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IGER 미국 S&P500 환헤지(H) 같은 주식 이름 뒤에 (H)가 붙는 경우, 환 헤지(Hedged)를 의미하는데요.
이는 환율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환율 헤지 전략이 적용된 상품임을 나타냅니다.
환헤지(Hedged)의 의미
1. 환율 변동 리스크 제거
• 외국 자산에 투자할 때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H)가 붙은 주식이나 ETF는 환율 변동 위험을 헤지(보호)하기 위해 금융 파생상품(선물, 옵션 등)을 사용해 환율 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합니다.
2. 헤지된 상품의 특징
• 수익 안정성: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 위험이 줄어듭니다.
• 비용 발생: 환헤지에는 추가 비용(헤지 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상품의 총수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환헤지와 비환헤지의 차이
• 환헤지(Hedged): 환율 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상품.
• 비환헤지(Unhedged): 환율 변동에 노출된 상품.
• 예: 미국 달러 강세 시 비환헤지 상품은 환차익을 누릴 수 있음.
예시
• 환헤지 상품:
• “TIGER 미국 S&P500 환헤지(H)” → 미국 S&P500에 투자하되, 환율 변동 영향을 줄이기 위해 환헤지 적용.
• 비환헤지 상품:
• “TIGER 미국 S&P500” → 환율 변동에 노출된 상품.
반응형
'재테크 > 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대감에 코스피 연고점 돌파! 투자할만한 종목은? 펩트론? (1) | 2025.06.11 |
---|---|
미국 TQQQ, SOXL, TSL3 투자하고 싶다면? 한국 주식시장에서 살 수 있는 ETF 대체상품 추천 총정리! (2) | 2025.05.19 |
한국주식으로 미국 투자하는 법 (양도소득세 아끼기) (1) | 2025.01.03 |
LG 에너지 솔루션(aka.엔솔) 공모주 청약 해야하는 이유 (1) | 2022.01.17 |
한국판 QLD 최초 나스닥 100 레버리지 ETF 상장 : KODEX 미국 나스닥100 레버리지(합성H) (1)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