경기 변화의 민감도를 확인할 때 주로 사용

 

정상: 장기금리 > 단기금리
왜냐면, 돈을 오래 빌려주는 만큼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금리차가 역전(단기 금리가 더 높아짐)되면,

시장에서는 미래에 큰 경제 위기가 올 가능성을 경고하는 신호로 해석합니다.

 


2.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주는 메시지

10년-2년 금리차 역전

• 내용
과거 데이터를 보면, 이 금리차의 역전은 1~2년 후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했습니다.
• 이유
장기 국채 금리가 하락한다는 건 사람들이 경기 전망에 비관적이라는 뜻이고, 안전한 장기 채권에 몰리고 금리 인하

 

10년-3개월 금리차 역전
• 내용
이 금리차는 경기 침체에 더 단기적인 신호를 줍니다.
• 이유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면서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보다 높아지면,

시장은 연준의 긴축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정상 금리차: 장기 금리 > 단기 금리 : (경기 성장 기대)
역전 금리차: 단기 금리 > 장기 금리 : (경기 침체 신호)

 

3. 과거 사례로 보는 금리차와 경제 위기

KB증권 , 볼룸버그

1. 2000년 IT 버블
• 상황: 1998년 말부터 10년-2년 금리차가 축소되더니 2000년 초 역전.
• 결과: 금리차 역전 약 1년 후 IT 버블이 터지며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짐.

2. 2007-2008년 금융위기
• 상황: 2005년 말부터 금리차가 좁아졌고, 2006년 역전 발생.
• 결과: 금리차 역전 약 2년 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3. 2019년 금리차 역전과 코로나 쇼크
• 상황: 2019년 초 10년-2년, 10년-3개월 금리차 모두 역전.
• 결과: 약 6개월 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제 침체 발생.

 

4. 현재 금리차와 2025년 경제 예상

현재(2024년 12월 말 기준), 장단기 금리차는 아래와 같은 상태입니다:
• 10년물 국채 금리: 약 4.00%
• 2년물 국채 금리: 약 4.35%
• 3개월물 국채 금리: 약 4.34%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 10년-2년 금리차: -0.35%
• 10년-3개월 금리차: -0.34%

즉, 장단기 금리차가 모두 역전된 상태입니다. (비정상)
이는 시장이 향후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과거 데이터를 참고했을 때, 금리차 역전 후 6개월에서 2년 내 침체가 왔던 사례가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만24개월이 훌쩍 지난 상태이긴하지만 아직 침체는 오지 않았습니다

 

5. 경기 침체시 투자 전략 - 2025년 투자 전략

현금 확보
• 위기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현금을 확보하는 게 중요합니다.
•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니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포트폴리오 점검
• 고위험 자산은 줄이고, 배당주나 채권 등 방어적인 자산으로 전환.
•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S&P 500, 금 등)을 중심으로 재구성.
역사를 교훈 삼아 장기 투자
• 단기적 위기는 불가피하지만, 장기 투자자는 이 시기를 새로운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 과거에도 금리차 역전이 경기 침체를 예고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이 회복하며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이미 역전된지 만 2년이 넘었는데요?!

근래에는 FED 정책의 영향으로 왜곡된 침체 신호 기조가 있어서인지 

금융환경을 대폭 완화시켰고, 오히려 주식시장의 추세적인 상승과 과열로 작년~올해 내내 좋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2024년에는 호재로 작용한 금리인하가 시작되었고, 대선이 있었으며(대선이 있는 해에는 성장률이 평년대비 좋다)

오히려, 호재가 소비된 내년부터는 조정이 있을수도 있기에

3배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투자는 줄여 대응을 할까 합니다

 

 

19. 2월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 재매수를 위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할 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2월의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특히, 2월에 보유한 주식을 일부 매도하는 전략이 왜 유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 동

fire-programmer.tistory.com

 

 

18. 내가 사용하는 가장 간단하면서, 잘 먹히는 주식 매도 전략 (RSI)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오늘은 레버리지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효율적인 매도 전략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저처럼 TQQQ, SOXL, FNGU 같은 3배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분들은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올해부터 시작한 노후 준비 프로젝트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인생을 길게 보고 20년, 30년 후를 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매달 조금씩 꾸준히 투자하는 세 가지 방법을 선택했어요.

1. 개인연금 - S&P 500

첫 번째는 개인연금 계좌로 S&P 500 ETF에 투자하는 거예요. 개인연금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현재의 세제 혜택과 함께 복리 효과를 누리기에 정말 적합한 투자 방법이에요.

왜 S&P 500인가요?

  • S&P 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500대 대형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적이고 꾸준히 우상향하는 투자처예요.
  • 역사적으로 연평균 수익률이 약 **7~10%**로, 장기 투자에 적합해요.
  • 전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기업들(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이 포함되어 있어서 리스크가 분산되죠.

함께 보면 좋은

 

S&P 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정말 10%일까?

1. 풍문으로만 듣던 10%의 수익률 여태까지 들어온 바로는 S&P500의 연 수익률이 10%정도 된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제가 예전에 정리했던 글에도 적혀있지만 spy, S&P 500 : 워렌 버핏도 믿고 사는 미국

fire-programmer.tistory.com

 

개인연금의 장점

  • 세액공제 혜택: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납입하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복리 효과: 길게 투자할수록 수익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죠.

개인연금 알아보

 

개인 연금 저축 : 노후를 위한 준비, 하지만 30대는..?

노후를 위한 대표적인 연금의 종류는 3가지가 있습니다. 퇴직연금, 개인연금, 국민연금 직장인의 경우, 퇴직연금&국민연금은 회사에서 알아서 처리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와는 반대로개인

fire-programmer.tistory.com

 

국내에서 살 수 있는 ETF 추천

개인연금 계좌에서는 미국 주식을 직접 살 수 없으니, 국내 상장된 S&P 500 ETF를 활용하면 돼요. 대표적으로 TIGER S&P500 ETFKODEX S&P500 ETF가 있어요.


2. 개인연금 - QQQ

두 번째는 QQQ ETF에 투자하는 방법이에요. QQQ는 S&P 500보다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라고 할 수 있어요. 미국의 기술주 중심 나스닥 100 기업에 투자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죠.

왜 QQQ인가요?

  • QQQ는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어요.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NVIDIA 같은 혁신 기업에 집중 투자하죠.
  • 과거 데이터에 따르면 QQQ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12%**로 S&P 500보다 높아요.

QQQ가 궁금하다면?

 

QQQ : 나스닥 1등부터 100등 (금융주 넌 빠져)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미국 ETF Invesco에서 운용하며, 현재 미국 ETF 시총 5위 규모의 성장주 위주의 ETF! 개인적으로도 QQQ는 S&P 500과 더불어 주변 미국 주식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fire-programmer.tistory.com

 

국내에서 살 수 있는 ETF 추천

마찬가지로 개인연금 계좌에서는 TIGER 나스닥100 ETFKODEX 나스닥100 ETF 같은 국내 상장 ETF를 이용하면 돼요.


3. 배당 ETF 투자

마지막으로 배당 ETF에 투자하고 있어요. 배당주는 단순히 주가 상승뿐만 아니라, 꾸준히 지급되는 배당금으로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이에요. 특히 저는 SCHD에 투자 중입니다.

왜 SCHD인가요?

  • 배당 수익률 약 3%: 안정적인 배당금과 함께 자산도 성장할 수 있어요.
  • 저렴한 비용: 경비율이 0.06%로 낮아서 장기 투자에 유리해요.
  • 성장성과 배당의 균형: 배당금을 받으면서도 자산도 꾸준히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죠.

SCHD 외에 비슷한 ETF 추천

SCHD 외에도 좋은 배당 ETF가 많아요:

  • VYM: 배당 수익률은 약간 낮지만, 폭넓은 종목에 분산 투자.
  • DVY: 고배당 주식에 집중하며 안정적인 배당 수익 제공.

4. 예상 수익률 비교: 매달 100만 원씩 20년 투자

가정:

  • S&P 500: 연평균 수익률 8%
  • QQQ: 연평균 수익률 12%
  • SCHD: 연평균 수익률 7%, 배당 수익률 3% 포함
  1. S&P 500 (20년 후)
    • 투자 원금: 2억 4,000만 원
    • 예상 자산: 약 5억 9,200만 원
  2. QQQ (20년 후)
    • 투자 원금: 2억 4,000만 원
    • 예상 자산: 약 8억 9,000만 원
  3. SCHD (20년 후)
    • 투자 원금: 2억 4,000만 원
    • 예상 자산: 약 4억 9,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470만 원 (월 약 122만 원)

역시나 QQQ가 수익률이 좋을수밖에 없죠. 과거데이터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자산이 꽤 차이가 나죠?

다만, 이전에 그렇다고 해서 앞으로도 저런 수익률이라고는 보장 할 수 없으니 고민은 필수

 

배당주로 유명한 SCHD는 예산자산 자체는 많이 오르지 못했네요.

S&P500보다는 예상 자산은 작지만, 확실한 현금흐름(배당)을 만들수 있다는 장점이 아주 매력적이네요


결론

이 세 가지 방법 모두 안정적이면서 장기적으로 자산을 키우기에 좋은 선택이에요.

개인연금은 세제 혜택과 복리 효과를 활용하기 위해 꾸준히 넣고,

배당 ETF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키우는 마음으로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꾸준히, 길게 투자하는 거예요.

노후 준비는 시간의 도움으로 복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자산이 되니까요.

반응형
반응형

노후를 위한 꾸준한 현금흐름, 배당주 투자가 답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노후를 대비해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로 배당주 투자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요즘 은퇴 후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분들이 많잖아요?

안정적으로 매달 들어오는 현금이 있다면 마음도 한결 편해지겠죠.

그런 의미에서 배당주 투자는 정말 매력적인 선택이에요.

특히, 미국 배당주는 안정성과 수익성 모두를 갖춘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어요.

최고의 배당주는?!

 

9. 최고의 배당주를 뽑아라! 코카콜라 vs 삼성전자(워렌버핏 vs 재드래곤)

최고의 투자자 워렌버핏이 배당금으로 2년마다 원금 회수하는 주식 = 코카콜라위의 내용을 요약하면, 지금으로부터 30년전에 투자를 했다고 하고, 현재 기준으로 배당률이 50%가 넘는다고 합니다

fire-programmer.tistory.com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대한 목표를 잡기전에 보면 좋은글

 

5. 내가 10억을 모으려면 얼마나 걸릴까

10억이 가지는 의미는 여러 의미가 있습니다.FIRE족을 꿈꾼다면 나의 조기 은퇴를 시켜주는 은퇴 자금이 되기도 하겠죠   그렇다면 평범한 직장인이 월급을 모아서 10억을 모으기 위해 얼마나

fire-programmer.tistory.com

 

 

4. FIRE 운동 : FIRE족이 온다 - 얼마를 모으고, 얼마를 써야 은퇴가능한가

FIRE 가 무엇이냐FIRE 운동 : Financial Independence & Retire Early직역하자면, 경제적 독립을 해서 이른 나이에 은퇴하자는 운동입니다.정년까지 일하지 않고 최소한의 지출만 하고 임금의 70%가량을 저축

fire-programmer.tistory.com



1. 왜 미국 배당주에 투자해야 할까요?

1. 안정성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고, 안정적인 기업들이 많아요. 특히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는 회사들은 재무 구조가 탄탄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리스크가 적습니다.
2. 수익성
미국 배당주는 매년 배당금을 증가시키는 기업들이 많아요. 이른바 **배당 귀족주(Dividend Aristocrats)**들이죠. 이런 기업들에 투자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배당 수익률도 함께 높아져요.

 


2. 배당 투자의 쉬운 방법: 미국 배당 ETF

“직접 기업을 고르는 게 어렵다”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방법이 ETF 투자예요.

미국에는 배당주에 특화된 ETF들이 많아서 소액으로도 손쉽게 분산 투자할 수 있거든요.
여기 대표적인 미국 배당 ETF들을 소개할게요.
1.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 (VYM)
• 주요 특징: 대형 우량주 위주로 구성. 안정성과 배당률의 균형이 뛰어남.
• 2024년 기준 배당 수익률: 약 3%


2. iShares Select Dividend ETF (DVY)
• 주요 특징: 배당 지급 이력이 긴 기업에 집중. 높은 배당률이 장점.
• 2024년 기준 배당 수익률: 약 3.5%


3.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 주요 특징: 배당 성장성과 배당률 모두 뛰어난 기업 위주.
• 2024년 기준 배당 수익률: 약 3.7%

이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SCHD를 추천드려요. 배당 수익률이 높을 뿐 아니라, 과거 10년 동안 꾸준히 좋은 성과를 보여줬거든요.

 


매달 100만 원 투자하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

매달 100만 원씩 투자했을 때 배당 수익금

  1. VYM (배당 수익률 2.84%)
    • 10년 후:
      • 예상 자산: 1억 6,7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474만 원 (월 약 39만 5천 원)
    • 20년 후:
      • 예상 자산: 4억 9,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391만 원 (월 약 116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10억 6,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3,010만 원 (월 약 250만 원)
  2. DVY (배당 수익률 3.38%)
    • 10년 후:
      • 예상 자산: 1억 5,8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534만 원 (월 약 44만 5천 원)
    • 20년 후:
      • 예상 자산: 4억 4,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487만 원 (월 약 124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9억 2,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3,110만 원 (월 약 259만 원)
  3. SCHD (배당 수익률 3%)
    • 10년 후:
      • 예상 자산: 1억 7,4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522만 원 (월 약 43만 5천 원)
    • 20년 후:
      • 예상 자산: 5억 8,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740만 원 (월 약 145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13억 5,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4,050만 원 (월 약 338만 원)

10년간 투자 후 추가 매수 없이 보유했을 때 배당 수익금

  1. VYM (배당 수익률 2.84%)
    • 20년 후:
      • 예상 자산: 3억 2,8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932만 원 (월 약 77만 5천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6억 4,4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828만 원 (월 약 152만 원)
  2. DVY (배당 수익률 3.38%)
    • 20년 후:
      • 예상 자산: 3억 1,2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055만 원 (월 약 88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6억 1,6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2,081만 원 (월 약 173만 원)
  3. SCHD (배당 수익률 3%)
    • 20년 후:
      • 예상 자산: 3억 9,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170만 원 (월 약 97만 5천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7억 8,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2,340만 원 (월 약 195만 원)

결론

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거예요. 미국 배당주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투자처로, 특히 ETF 투자는 초보자들에게도 쉬운 선택이 될 수 있답니다. 매달 100만 원씩 투자하면서 시간과 복리의 힘을 믿는다면, 20~30년 뒤에는 여러분도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질 수 있을 거예요.

오늘부터 조금씩 준비해보는 건 어떠세요? 여러분의 노후가 더 행복해지길 응원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해외주식 양도세 아끼는 꿀팁: 연말 전략으로 세금을 줄여보기!

 


미국주식 250만원 이상 수익을 내서 양도소득세를 내야한다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1. 250만원 이상의 주식 이익을 봤고, 한 증권사에서 거래했을 경우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 신고 방법

작년에 미국시장이 좋은 덕분에 수익이 좀 많이 났는데요수익이 많이 날수록 내야하는 세금도 많아지죠...흑흑그래서 올해는 내야 할 세금이 꽤 많습니다.근데 저는 4개 증권사를 사용하거든요

fire-programmer.tistory.com

1. 250만원 이상의 주식 이익을 봤고, 여러 증권사에서 거래했을 경우

 

여러 증권사 매매시, 통합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 신고 방법 (KB증권, 삼성증권, 카카오페이,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 신고 방법작년에 미국시장이 좋은 덕분에 수익이 좀 많이 났는데요수익이 많이 날수록 내야하는 세금도 많아지죠...흑흑 그래서 올해는 내야 할 세금이 꽤

fire-programmer.tistory.com




해외주식에 투자하고 계신가요? 그럼 양도소득세에 대해 한 번쯤 고민해보셨을 겁니다.
특히 연말이 다가오면 투자 성과를 정리하면서 세금을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을까 궁금해지죠.
오늘은 해외주식 양도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꿀팁을 소개합니다!

💡 해외주식 양도세의 기본 이해
한국에서 해외주식을 거래하면, 양도소득세 22% (지방세 포함)가 부과됩니다.
• 기준: 연간 순이익이 250만 원을 초과할 경우
• 과세 대상: 매도한 시점에서 발생한 순이익

이때 가장 중요한 건 매도일(양도일) 기준으로 세금이 계산된다는 점입니다.
즉, 매도일이 속한 연도의 수익이 해당 연도의 양도소득세로 계산됩니다.
 

📅 연말 매도 전략: 내년 수익으로 넘기는 방법
2024년의 수익을 내년으로 넘기고 싶다면, 주식을 2025년 1월 1일 이후에 매도해야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미국 주식의 결제일(T+2) 규칙입니다.
• T+2 규칙: 매도일로부터 2 영업일 후에 결제가 완료됩니다.
• 예를 들어, 2024년 12월 30일(월요일)에 주식을 매도하면, 실제 결제는 2025년 1월 2일(목요일)에 완료됩니다. 이 경우 수익은 자동으로 2025년 양도소득세 대상이 됩니다.

✅ 안전하게 내년 수익으로 넘기려면?
2024년 12월 30일 이후에 매도하면 수익이 2025년도로 넘어가니 안심하고 거래하세요!
즉, 12월 30일, 31일 매도시 내년도 수익으로 인정이 되어, 내년으로 미룰수 있습니다.
❗주의. 물론 내년도 250만원 이상의 소득이 나온다면, 이 방법은 크게 효과가 없을수 있습니다

📆 연말 미국 주식시장 운영 시간
연말에는 미국 주식시장의 거래 시간과 휴장일을 확인해야 전략적인 매도가 가능합니다.
2024년 연말 주요 일정을 정리해봤습니다:
• 12월 23일(월): 정상 거래일 (한국 시간 오후 11:30 ~ 오전 6:00)
• 12월 24일(화): 크리스마스 이브, 조기 폐장 (오전 3:00 종료)
• 12월 25일(수): 크리스마스 휴장
• 12월 26일(목) ~ 12월 30일(월): 정상 거래일
• 12월 31일(화): 정상 거래일
• 2025년 1월 1일(수): 신년 휴장

 

안전하게 투자하시고

안정적인 투자 종목들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https://fire-programmer.tistory.com/184

 

 

반응형
반응형

OpenSearch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도구이며,

OpenSearch Dashboards는 다양한 시각화 도구를 제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OpenSearch에서 대시보드에 추가할 수 있는 모든 시각화 패널 유형과 사용법을 예제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OpenSearch 입문자라면 이 글을 통해 개발/운영에 도움이 되는 대시보드를 구성해 보세요!


1. Line Chart (라인 차트)

설명: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사용 데이터: 시간 기반 로그 데이터 (예: 트래픽, 에러 발생률).

적용 방법:

  • X축에 시간 필드를 추가하고, Y축에 값을 설정합니다.
  • 집계(Aggregation) 방식 선택 (합계, 평균 등).예시: 매시간 API 요청 수를 라인 차트로 시각화하여 트렌드를 확인합니다.

2. Bar Chart (바 차트)

설명: 범주별 데이터를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 데이터: 사용자 그룹별 요청 수, 제품별 매출.

적용 방법:

  • X축에 범주 필드, Y축에 집계 값을 설정합니다.
  • 스택형 또는 그룹형 차트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예시: 브라우저별 사용자 트래픽을 막대 그래프로 시각화합니다.

3. Pie Chart (파이 차트)

설명: 데이터를 비율로 표현하며, 부분과 전체의 관계를 이해할 때 유용합니다.

사용 데이터: 에러 유형 비율, 국가별 사용자 분포.

적용 방법:

  • 세그먼트 기준 필드를 선택해 데이터 비율을 계산합니다.예시: HTTP 상태 코드(200, 404, 500) 비율을 파이 차트로 표시합니다.

4. Metric Visualization (메트릭 시각화)

설명: 단일 값을 표시하여 데이터를 간결하게 표현합니다.

사용 데이터: 평균 응답 시간, 총 요청 수.

적용 방법:

  • 집계 유형(예: 평균, 최대값)을 선택하고 값을 출력합니다.예시: 현재 평균 응답 시간(450ms)을 메트릭으로 표시합니다.

5. Data Table (데이터 테이블)

설명: 데이터를 상세하게 나열할 때 사용합니다.

사용 데이터: 이벤트 로그, 사용자별 세부 정보.

적용 방법:

  • 열(Column)에 필드를 추가해 테이블 형식으로 데이터를 구성합니다.예시: 사용자 ID, 요청 URL, 상태 코드를 테이블로 표시합니다.

6. Heatmap (히트맵)

설명: 두 필드 간의 상관관계를 색상으로 표현합니다.

사용 데이터: 시간별 트래픽 집중도, 특정 지역의 응답 시간.

적용 방법:

  • X축과 Y축에 분석할 필드를 추가하고 색상으로 데이터를 표현합니다.예시: 특정 시간대에 서버 부하가 집중되는 패턴을 히트맵으로 시각화합니다.

7. Markdown (마크다운 위젯)

설명: 텍스트, 설명, 알림 등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 데이터: 대시보드 설명, 경고 메시지.

적용 방법:

  • Markdown 패널에 텍스트를 입력하고 HTML 스타일로 꾸밉니다.예시: "이 대시보드는 API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구성되었습니다."라는 설명 추가.

8. Tag Cloud (태그 클라우드)

설명: 단어의 빈도수를 시각화하며, 중요도에 따라 크기가 달라집니다.

사용 데이터: 로그 데이터의 주요 키워드.

적용 방법:

  • 필드를 선택하고 단어 빈도에 따라 크기를 지정합니다.예시: 사용자 리뷰 데이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를 태그 클라우드로 표시합니다.

9. Gauge (게이지)

설명: 목표 대비 현재 상태를 직관적으로 표현합니다.

사용 데이터: CPU 사용률, SLA 목표 달성률.

적용 방법:

  • 목표값을 설정하고 현재 값을 비율로 표시합니다.예시: CPU 사용률이 70%로 목표(80%)에 근접한 상태를 표시합니다.

10. Histogram (히스토그램)

설명: 데이터를 일정 간격으로 그룹화해 빈도를 시각화합니다.

사용 데이터: 응답 시간 분포, 이벤트 발생 간격.

적용 방법:

  • X축 간격(Bin size)을 설정하고 데이터 빈도를 출력합니다.예시: 응답 시간이 0-100ms, 100-200ms로 나뉜 그래프를 생성합니다.

11. Geo Map (지도 시각화)

설명: 지리적 데이터를 지도에 표현합니다.

사용 데이터: 위치 기반 요청, 지역별 사용자 분포.

적용 방법:

  • 데이터셋에 있는 위치 정보를 활용해 지도를 구성합니다.예시: 전 세계에서 발생한 요청 분포를 지도에 표시합니다.

12. Annotations (주석)

설명: 특정 이벤트나 시점을 시각화에 추가합니다.

사용 데이터: 배포 이력, 장애 발생 시간.

적용 방법:

  • 라인 차트 등에 주석을 추가합니다.예시: 새로운 기능 배포 이후의 성능 변화를 라인 차트에 표시합니다.

13. Time Filters (시간 필터)

설명: 특정 시간 범위의 데이터를 필터링합니다.

사용 데이터: 특정 기간의 로그 데이터.

적용 방법:

  • 대시보드 상단에서 시간 범위를 선택합니다.예시: 지난 7일 동안의 데이터만 시각화.

14. Alerting (알림)

설명: 특정 조건 충족 시 알림을 설정합니다.

사용 데이터: 에러 발생, SLA 초과.

적용 방법:

  • OpenSearch Alerting 플러그인으로 알림 규칙 설정.예시: HTTP 500 에러가 1시간에 10건 이상 발생하면 이메일 알림 전송.

15. Custom Plugins (커스텀 플러그인)

설명: OpenSearch Dashboards에 새로운 시각화를 추가합니다.

사용 데이터: 복잡한 사용자 정의 데이터 표현.

적용 방법:

  • 커스텀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설정합니다.예시: Sankey 다이어그램으로 데이터 흐름을 시각화합니다.

결론

OpenSearch Dashboards는 다양한 시각화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직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위에서 소개한 패널과 기능들은 각각의 데이터 유형과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입문자라면 우선 라인 차트, 바 차트, 파이 차트와 같은 기본 시각화를 연습해 보세요.

이후 데이터가 익숙해지면 히트맵이나 지도와 같은 고급 시각화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OpenSearch Dashboards를 만들때, 도움이 되기를! 🚀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길!😊

반응형
반응형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 신고 방법

작년에 미국시장이 좋은 덕분에 수익이 좀 많이 났는데요수익이 많이 날수록 내야하는 세금도 많아지죠...흑흑 그래서 올해는 내야 할 세금이 꽤 많습니다.근데 저는 4개 증권사를 사용하거든

fire-programmer.tistory.com

안녕하세요

지난 편에 여러 증권사를 사용할때,

해외주식 양도세가 무엇이고

어떻게 신청하는지를 간단하게 훑어봤는데요.

사실 대행신고는 앱에서 "양도세" 검색해서

신청하기만 제 기간안에 잘 누르면 돼서 크게 어려운게 없어요

대신 기간을 놓치면 5월에 노가다가 많다는점...

그래서 기간 놓치지 않게 신경만 쓰시면 된답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린 것 처럼 저는 4개 증권사를 사용중인데요

저는 KB증권, 삼성증권, 카카오페이, 토스 증권을 사용 중이고,

작년에 기준치인 250만원 이상의 소득을 냈기 때문에 이번에 열심히 알아본 내용을 공유 드리려고 합니다

 

증권사별 양도소득세 대행 신청 방법 및 여러 증권사 사용시 통합 신청 방법

  단독 사용시 증권사별 양도소득세 대행 신청 방법 여러개 사용시 (내역 요청)
KB증권 앱 > 양도소득세 검색 > 양도소득세조회/대행신청 - PC 웹 >  양도소득세 검색 > 해외주식양도소득내역발급 >조회 >pdf 저장
삼성증권 앱 > 해외주식 세금 검색 > 해외주식세금 > 해외주식양도세대행 - 앱 > 해외주식양도소득내역서 검색 > 해외주식양도소득내역서 선택 > 메일로 발급 신청
- PC 웹 > 해외주식양도세 검색 > 로그인 > 조회 > 인쇄 > pdf 저장
토스 앱 > 전체 메뉴에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검색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 앱 > 전체 메뉴에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검색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증명서 발급 > 메일로 회신
카카오 페이 앱 > 주식 > 계좌관리 > 해외주식 예상세금 > 신고대행 신청하기 - 앱 > 증권봇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증명서 발급' 입력 > 메일로 신청
- 전화로 요청1600-8515 (평일 08~18) > 메일로 회신

 

위처럼 여러개 사용시 각 증권사별로 작년도 해외소득 내역을 발급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대표로 신청할 증권사를 한 곳 골라서 거기에 통합으로 대행을 신청해야 해요

전 KB증권을 통해 신청하려 합니다

 

KB증권에서 타 증권사 통합 소득세 신고 방법

아날로그 방법뿐 인데,

오프라인으로 가까운 영업점을 방문해야 해요~(KB증권)

영업시간은 16시까지이니 참고하시길

 

그리고 다운 받은 내역들은 모두 출력하여 들고 가야합니다.

 

준비물 : 모든 내역 출력물, 신분증

반응형
반응형

 

 

작년에 미국시장이 좋은 덕분에 수익이 좀 많이 났는데요

수익이 많이 날수록 내야하는 세금도 많아지죠...흑흑

그래서 올해는 내야 할 세금이 꽤 많습니다.

근데 저는 4개 증권사를 사용하거든요 (KB,삼성, 카카오페이, 토스)

그래서 해외주식 양도세를 신고해야하는데요

 

보통 2가지 방법이 있어요

1. 기본적으로는 각자 종합소득세 신고기간(5월)에 신고하는 방법

2. 증권사 대행 신고하는 방법

 

양도세가 뭔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5단계로 먼저 설명을 드리자면..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해외주식을 매도하면서 발생하는 이익에 대한 세금!

국내주식과 마찬가지로 양도소득세는 1년 동안의 해외주식 양도손익을 합산하여 계산해요

 

2. 해외주식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경우 해외주식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데,

쉽게 생각하면, 작년에 내가 해외주식으로 250만원보다 벌었다면 내야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 1년 동안의 해외주식 양도차액이 250만원 초과
  • 해외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하고 매도한 경우 (단기간 보유 시 20% 과세)
  • 외국법인 지분을 3년 이상 보유하고 매도한 경우 (장기간 보유 시 10% 과세)

 

3.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양도소득세율은 고정! 양도소득과세표준 * 22%

양도소득과세표준 = 양도소득금액 - 양도소득기본공제 - 필요경비

  • 양도소득금액: 매도가격 - 취득가격
  • 양도소득기본공제: 인당 250만원
  • 필요경비: 매매수수료 등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 양도소득기본공제(250만원)를 차감한 후 22%의 세율을 적용

= (작년에 매수/매도해서 번 돈을 모두 합한 금액 - 250만원) * 22% 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 작년에 A증권사+1000 &B증권사 +250라면, -> (1250-250) * 22%해서 220만원의 세금을 내야해요

 

양도세를 조회해서 어느정도가 나오는지도 금방 확인 해볼 수 있어요

 

4.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매년 5월종합소득세 신고와 함께 신고합니다. 신고 시에는 해외주식 양도소득 내역서를 작성하여 첨부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보다 간단한 방법은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대행신고를 활용하는것이고

보통 4월 초중순에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니까 4월쯤부터 확인하시면 돼요

 

5.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관련 주의 사항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자진신고납부 대상입니다.
  • 해외주식 양도손실이 발생한 경우에도 신고해야 합니다.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시 필요 서류를 정확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그럼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방법은?

간단합니다.

보통 MTS (혹은 HTS)로 들어가서 메뉴에서 해외주식 양도세 (혹은 양도소득세)로 검색하면 대행 신고가능한 메뉴가 있어요

기간 : 4월~5월사이에 증권사마다 다른 일정으로 올라오기 때문에 사용하시는 증권사 별로 미리 알아둘 필욘 있어요

KB의 경우 4월 초부터 거의 1달 가까이 사전 신청을 받아 대행 신고를 해줍니다.

이 기간을 놓치게 되면 5월에 고생..고생

  단독 사용시
KB증권 앱 > 양도소득세 검색 > 양도소득세조회/대행신청
삼성증권 앱 > 해외주식 세금 검색 > 해외주식세금 > 해외주식양도세대행
토스 앱 > 전체 메뉴에서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검색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카카오 페이 앱 > 주식 > 계좌관리 > 해외주식 예상세금 >  신고대행 신청하기

 

 

타 증권사에서도 거래했다면?

근데, 여기서 복잡한 경우가 있으니

작년에 2개 이상 증권사에서 거래한 경우입니다.

 

본래는 5월 종합소득세 신고에서 엑셀로 다운 받아 수기로 매매 기록을 하나씩 기입해야하는데요

이게 실제로 해보니 여엉 손이 많이 가는일이더라구요...

그렇기 때문에 대행 신고를 하는것인데,

증권사가 여럿이라고 하면 손이 더더욱 많이 가겠죠...

이런 경우에 이제 머리가 아파지는데..

결론은 따로따로, 대행신고를 하는게 아니라 모든 자료를 취합해서, 한 곳에 전달해줘야 해요.

자세한건 다음장에!

 

여러 증권사 매매시, 통합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 신고 방법 (KB증권, 삼성증권, 카카오페이,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대행 신고 방법작년에 미국시장이 좋은 덕분에 수익이 좀 많이 났는데요수익이 많이 날수록 내야하는 세금도 많아지죠...흑흑 그래서 올해는 내야 할 세금이 꽤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AWS Lambda란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서버리스 = 개발자가 서버를 관리할 필요가 없음(클라우드가 서버 관리) -> 코드에만 집중

 

서버리스란?

서버리스 아키텍쳐 = 서버를 직접 관리할 필요가 없는 아키텍처

 

람다의 특징

이벤트 기반으로 즉시 실행 (단일 함수가 간단한 작업을 수행)

이벤트 구독하여 비동기적으로 실행 가능

 

람다의 동작 방식

  1. 이벤트 트리거
  2. 실행 환경 구축
  3. cold start or 활성화 인스턴스 재사용 : 
  4. 함수 코드 실행
  5. 이벤트 처리

함수 호출 -> 새로운 컨테이터 생성 -> (계속 요청) 컨테이너 재사용 -> (5분 요청 끊기면) 컨테이너 초기화

즉 하나의 기능(함수)만 들어있는 컨테이너를 생성

 

Lambda 장점

사용한만큼만 돈을 냄 (비용저럼 하여 절감)

자동 스케일업, 높은 가용성

서버 관리 없이, 코드 개발만 가능

 

Lambda 단점

cold start : 람다가 깰때 최대 지연시간 1s ->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하지 않음

서버 제공자에 의존(aws)

긴시간을 소요하는 작업에 불리

코드 재사용이 어려움 / 상태 비저장 : 이벤트로 트리거 될때마다 새로운 환경에서 호출 -> 새로운 컨테이너 띄우는 방식

 

람다 적용에 유리한 서비스

이벤트 기반(트리거)

메시지 큐에 쌓인 메시지 처리 작업

로그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

 

Lambda 적용 판단 기준

실행주기 짧은 주기에 적합
하나의 이벤트에 실행 후 인스턴스 소멸
적합
트래픽/부하 이벤트에 응답해 자동으로 확장 적합
비용 구조 실행된 코드에 대한 요금 적용
실행시간/메모리/초당실행횟수/데이터 전송비용/coldstart 발생
확인필요
피크시간/아닌시간
cold start 영향 최초 실행시 지연시간
첫 실행(새 인스턴스 생성)
람다 계속 실행시 재사용 -> 멈추는 경우 발
부적합/확인필요
코드 크기 / 제약사항 함수 크기/실행시간에 제한 적합
자동확장 자동 확장 가능. 중요한 요소인 적합
로그 모니터링 기존과 다름
aws cloudwatch logs로 관리
-
설계 / 개발 경험 기존 개발 프로세스와 다름 -

 

EC2보다 Lambda가 유리한 경우

  • 서비스 특성 (람다:간단한 단일 함수, EC2:특정 인스턴스가 전체 서비스 담당)
  • 트래픽 패턴 (람다:불규칙하고 짧은 실행시간 , EC2: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트래픽)
  • 리소스 사용 (람다: 함수 사용에 필요한 리소스만 사용 , EC2:지속적으로 설정한 리소스 사용)
  • 비용 (람다:초당 실행시간=>짧은 실행시간&불규칙한 트래픽에 효과 , EC2:일정한 예약, 사용량에 따라 비용 발생)

 

결론

단순한 로직이라 람다에 적합할 것이라 생각

장점 : 서버리스, 자동 스케일업, 비용절감, 이벤트 드리븐 아키

치명적인 cold start 단점: 첫 시작시 1초 지연 가능

 

따라서 비용 구조 / cold start 영향도 확인 필요

 

peak시간 : 자동확장

아닐때 : 비용 최적화(절감)

EC2에 비해 비쌈. 온디맨드 적용시 더 비쌈 -> 하지만 원래 서버는 가용률보다 높게 운영해서, 쓴만큼만 지불 

 

단, peak로 올라갈때 cold start 발생

인스턴스 미리 늘리기 가능 (온디맨드로 인스턴스 수 설정 -> 콜드 스타트 없이 즉시 실행)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