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내돈내산 SNPS 편 — 설계 도구의 왕좌를 향한 모험 (혹은 귀신의 뒷걸음질?)”

 

이번 달엔 뭘 샀냐고요?

바로 SNPS.
이유?
“떨어진 이유가 해소되면 올라간다.” + “반도체 왕국 설계툴 회사라면 절대 망하진 않겠지?”라는 모험심이 합쳐진 선택.

 

공부한 것 요약

  • 중국 수출 제한 → 시장 통로 막힘
  • IP 사업 약세 + 고객 팹 투자 축소
  • 그러나 수출 제한 해제 + Ansys 인수 기대감

다음 달 예고

  • 차트 반등 신호 잡으면 추가 진입?
  • Ansys 통합 발표 있을 경우 폭등 가능성
  • 규제나 무역 마찰 뉴스 뜨면 급락도 예상

“SNPS야, 나랑 같이 내려가면 같이 올라오자!”


1. 종목 소개 & 사업 구조

  • 회사명: Synopsys, Inc. (티커: SNPS)
  • 산업군: 반도체 설계 자동화(EDA: Electronic Design Automation) + 반도체 IP (재사용 칩 설계 요소) + 시뮬레이션/검증 솔루션
  • 위치 역할: 반도체 설계자가 “칩을 그리는 펜”이라면, SNPS는 그 펜을 만드는 도구 회사 + 색깔 채우는 소프트웨어 회사 같은 존재
  • 시장 점유율: EDA + IP 쪽에서 경쟁사인 Cadence, Siemens EDA 등과 함께 글로벌 시장의 상위 70~80% 이상 점유하는 기업 중 하나 
  • 최근 인수합병: Ansys 인수 완료 직전 단계로, 시뮬레이션 + EDA 통합 플랫폼 노리기 중 

2. 강점 / 약점

✅ 강점

  • 기술 리더십: EDA + IP + 검증 툴 모두 보유 → 반도체 설계 생태계 전방위 노출
  • 통합 시너지 기대: Ansys 인수로 설계 → 검증 → 시스템 레벨까지 한 회사에서
  • 수요 구조: AI 칩, 고성능 반도체, 자동차 반도체 등 설계 수요 지속 확대
  • 미국 대외 정책 수혜 가능성: 첨단 반도체 설계 도구 쪽 정부 중시 분야

⚠️ 약점

  • 중국 수출 제한 리스크: 2025년 5월, 미국의 수출 제한 지침이 내려졌고, SNPS는 중국향 판매·서비스 일시 중단해야 했음
  • 매출 구조 쏠림성: 설계 IP 사업(디자인 IP) 부문이 약세 보임 → 전체 실적 견인 약화 
  • 실적 가이던스 조정 및 경영 리스크: 3분기 발표에서 가이던스 하향 발표, 투자자 리스크 불안 증폭
  • 고밸류에이션 부담: 기술주 + 성장 기대치가 가격에 많이 선반영되어 있음

3. 최근 폭락 요인 & 사건 정리

  • 역대 최대 하루 낙폭: 3분기 실적 발표 직후 주가는 하루 만에 약 34% 급락, 회사 역사상 최대 일일 낙폭 기록됨
  • 이유 요약:
    1. 디자인 IP 매출 감소: IP 사업이 약 8% 하락, 수익성 타격됨
    2. 중국 수출 제한: 미국 정부의 수출 통제로 중국향 제품·서비스 제공 중단 → 수익성 및 수요 꺾임
    3. 주요 팹 고객의 투자 축소: 대형 foundry 업체의 설비 투자가 둔화됨 → 설계 도구 수요도 약해짐
    4. 가이던스 하향: 회사가 향후 실적 가이던스를 낮춤 → 투자자 신뢰 하락 
  • 이후, 미국 정부가 수출 제한 조치 해제 발표 → SNPS가 중국향 제품 판매 재개 가능성 밝힘
  • 동시에, Ansys 인수 관련 규제 허가도 통과하면서 기대 반등 요인 생김 

4. 유리/불리한 시장 상황

시장 환경유리한 경우불리한 경우
반도체 붐 + AI 집적 칩 설계 수요 폭발 설계 도구 매출 증가, 유틸리티 수요 확장
설계 IP 수요 증가 IP 라이선스 수익 증가
중국/아시아 시장 개방 + 수출 자유화 시장 확장 가능성 재개 수출 제한 재도입 위험
표준 규제 완화 및 미국 기술 우대 정책 투자자 신뢰 회복 반대로 무역 마찰 심화, 정치 리스크 강조
경기 침체 / 팹 투자 축소 / 고객 CAPEX 삭감 수요 급감, 실적 악화

5. 지금은 어떻게 예측되는지 (진입 타이밍 관점)

  • 수출 제한 조치 해제 발표 이후, 반등 흐름 일부 나타남 (중국 영업 재개 기대감 반영) 
  • 다만, 고객 신뢰 회복까지는 시간 필요, 중국 고객의 구매 보류 가능성 남아 있음
  • Ansys 인수 완료 + 사업 통합이 어떻게 시너지를 낼지 지켜봐야 함 
  • 분석가들은 목표가 하향 조정하거나 등급을 낮춘 경우 많아, 현재는 “밑바닥 매수 관점 + 리스크 감수용 소액 진입” 접근이 많은 분위기
반응형
반응형

“미친 듯이 올라가는 테슬라… 나도 같이 타야지!”
근데 미국 주식 양도세 걱정 + 부담스러워서, 테슬라 1배 노출 대신 한국 ETF로 대체해봤다!


1. 뭐길래 이걸 샀냐 — 종목 소개 & 기본 구조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KR7457480002 / 457480)

  • 운용사: 한국투자신탁운용 / ACE ETF 브랜드 
  • 지수 구성:
     - 테슬라 주식 30%
     - 전기차 산업 관련 기업 (EV Supporters Top 15) 55%
     - 반도체 상위 기업 15%
    → 즉, 테슬라 + 관련 밸류체인 종목들을 같이 묶은 액티브 ETF
  • 수수료: 연 0.29% 정도
  • 특징: 환헤지 안 한다고 명시돼 있어서, 환율 변동 리스크 있음 
  • 주요 리스크 공시: “괴리율 초과” 이슈 있었음 — 시장가격이 순자산가치보다 많이 높게 움직인 적 있음

2. 강점 & 약점 — 장점 살리고 단점 조심하며

항목강점약점 / 주의점
테슬라 대체 노출 테슬라만 사는 것보다 리스크 분산 가능 테슬라 상승이 너무 강하면 ETF가 상대적으로 덜 갈 수도 있음
밸류체인 덩어리 투자 배터리, 반도체, 전기차 부품 등 관련 흐름 같이 탈 수 있음 일부 밸류체인 기업 부진이 전체 수익성 깎을 수 있음
국내 ETF이므로 양도세 부담 완화 해외 주식 양도세 걱정 조금 덜함 국내 거래소 ETF라 유동성·거래량 영향 있음
액티브 운용의 유연성 시장 변화 따라 편입 종목 조정 가능 액티브 운용 비용 + 운용사의 선택 리스크 존재
환율 노출 원화 기준 수익률에 환율 영향 받음 원화 약세 시 수익률 훼손 가능성 있음

3. TSLL / TSL3 같은 해외 레버리지 대안 vs ACE 비교

TSLL

  • 이름: Direxion Daily TSLA Bull 2X Shares (TSLL)
  • 특징: 테슬라 주가의 하루 수익률 2배 추종
  • 강점: 단기 폭발력, 테슬라 강세장에 폭등 가능
  • 약점: 변동성 극심, 장기 보유 시 누적 손실 가능성 큼

TSL3 (또는 3TSL)

  • 이름: Leverage Shares 3x Tesla ETP (TSL3 / 3TSL)
  • 특징: 테슬라 하루 수익률 3배 추종
  • 엄청난 기복, 극단적 리스크

비교 팁:

  • TSLL / TSL3는 “폭등 혹은 폭락” 운전대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는 “테슬라 흐름 + 안정감 장치 붙인 조합” 운전대

4. 내가 산 이유 & 진입 타이밍

테슬라를 믿고 산 TSL3가 테슬라 과매수 구간으로 판단하여 수익을 보고 매도
하지만 테슬라빔은 멈추지 않음
1. 레버리지 리스크 회피 - 테슬라를 믿긴 했지만 급격한 상승으로 언제든 하락 가능
2. 해외 주식 양도세 - 이미 내야 할 세금도 많으므로 미국대신 한국장에서 선택

 

반응형
반응형

 
“UNH 오늘도 고통스럽게 떨어지지만 이이야말로 나 같은 개미에겐 진입 기회인가?”
 


1. 종목소개 & 비즈니스 구조

UnitedHealth Group, Inc. (UNH)
미국 최대 헬스케어 + 보험 + 의료 서비스 통합 기업.

  • UnitedHealthcare: 보험 및 의료 혜택 관리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등)
  • Optum: 데이터 분석, 클리닉 운영, 헬스케어 서비스 + 기술 플랫폼 등

이 구조 덕분에 의료 보험업만이 아니라 기술+서비스 수익도 같이 확보할 수 있는 구조
그리고 미국 내 인구 고령화, 헬스케어 지출 증가 + 정부 의료 정책 변화 등으로 장기적 수요 기반


2. 최근 폭락 원인 요약

왜 그렇게 크게 빠졌는가? 

🔻 실적 부진 & 비용 압박

  •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수익성 대폭 하락
  • 보험 운영비용 증가, 의료비 지출 비율(medical cost ratio)이 높아지면서 마진 줄어든 게 치명적
  • 회사 스스로 2025년 adjusted 이익 전망치를 기존 대비 대폭 낮춘 거 발표 

⚖️ 규제 & 조사 리스크

  • 미국 법무부(DOJ)가 메디케어 진료 청구 방식에 대해 형사 조사 중이라는 보도. 진료비 청구 조작 가능성 관련 의혹.
  • 간호 시설(Nursing Homes) 쪽에 “병원 전환 줄이기 위해 뒷거래 했다”는 보도
  • CEO 교체, 경영 리더십 불확실성도 쇼크 요인으로 작용

결국 “수익성 문제 + 규제 리스크 ” 가 겹치면서 주가가 폭락


3. 어떤 시장 환경에서 유리 / 불리한가

✅ 유리한 환경

  • 의료비 상승 + 보험 수요 증가
  • 정부 의료 보조 지출 확대
  • 규제 완화 및 보험사 지원 정책 등장
  • 경제 안정 & 금리 하락 → 헬스케어 업종 매력 상승

❌ 불리한 환경

  • 규제 강화, 조사 확대
  • 비용 급증 (의료 인건비, 치료비 등)
  • 보험 수익률 악화, 이익 전망 하향
  • 금리 상승 등으로 자본 비용 높아질 때

4. 현재 상황 & 향후 전망

📉 지금 모습

  • 2025년 들어서만 주가가 절반 이상 빠졌다고 봐야 함
  • 주가가 5년 만의 저점 근처까지 떨어졌다는 기사도 있음
  • 회사는 2025년 예상 실적을 다시 발표하면서 “매출 $445.5B ~ $448.0B, 순이익 최소 $14.65B” 라는 전망
  • 다만 이 전망도 보수적으로 잡은 거고, 마진 개선 안 되면 더 하락 여지

🔮 전망

  • “저가 매수 찬스” 보는 분석 많고, 일부는 지금 폭락이 과도 반응이라는 의견 제시 중
  • 다만 회복에는 시간이 필요하고, 리스크 요인들이 해소돼야 한다는 전제 하에 중장기 베팅이 유효하다는 시선도 있어
  • 내부 구조 개편, 비용 억제, 규제 대응 능력 등이 관건
  •  

결론

UNH는 지금 “불신의 늪”에 빠졌지만 나는 지금 이 낙폭이 저가 매수 찬수라고 보고 중장기 기간으로 매수
(내돈내산) 과연 웃을지 울을지

반응형
반응형

🧬 알테오젠(Alteogen) 완전 분석 & 투자 인사이트 🧬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이오벤처 알테오젠(196170.KQ)**을
기존 형식의 블로그 글로 정리하며
기업 개요, 핵심 기술, 실적, 재무 안정성, 투자 관전 포인트까지 빠짐없이 다뤄볼게요.


1. 📌 기업 개요 & 성장성

  • 몇 년 만에 코스닥 시총 톱 수준 (약 21조 원) 을 기록한 알테오젠은2008년 설립된 플랫폼 기반 바이오텍입니다
  • 주력 분야는 히알루로니다제(ALT‑B4) 기술을 활용한 피하주사 전환 솔루션, 바이오시밀러·바이오베터 개발
  • 대표 박순재 박사는 LG화학, MIT 경력을 가진 창업자로, 2024~25년 잇달아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라이선스 계약을 맺으며 영향력 확대 중입니다

2. 🧪 핵심 기술 & 주요 파이프라인

  • Hybrozyme 플랫폼(ALT‑B4):
    • 정맥주사 약물을 피하주사(SubQ)로 바꿔주는 효소 기술
  • 글로벌 제약사와 피하주사 MOU/라이선스 계약 다수 체결:
    • AZ, 다이이찌산쿄 → 최대 1.35 조 원 규모 계약 체결 
    • MSD·Sandoz 등과도 협력하여 다수 후보군 확보 

✅ 즉, 사업 모델은 기술 이전(BT‑to‑Licensing) 중심이라 리스크 대비 수익 기대치가 높습니다.


3. 📈 실적 & 재무 안정성 분석

  • 2024년 연결 기준 실적:
    • 매출 1,028억 원 (+6.6%),
    • 영업이익 306억 원,
    • 순이익 712억 원 전환 – 실적 대폭 개선
  • 재무구조 안정적
    • 자산 약 4,090억 원, 부채 약 1,015억 원
    • TTM 기준 매출총이익률 71% 
  • R&D 투자도 적극적
    • 2024년 매출액 대비 R&D 지출 비중 54% (누적 기반)

💡 결론: 이익 + 현금흐름 + 기술 라이선스 → 모두 개선 중인 흑자 성장 회사입니다.


4. 📊 밸류에이션 및 리스크 요소

  • PER 335배, PBR 76배 수준으로 현 고평가 구간임 
  • 트레이딩뷰 밸류에이션에서 약 43% 저평가 의견도 존재 
  • 주요 리스크:
    1. 글로벌 파트너와의 기술계약 진행 여부
    2. 특허 소송·허가 지연 (예: Halozyme과의 키트루다 관련 분쟁)
    3. 고PER로 투자 리스크 높은 고평가주

5. 🎯 투자 관전 포인트

구분 체크 포인트

✅ 기술계약 진행 AZ·MSD·다이이찌산쿄 등 파트너사 추가 계약 여부
✅ 임상/허가 성과 피하주사 버전 임상 진행 상황 확인
✅ 실적 추이 2025년 매출 +110%, EBITDA 흑자 예상 (markets.hankyung.com, comp.wisereport.co.kr, navercomp.wisereport.co.kr, tradingview.com)
✅ 주가 모멘텀 시가 40만 원대→ 올타임 고점 45.9만 원(TV) 기록 
✅ 법률 변수 Halozyme 특허소송 진행상황 주시 필요

6. ✅ 종합 평가 & 추천 전략

  • 플랫폼 기술 기반 라이선스 중심 수익모델:
    → 흑자 전환·글로벌 계약 → 밸류에이션 타당성 확보해야 한다는 흐름
  • 리스크 요소:
    → 계약 취소·판권 실패·두 차례 소송 리스크 존재
  • ✅ 단기 트레이딩 시점:
    계약 발표 직전·후 급등락 타이밍 대응
  • 🧠 장기 투자 기준:
    → 플랫폼 기술력 강화 + 돌발 계약 발표 → 장기적 밸류업 기대

📌 맺음말

알테오젠은 피하주사 변환 기술 플랫폼으로 글로벌 제약사와 잇따른 계약 실적을 내며 흑자 전환에 성공한 바이오 벤처입니다.
성장성과 실적 측면에서 모멘텀은 강하지만, 밸류에이션 부담과 법률 리스크는 여전한 상태입니다.
🔍 투자 전략으로는
✅ 기술 계약 관련 모멘텀 캡처 단기 트레이딩,
✅ 기술력·계약 지속성 확인 후 중장기 투자
접근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관점에서 보고 계신가요?
궁금한 점이나 더 깊이 다룰 포인트가 있다면 언제든 말씀 주세요! 😊

반응형
반응형

 

💊펩트론 주가, SmartDepot 기술력과 일라이릴리 협업! 투자 매력과 유의점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바이오 종목 중 투자자들의 관심이 뜨거운 ‘펩트론’에 대해 자세히 분석해봤어요.
코스닥 바이오 시장이 다시 주목받는 분위기 속에서, 펩트론은 과연 지금 들어가볼 만한 종목일까요?
기술력, 주가 흐름, 리스크까지 꼼꼼히 정리해드릴게요!


🔍 펩트론은 어떤 회사인가요?

  • 정식명: 펩트론 (087010)
  • 설립연도: 1997년
  • 상장시장: 코스닥
  • 핵심 사업: 펩타이드 기반의 지속형 주사제 치료제 플랫폼(SmartDepot) 기술 개발
  • 본사 위치: 대전 대덕특구

펩트론은 우리 몸의 단백질 중 하나인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투여 간격을 늘리고 부작용을 줄이는 지속형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기업이에요.
특히 자체 기술인 SmartDepot™ 플랫폼은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받고 있고요.


🌟 어떤 기술력과 비전이 있나요?

1. SmartDepot™ 플랫폼

  • 약물의 체내 지속 시간을 늘리는 고분자 기술.
  • 기존 치료제의 ‘복약 순응도’를 획기적으로 높이는 효과 기대.
  • 경쟁사 대비 기술 장벽이 높고, 희귀 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

2. 일라이릴리와의 협업

  • 2024년부터 일라이릴리와의 기술성 평가 계약 진행 중!
    👉 해당 계약이 성공적으로 이어지면, 후속 기술이전(L/O) 또는 공동개발 가능성도 열려 있어요.
  • 일라이릴리는 세계 10대 제약사 중 하나로, 협업만으로도 펩트론의 신뢰도와 밸류를 끌어올리는 요인입니다.

3. 후보 파이프라인 다수 보유

  • PT320: 파킨슨병 치료제로 美 임상 진입
  • PT630: 전립선암·당뇨병 적응증, 글로벌 임상 확대 계획
  • B형 간염 치료제 등 다양한 후보물질 보유

💹 최근 주가 흐름과 수급은?

일자 종가 등락률

2025.06.11 192,200원 +2.6%
2025.06.07 185,000원 +3.8%
2025.06.04 173,000원 +7.5%
  • 6월 들어 외국인과 기관 동반 순매수 유입
  • 심리적 저항선인 20만 원 돌파 시도 중
  • 기술성 평가 기대감 + 바이오 반등 기대감이 동시 반영 중!

📌 Tip: 상승 구간이 지속될 경우, 기술이전 소식이나 미국 임상 관련 뉴스가 터지는 시점에 추가 상승 탄력 기대 가능


⚠️ 유의해야 할 점은?

1. 기술이전 전 단계

  • 일라이릴리와의 계약은 아직 ‘기술성 평가 단계’로, 수익 실현까지는 불확실성이 존재해요.

2. 임상 리스크

  • 파킨슨병 치료제 등 핵심 파이프라인의 임상 성공 여부가 기업 가치를 좌우합니다.

3. 바이오 섹터 전반 변동성

  • 금리 이슈, 기관 수급 변화, 규제 정책 등에 따라 바이오주는 크게 출렁이니 주의가 필요해요.

✅ 펩트론, 투자 매력은?

  • 투자 포인트
    ☑ 글로벌 협업 기대감 (일라이릴리)
    ☑ 자체 기술 기반 성장 가능성 (SmartDepot)
    ☑ 고령화 및 난치 질환 시장 확장 수혜
  • 주의 포인트
    ⚠ 기술이전 불발 가능성
    ⚠ 임상 실패 리스크
    ⚠ 단기 과열 시 조정 우려

✍️ 마무리: 지금 투자해볼까?

펩트론은 현재 코스닥 바이오 시장에서 가장 ‘이야기’가 많은 종목 중 하나예요.
기술력이 좋고, 글로벌 제약사와 협업 중이라는 점에서 성장 기대감은 매우 크지만,
아직은 실적보다는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구간입니다.

✅ 단기 매매보다는 임상 및 기술이전의 중기적 성과를 보고 접근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리스크를 감내할 수 있다면, 일정 비중으로 관심 가져볼 만한 종목입니다.


여기까지, 펩트론 리포트였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알테오젠에 대한 분석도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재밌게 보셨다면 공감·댓글 부탁드려요 😊

오늘도 성공 투자 하세요! 💸


🔍 이 글은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니며,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최신 공시와 실적도 꼭 참고하세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

미국 기술주에 투자하고 싶은데, 달러 계좌 개설이나 환전이 부담스럽다구요?
요즘 TQQQ, SOXL, TSL3 같은 미국 3배 레버리지 ETF에 관심이 많아졌는데,
사실 국내에서도 비슷한 ETF 상품들이 상장되어 있다는 거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미국 ETF 중에서 특히 인기가 많은
**TQQQ(나스닥 3배), SOXL(반도체 3배), TSL3(테슬라 3배)**와 유사한
국내 상장 ETF들을 소개해볼게요.
원화로 거래 가능하고, 세금도 유리할 수 있는 장점까지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1. TQQQ 대체: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133690)
• TQQQ가 뭐냐면? 미국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를 3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초고위험 고수익 ETF죠.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우리가 잘 아는 빅테크가 가득합니다.
• 국내 대체는?
→ TIGER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 (133690)
→ 레버리지 2배 상품으로, 국내에서 TQQQ와 가장 유사한 구조를 가졌어요.
→ 원화로 거래 가능, 해외주식 계좌 없이도 OK!
• 보너스: 환율이 걱정된다면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H) 도 고려해보세요.
‘H’는 환헤지(Hedge) 의미로, 원/달러 환율에 덜 민감합니다.



2. SOXL 대체: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H) (437580)
• SOXL이 뭐냐면? 미국 반도체 대표 기업들(NVIDIA, AMD, 마이크론 등)을 모은 지수를 3배 추종하는 ETF예요.
• 국내 대체는?
→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H)
→ 2024년 상장된 따끈따끈한 ETF로, 2배 레버리지, 환헤지 포함
• 반도체 업종만 집중해서 투자하고 싶은 분들께 딱!



3. TSL3 대체: SOL 미국테슬라레버리지 (신규 출시 예정)
• TSL3는? 테슬라 단일 종목을 3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ETF. 테슬라가 오르면 3배로, 떨어지면 3배로… 변동성이 정말 큽니다.
• 국내 대체는?
→ SOL 미국테슬라레버리지 (448300)
→ 2024년 중으로 상장 예정
→ 테슬라 단일 종목 2배 레버리지 ETF로, TSL3의 대체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 출시되면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걸로 예상돼요!



ETF 요약 비교표

미국 ETF 국내 대체 ETF 레버리지 특징
TQQQ TIGER 나스닥100레버리지 2배 기술주 중심 ETF
TQQQ KODEX 나스닥100레버리지(H) 2배 환헤지형
SOXL TIGER 필라델피아반도체레버리지(H) 2배 반도체 업종 집중
TSL3 SOL 테슬라레버리지 (예정) 2배 테슬라 단일 종목





마무리 꿀팁: 이런 분들께 추천해요!
•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싶은데 해외계좌가 부담스러운 분
• 나스닥, 반도체, 테슬라와 같은 섹터에 집중 투자하고 싶은 분
• 원화로 간편하게 거래하면서도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싶은 분

레버리지 ETF는 고수익을 노릴 수 있지만,
단기 투자에 적합하고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투자 시 꼭 분할매수와 손절/익절 기준을 잡고 접근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이상, 은둔형 관종이 전해드리는
국내에서 TQQQ, SOXL, TSL3처럼 투자할 수 있는 ETF 추천 리스트였습니다!

궁금한 점이나 더 알고 싶은 ETF가 있다면 댓글이나 DM으로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그럼, 다음에 또 뵐게요. 좋은 하루 보내세요!



#ETF추천 #TQQQ대체 #SOXL대체 #테슬라ETF #레버리지ETF #미국ETF국내대체 #은둔형관종




반응형
반응형

 

기본형 ETF vs 3배 레버리지 ETF 비교: 언제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본형 ETF3배 레버리지 ETF에 대해 자세히 비교해보고,
어떤 경우에 레버리지가 유리하고, 또 언제 불리해지는지를 실제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주식은 장기투자!"라고 많이들 하지만, 요즘 TQQQ, SOXL, TECL 같은
3배 레버리지 ETF에 관심 갖는 분들도 정말 많죠?
하지만 레버리지 상품은 좋은 점과 치명적인 단점을 같이 가지고 있어서,
제대로 알고 접근해야 합니다.


1. 기본형 ETF vs 3배 레버리지 ETF 비교

항목 기본형 ETF (SPY, QQQ, VTI) 3배 레버리지 ETF (TQQQ, SOXL, TECL)

추종 목표 기초지수 1배 수익률 기초지수 1일 변동률의 3배 수익률
수수료 매우 낮음 (0.02%~0.1%) 비교적 높음 (0.9%~1% 이상)
변동성 보통 매우 높음
장기투자 적합성 ◎ 장기투자에 적합 △ 장기투자에는 부적합 (변동성 리스크)
적합한 시장 상황 전체적 우상향 시장 강한 상승장이 확실할 때만 유리

2. 3배 레버리지 ETF가 불리해지는 이유

(1) 매일매일 3배를 추종한다는 구조

  • 레버리지 ETF는 "연간"이 아니라 "매일" 3배를 맞춥니다.
  • 그래서 시장이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 손실이 먼저 커지고, 복구가 점점 힘들어집니다.

(2) 횡보장에서 치명적

  • 시장이 제자리걸음할 때도, 레버리지는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면서
  • 누적 손실(승수효과)이 쌓여서 점점 깎여나갑니다.

(3) 높은 운용 수수료 부담

  • 레버리지는 매일 리밸런싱을 해야 해서 연 1% 수준 수수료 발생
  • 기본형 ETF 수수료(0.03% 수준)와 비교하면 꽤 크죠.

3. 실제 사례로 보는 레버리지 ETF의 특징

✅ 상승장에서는 미쳤다

2020~2021년 강한 상승장 기준

구분 QQQ (기본) TQQQ (3배 레버리지)

2년 수익률 약 +146% 약 +800%

SOXX vs SOXL (반도체 ETF)도 마찬가지

  • SOXX (기본형) → 약 +120%
  • SOXL (3배 레버리지) → 약 +600%

➡️ 상승장이 명확하면 3배 레버리지가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 하락장이나 횡보장은 지옥

구분 QQQ (기본) TQQQ (3배 레버리지)

2022연간 수익률 약 -33% 약 -76%
연간 수익률 (2024.04.28 기준) 약 -27% 약 -83%

 

➡️ 3배 레버리지는, 떨어질 때 3배보다 더 심하게 깨집니다.

➡️ 심지어 그냥 횡보해도 지수보다 더 많이 깎여 나갑니다.


4. 요약: 언제 레버리지가 좋은가?

상황 레버리지 ETF 사용

강한 상승장이 예상될 때 ✅ 적극 활용 가능
단기(1~3개월) 트레이딩 ✅ 전략적으로 접근
장기투자 (5년 이상) ❌ 비추 (변동성 리스크)
시장이 불확실하거나 횡보할 때 ❌ 기본형 ETF가 훨씬 유리

5. 결론: 내 투자 스타일에 맞춰 선택하자!

  • 📈 확실한 상승장: TQQQ, SOXL 같은 3배 ETF도 매력적!
  •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SPY, QQQ, VTI 같은 기본형 ETF가 답입니다.
  • 무턱대고 레버리지는 금물! 구조와 리스크를 제대로 이해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종목

  • 기본형 ETF 추천: SPY, QQQ, VOO, VTI
  • 3배 레버리지 ETF 추천: TQQQ(나스닥3배), SOXL(반도체3배)
  • 주의: 3배 ETF는 짧게! 명확한 트렌드가 있을 때만!
반응형
반응형

📌 주식 투자는 타이밍이 아니다, 장기 투자해야 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우리가 왜 장기 투자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최적의 매수·매도 타이밍을 잡으려 하지만, 실제 시장 수익률을 보면 타이밍보다 꾸준한 보유가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주식 시장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지만, 연간 수익률의 대부분이 특정 며칠 동안만 발생한다는 점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만약 이 몇 안 되는 중요한 상승일을 놓치면 전체 수익률이 거의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S&P 500, 나스닥 100 같은 주요 지수와 대형 주식들이 2024년에 어떻게 움직였는지 데이터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 1. 연간 수익률의 대부분은 특정한 날에 집중된다

📈 S&P 500 지수 (2024년 기준)

  • 연간 수익률:24%
  • 일별 최고 수익률 TOP 10을 제외한 연간 수익률:6%
    👉 단 10일만 놓쳐도 전체 수익률이 4분의 1로 줄어듦!

📈 나스닥 100 지수 (2024년 기준)

  • 연간 수익률:26%
  • 일별 최고 수익률 TOP 10을 제외한 연간 수익률:4%
    👉 10일을 놓치면 거의 수익이 사라짐!

📊 애플(AAPL), 아마존(AMZN), 구글(GOOGL)도 비슷한 패턴

  • 이들 주식도 연간 수익률의 대부분이 몇 안 되는 중요한 상승일에 집중됨
  • 특정 몇 개의 영업일이 전체 연간 수익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

📢 결론: 시장을 나갔다 들어오는 타이밍 전략보다, 장기 투자하는 것이 훨씬 안정적이고 효과적


📌 2. 타이밍 투자의 위험성 – "최고의 10일을 놓치면?"

💡 주식 시장에서 "최고의 10일"을 놓쳤을 때 수익률이 급감한다는 연구가 있음

  • S&P 500 (1994~2023년) 기준:
    • 전체 투자 시 연평균 수익률: 약 9.8%
    • 최고의 10일을 놓쳤을 경우: 연평균 5.3%로 감소
    • 최고의 30일을 놓쳤을 경우: 연평균 2.3%로 감소
    • 최고의 50일을 놓쳤을 경우: 연평균 -0.4%로 마이너스

📢 즉, 몇 안 되는 중요한 날을 놓치면 투자 수익이 거의 사라짐!
📢 이 "최고의 10일"을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장에 계속 머무르는 것이 중요함!


📌 3. 장기 투자해야 하는 이유

📌 주식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우상향하는 경향
📌 연간 수익률의 대부분이 특정한 날에 집중되므로, 시장을 떠나면 수익을 놓칠 가능성이 큼
📌 타이밍을 맞추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길게 보고 우량 자산을 꾸준히 모아가는 것이 현명한 전략


📌 4. 나의 투자 전략: 타이밍이 아니라 장기 투자!

🙋‍♂️ 나는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세워가고 있음
📉 최고의 10일을 놓치지 않기 위해 꾸준히 투자하는 전략을 유지 중!

🛒 올해 투자 계획:
우상향하는 ETF 중심으로 장기 보유

  • S&P 500 (SPY, VOO), 나스닥 100 (QQQ)
    AI & 반도체 중심 성장주 장기 투자
  • 엔비디아(NVDA), 팔란티어(PLTR), 반도체 ETF (SOXX, SOXL)
    매월 일정 금액을 분할 매수 → 시장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투자

📌 5. 결론: 주식 투자는 길게 보고 가야 한다!

📌 단기 변동성에 흔들리지 말고, 꾸준히 장기 투자하자!
📌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몇 개의 상승일을 놓치면 수익률이 급감하므로, 계속 투자하는 것이 중요!
📌 단타보다는 우량 자산을 싸게 모아가는 전략이 가장 효과적

🚀 여러분의 투자 전략은 어떤가요?
💬 여러분도 장기 투자로 우상향하는 시장에서 꾸준한 수익을 만들어가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12월 중 가장 수익률이 저조한 달 중 하나인 2월이 지나간 지금, 투자 기회를 어떻게 잡아야 할지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 통계적으로 2월은 시장이 부진한 달이며, 2025년 2월 역시 월초 대비 하락 마감했습니다.
📊 현재 시장에는 비관론이 팽배하며, 투자 심리는 위축되어 있습니다.
🛒 하지만 바로 지금이 기회! 공포 속에서 가치 있는 자산을 싸게 사서 장기 보유할 전략을 준비해야 합니다.


📌 1. 2월은 역사적으로 약세장이 나타나는 달

그래서 저번글에서도 말했듯이, 2월에는 조심해야 하는데요. 저는 12월부터 분할매도를 했었어요

 

19. 2월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 재매수를 위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할 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2월의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특히, 2월에 보유한 주식을 일부 매도하는 전략이 왜 유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 동

fire-programmer.tistory.com

 

📉 S&P 500 월별 수익률 (1950~2023년 통계)

  • 2월은 평균적으로 12개월 중 가장 부진한 달 중 하나
  • 역사적 평균 수익률이 낮으며, 하락 가능성이 높은 달

📉 2025년 2월 증시 하락 기록

  • S&P 500 지수: 월초 대비 -0.5% 하락 마감
  • 나스닥 100 지수: 월초 대비 -1.4% 하락 마감
  • AI·반도체 관련 기술주 중심으로 조정

📊 출처: AP News


📌 2. 지금 투자 심리는 ‘공포’ 그 자체!

📉 공포·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 ‘공포(Fear)’ 상태 

https://edition.cnn.com/markets/fear-and-greed


📉 Bull-Bear Spread(강세-약세 투자자 비율) → -40% 이하 (약세 투자자 압도적 우세)

https://ycharts.com/indicators/us_investor_sentiment_bull_bear_spread


📉 주식 커뮤니티·뉴스 분위기 → 부정적인 뉴스가 대세

💡 시장에서는 비관론이 팽배한 상태! 하지만 역사적으로 이런 시기가 바로 저가 매수 기회가 되어 왔습니다.


📌 3. 과거 사례: 공포 속에서 투자하면 어떻게 될까?

📊 Bull-Bear Spread가 -40%일 때 매수하면 2개월 후 상승

  • 과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Bull-Bear Spread가 -40% 이하일 때 투자하면 2개월 내 강한 반등이 나타난 경우가 많았음

💡 결론: 지금이야말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 기회를 잡아야 할 시점!


📌 4. 나의 투자 전략: 공포 속에서 줍줍 시작!

🙋‍♂️ 나는 지난 2년간의 상승장을 경험한 후, 12월부터 분할 매도로 대비해 현재 대부분의 보유 주식을 정리한 상태!
📉 이제 다시 저점에서 모아갈 차례!

🛒 2025년 매수 전략

올해 모아 갈 주식 리스트업 (예시)

  • 반도체 관련: SOXX, SOXL, 주요 반도체 기업
  • AI 관련: 엔비디아(NVIDIA), 팔란티어(Palantir) 등등

매수 타이밍 & 분할 매수 전략

  • 3월 초(현재)부터 분할 매수 시작
  • 총 투자금 100% 기준
    • 이번 달(3월): 바닥 다지는 중 → 20% 매수
    • 일반적인 시기: 매월 5%씩 꾸준히 매수
    • 5월·9월 (통계적으로 2월 외에 수익률 낮은 달): 10~20% 추가 매수
    • 예상치 못한 하락 발생 시 다음 달 초 추가 매수

📌 5. 결론: 지금이야말로 공포 속에서 투자할 때!

📌 2월의 조정장이 끝났다!
📌 현재 시장은 ‘공포’ 상태, 역사적으로 이런 시점이 최고의 매수 기회
📌 비관론이 가득할 때 장기적으로 안전한 자산을 싸게 매수하자!

🚀 공포에 팔지 말고, 공포에 사라!
🛒 안전한 우량 주식을 저렴하게 매수해서 장기 투자할 절호의 기회입니다.

📊 여러분의 투자 전략은 어떤가요? 공포에 지배당하지 말고, 현명한 투자 전략을 함께 고민해봐요! 😊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IRP(개인형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세제 변경과 이중과세 문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2025년부터 세법 개정으로 인해 해외 ETF 투자 시 예상보다 세금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ISA·IRP에 해외 ETF 투자하면 손해다”라는 의견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정확히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그리고 실제로 나에게 불리한지 꼼꼼하게 따져보겠습니다.

 

 노후 준비 프로젝트를 위해, 절세를 위해, 개인연금 만한게 없는것 같긴해요

 

15. 노후 준비 방법 - 개인연금, 안전자산, 배당 & 시나리오 별 수익률 비교

안녕하세요!오늘은 제가 올해부터 시작한 노후 준비 프로젝트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인생을 길게 보고 20년, 30년 후를 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매달 조금씩 꾸준히 투자하는 세 가

fire-programmer.tistory.com

 

 

 

📌 1. 2025년 세법 개정 내용: 해외 ETF 배당금 이중과세 논란


✔️ 기존 과세 방식 (2024년까지)
• 해외 ETF에서 배당금이 발생하면 배당금 전액이 계좌로 지급됨
• 연금 수령 시(연금저축·IRP) 또는 ISA 만기 시 낮은 세율(ISA는 9.9%, 연금은 3.3~5.5%)로 과세

✔️ 2025년부터 변경되는 과세 방식
• 해외 ETF 배당금이 발생하면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후 지급
• 연금 수령 시 한 번 더 국내 세금 부과 (ISA는 9.9%, 연금은 3.3~5.5%)

✔️ 이중과세 문제 발생
동일한 소득(배당금)에 대해 두 번 과세하는 상황이 발생
→ 실질적인 세금 부담이 증가하여, 배당 중심 해외 ETF 투자자들에게 불리


📌 2. 어떤 경우에 불리해졌을까? (ISA vs. 연금 vs. IRP)

구분 ISA / 개인연금 IRP
세제 혜택 비과세 한도 내 200~400만 원, 초과분 9.9% 과세 납입금의 12~15% 세액공제 (최대 900만 원)
배당소득 과세 방식 (2025년 이후) 해외 배당금 15% 원천징수 후, 만기 시 9.9% 추가 과세 해외 배당금 15% 원천징수 후, 연금 수령 시 3.3~5.5% 추가 과세
불리한 경우 배당 중심 ETF 투자 시 손해 연금 수령 시 배당금 추가 과세로 불리
유리한 경우 장기 보유 & 성장주 위주 투자 IRA 대체 투자 & 연


📌 3. 배당 ETF vs. 성장 ETF, 어떤 투자가 유리할까?


✔️ 배당 중심 ETF (예: SCHD, VYM) → 불리
• 배당을 받을 때마다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 연금 수령 시 한 번 더 세금 부과

✔️ 성장 중심 ETF (예: SPY, QQQ, VOO) → 상대적으로 유리
• 배당금이 적고, 주가 상승으로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큼
• 배당이 아닌 매매 차익 중심 투자 시 이중과세 문제 덜함

📢 결론:
배당금이 많은 고배당 ETF(SCHD, VYM 등) 투자자들은 세금 부담이 증가하지만,
성장 ETF(SPY, QQQ, VOO 등)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음


📌 4. QQQ·SPY 추종 국내 ETF를 이용하는 나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 [사용자의 투자 스타일]
• 개인연금을 통해 QQQ·SPY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에 투자
• 목적: 라이트한 세액공제 + 라이트한 노후 준비
• 연 300~400만 원 정도 투자

✔️ 팩트 체크: 영향이 클까?
• 국내 상장된 미국 ETF 추종 상품(TIGER 미국 S&P500, KODEX 미국나스닥100 등)은 배당금(분배금)이 크지 않음
• 따라서 해외 ETF 배당 이중과세 문제에서 영향이 크지 않음
• 주가 상승으로 인한 매매 차익 실현 시 과세 문제 없음

📢 결론:
💡 배당이 아닌 성장 위주의 투자 스타일이라면, 이번 개정안의 불리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음
💡 국내 상장 ETF를 통해 미국 시장에 투자하는 방식도 여전히 유효


📌 5. 이번 세법 개정에 대한 투자 전략은?


✅ 배당 ETF 투자자는 신중해야 함
• 배당 수익을 목표로 해외 ETF에 투자할 경우, 세금 부담이 증가
• 고배당 ETF 대신 성장 ETF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조정 고려

✅ 국내 상장 미국 ETF 활용
• TIGER 미국S&P500, KODEX 미국나스닥100 같은 국내 상장 ETF를 활용하고, 배당보다는 성장률을 중시한다면 문제는 없음

✅ ISA·IRP 활용 전략 재검토
• ISA 계좌 만기 전 전략을 다시 점검
• 연금저축·IRP는 세액공제 효과를 고려해 유지 or 조정


📌 6. 결론: 해외 배당 ETF는 신중, 성장 ETF는 여전히 유효


📌 이번 개정으로 인해 해외 배당 ETF 투자자들은 불리한 세금 구조에 놓일 가능성이 큼
📌 그러나 성장주 중심의 ETF (SPY, QQQ 등) 투자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음

🚀 이번 세법 개정으로 인해 혼란이 있지만, 투자 스타일에 따라 영향이 다릅니다.
📊 배당 중심 투자자들은 전략을 재검토하고, 성장주 중심 투자자들은 기존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세법 변화와 투자 전략을 점검하며,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
📢 여러분의 투자 전략은 어떻게 조정하고 계신가요?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