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에 있어 꼭 알아둬야 할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최근 뉴스를 보다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요,
이게 단순한 경제 용어를 넘어 투자 위기 타이밍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저도 처음엔 “그게 뭔데?“라는 생각이었지만, 하나씩 알아가면서 투자에 큰 도움이 됐어요.
오늘은 장단기 금리차가 뭔지, 실제로 과거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현재 상황까지 쉽게 풀어볼게요.
1.장단기 금리차란?
먼저, 장단기 금리차는 간단히 말해서 장기 국채 금리와 단기 국채 금리의 차이입니다.
여기서 국채 금리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에 투자했을 때 받는 수익률을 뜻하죠.
10년-2년 금리차
• 10년물 장기 국채 금리에서 2년물 단기 국채 금리를 뺀 값
• 중장기적 경기 흐름을 볼 때 활용
10년-3개월 금리차
• 10년물 국채 금리에서 3개월물 국채 금리를 뺀 값
• 단기적인 연준 정책이나 경기 변화의 민감도를 확인할 때 주로 사용
정상: 장기금리 > 단기금리
왜냐면, 돈을 오래 빌려주는 만큼 더 높은 이자를 요구하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금리차가 역전(단기 금리가 더 높아짐)되면,
시장에서는 미래에 큰 경제 위기가 올 가능성을 경고하는 신호로 해석합니다.
2.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 주는 메시지
10년-2년 금리차 역전
• 내용
과거 데이터를 보면, 이 금리차의 역전은 1~2년 후 경기 침체가 올 가능성을 강하게 암시했습니다.
• 이유
장기 국채 금리가 하락한다는 건 사람들이 경기 전망에 비관적이라는 뜻이고, 안전한 장기 채권에 몰리고 금리 인하
10년-3개월 금리차 역전
• 내용
이 금리차는 경기 침체에 더 단기적인 신호를 줍니다.
• 이유
연준이 금리를 급격히 인상하면서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보다 높아지면,
시장은 연준의 긴축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정상 금리차: 장기 금리 > 단기 금리 : (경기 성장 기대)
역전 금리차: 단기 금리 > 장기 금리 : (경기 침체 신호)
3. 과거 사례로 보는 금리차와 경제 위기
1. 2000년 IT 버블
• 상황: 1998년 말부터 10년-2년 금리차가 축소되더니 2000년 초 역전.
• 결과: 금리차 역전 약 1년 후 IT 버블이 터지며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짐.
2. 2007-2008년 금융위기
• 상황: 2005년 말부터 금리차가 좁아졌고, 2006년 역전 발생.
• 결과: 금리차 역전 약 2년 후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3. 2019년 금리차 역전과 코로나 쇼크
• 상황: 2019년 초 10년-2년, 10년-3개월 금리차 모두 역전.
• 결과: 약 6개월 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경제 침체 발생.
4. 현재 금리차와 2025년 경제 예상
현재(2024년 12월 말 기준), 장단기 금리차는 아래와 같은 상태입니다:
• 10년물 국채 금리: 약 4.00%
• 2년물 국채 금리: 약 4.35%
• 3개월물 국채 금리: 약 4.34%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 10년-2년 금리차: -0.35%
• 10년-3개월 금리차: -0.34%
즉, 장단기 금리차가 모두 역전된 상태입니다. (비정상)
이는 시장이 향후 경기 침체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과거 데이터를 참고했을 때, 금리차 역전 후 6개월에서 2년 내 침체가 왔던 사례가 많습니다.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만24개월이 훌쩍 지난 상태이긴하지만 아직 침체는 오지 않았습니다
5. 경기 침체시 투자 전략 - 2025년 투자 전략
현금 확보
• 위기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현금을 확보하는 게 중요합니다.
•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니 안전자산 비중을 늘리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포트폴리오 점검
• 고위험 자산은 줄이고, 배당주나 채권 등 방어적인 자산으로 전환.
•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자산(S&P 500, 금 등)을 중심으로 재구성.
역사를 교훈 삼아 장기 투자
• 단기적 위기는 불가피하지만, 장기 투자자는 이 시기를 새로운 기회로 삼을 수 있습니다.
• 과거에도 금리차 역전이 경기 침체를 예고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이 회복하며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이미 역전된지 만 2년이 넘었는데요?!
근래에는 FED 정책의 영향으로 왜곡된 침체 신호 기조가 있어서인지
금융환경을 대폭 완화시켰고, 오히려 주식시장의 추세적인 상승과 과열로 작년~올해 내내 좋은 성장률을 보였습니다.
2024년에는 호재로 작용한 금리인하가 시작되었고, 대선이 있었으며(대선이 있는 해에는 성장률이 평년대비 좋다)
오히려, 호재가 소비된 내년부터는 조정이 있을수도 있기에
3배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투자는 줄여 대응을 할까 합니다
19. 2월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 재매수를 위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할 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2월의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특히, 2월에 보유한 주식을 일부 매도하는 전략이 왜 유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 동
fire-programmer.tistory.com
18. 내가 사용하는 가장 간단하면서, 잘 먹히는 주식 매도 전략 (RSI)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오늘은 레버리지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효율적인 매도 전략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저처럼 TQQQ, SOXL, FNGU 같은 3배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분들은
fire-programmer.tistory.com
'재테크 > 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2월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 재매수를 위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할 때 (0) | 2025.02.11 |
---|---|
18. 내가 사용하는 가장 간단하면서, 잘 먹히는 주식 매도 전략 (RSI) (0) | 2025.01.15 |
15. 노후 준비 방법 - 개인연금, 안전자산, 배당 & 시나리오 별 수익률 비교 (2) | 2024.12.27 |
13. 2024 투자전략 2 - 미국 금리 인하시 투자 방법 (2) | 2023.12.22 |
12. 2024 투자 전략 1 - 소외받은 중소기업에 투자하기 (S&P 500과 M7 그리고 S&P 493) (1) |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