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부동산 같은 재테크를 공부하다보면

비슷한 맥락이나 부분이 상당히 많다는게 느껴지는데요

 

오늘은 부동산 투자 전략 중 상급지 갈아타기 전략을 주식 투자에 적용해보고자 합니다.

 

1. 상급지 갈아타기란?

부동산에 상급지란, 보통 더 좋은 지역 or 단지의 매물을 말합니다

즉, 상급지 갈아타기는 더 좋은 지역/단지로 이사/투자하는 방식인데요

 

보통 하락기에, 내가 가고 싶던 상급지가 많이 오른 만큼 많이 떨어지고

반대로 내가 보유한 매물이 조금 오른 만큼 조금 떨어진 상태에서

이전 보다 적은 갭으로 상급지로 이동하는 것을 말해요

 

즉 2020년도에 내가 살고 있는 A단지가 5억 B단지가 8억이었다가

2023년도에 A단지가 3억, B단지가 5억으로 떨어졌다면

B단지를 매수할때, 3억이 필요했다가 2억만 있으면 되겠죠?

 

이러한 개념으로, 많이 하락해서, 나의 아파트와 상급지와의 갭이 그만큼 줄어든 타이밍에

요약하면, 하락장에 줄어든 갭으로, 상승장의 더 많은 상승의 기회를 사는거라고 생각해요

 

2. 주식에서 상급지 갈아타기란?

그럼 이 투자 방법을 주식에 적용하자면?

사실 이 방법이 기존에 없는 방법이 아니에요.

 

소수몽키의 한 권으로 끝내는 미국주식에도 이런 방법이 나와있는데요

 

갈아타기는 기회비용이다.
더 좋은 주식이 있다면 옮겨야 한다.
한정된 재화로 최대 효율을 내야하며
갈아타기는 비슷한 종목/업종으로 비교하는것이 좋다

 

이 뿐 만아니라,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신 유명한 매도 방법 중 하나이죠 

 

요약하면

(당연히, 분석/조사가 선행되었다는 조건 하에)

더 좋은 주식이 있다면 갈아타기 = 기회비용

 

이말인즉, 현재 낮은 매력(전망)의 종목을 매도, 높은매력(전망)의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되겠죠.

 

 

3. 현재 미국 시장은 갈아타기 할 시점일까?!

일단 현재 미국 주식 시장 상황은, 좋지 못 해요.

금리와 유가등의 이슈로 인해, 계속 스트레스가 있어서 많이 하락한 상황입니다

S&P 500을 추종하는 SPY라는 ETF 기준 현재(9월 27일)의 가격은 6월 초의 가격까지 떨어져있어요

우상향하는 미국주식의 특성상, 3개월 전으로 돌아간 가격이라면, 충분히 메리트가 있지 않나 싶어요

바겐 세일!! 더 떨어질 수도 있지만, 지금도 충분히 매력적인 구간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게다가, 통계적으로 9월은 1년중 가장 수익률이 나쁜 달이에요.

거의 유일, 유이하게 평균 수익률이 -라고 하는데요.

그에 부응하듯이, 이번달에 특히 많이 떨어져있는 상황이에요.

그럼, 뭘 사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지 않나 싶네요

 

4. 그럼 지금 뭘 사야 하나?!

2023년 9월말, 현재 기준으로 그럼 상급지로 갈아타기한다면 무엇이 좋을까?!

 

일단 예시로 4개 회사의 6개월 주식 차트를 준비했습니다.

나스닥 100의 상위 10등 중에 4개를 생각나는대로 조회한거라 큰 의미는 없습니다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메타

위의 차트를 보면 어떤게 가장 매력적일까요?

저는 차트는 잘 보지 않는데, 그나마 매수할때 참고자료로 보는 정도로 봐요

 

대충 흐름만 보자면

시장 평균인 6월 초까지의 가격 하락을 기준으로 봤을 경우, 시장보다

  • 애플 : 조금 더 떨어짐
  • 테슬라,엔비디아 : 비슷
  • 메타 : 덜 떨어짐

당연히, 투자 하기전에 이런건 미리 분석해서 위의 4개 어느 정도 눈여겨 보고 있었다는 가정하에

여러분은 어느 회사에 투자하고 싶으신가요?

 

 

 

 

 

만약 저라면 지금 저 4개 종목 중에선 애플을 매수하는 쪽을 고려하지 않을까 싶네요

저는 해당 종목을 모르기 때문에 전망이나 그런 내용은 차치하고,

원래 사려고 눈여겨 보고 있었단 가정하에

 

평균 시장보다 많이 떨어졌는지 (=특별 추가 할인)

하락폭도 다른 기업들에 비해 큰지 (=어디까지 올라갈수 있는지 가늠)

이런 걸 위주로 확인해볼것 같아요

 

실제로 그래프상으로는 애플이 가장 많이 하락한것 같지만 %로 확인해보면 아니에요

즉, 내용만으로는 투자하면 안 돼요

물론 좋은 전망이나, 발표가 있어 가격을 잘 방어했거나, 사이클이 있을수도 있고

하락했다면 고점 대비 얼마나 하락했는지, 왜 하락했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이미 분석 후에, 괜찮다 판단하고) 눈 여겨 보고 있던 종목일 경우라는 조건을 달았어요.

 

 

반응형
반응형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기

: 훌륭한 사람의 노하우를 참고하여, 자신의 성공에 적용하는 방법
우리는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서 그들의 업적을 바탕으로 더 멀리 볼 수 있다

오늘은 워렌 버핏이라는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보려고 합니다!

현재 워렌 버핏은 미국 주식에 이어, 두번째로 많이 들고 있는게 일본 기업주식이라고 하는데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워렌 버핏의 일본 5대 종합 상사 적극 투자

6월 초 기사에 따르면 워렌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이미 몇 년전 부터 꾸준한 투자로, 현재는 일본의 5대 종합 상사의 지분을 8.5%까지 늘린데에 이어,

최대 9.9%까지 늘릴 수 있으며, 장기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일본의 5대 종합상사는 미쓰비시, 미쓰이, 이토추, 마루베니, 스미토모이고
상품의 수출입을 뿐 아니라, 물류, 금융, 투자, 부동산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합니다.

기사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일본의 5대 종합상사의 지분을 추가로 매입하여 지분율을 평균 8.5%로 늘렸다고 발표했습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이들 일본 상사 주식을 장기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최대 9.9%까지 지분을 늘릴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버크셔가 보유한 일본 5대 상사의 지분 가치는 버크셔가 보유한 다른 국가의 주식 가치를 합친 것을 크게 넘어선다고 합니다. 

일본 증시의 상승에는 일본 기업 지배 구조의 개혁 움직임, 인플레이션 및 임금 정상화, 엔화 약세, 중국 주식 약세로 인한 중국 증시 투자자의 이탈 등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미쓰비시와 마루베니는 올해 62% 상승하였고, 미쓰이는 44%, 이토추는 35%, 스미토모는 39% 상승하였습니다. 

이들 종합상사들의 주가는 2020년 이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미, 저점에서 많이 올라와있는 상황이지만, 아직 거인의 시야는 더 멀리 보고 있는 것 같네요.

거인의 말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투자 전에 조사는 필수!

 

2. 거인의 어깨에 올라타는 방법

2-1. 직접 5개의 개별 주식에 투자 

이토추,마루베니,미쓰비시,미쓰이,스미모토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이 가장 직접적이고, 깔끔한 방법입니다.

 

2-2. ETF로 일본 종합상사에 투자

아니면 해당 5개의 주식을 포함한 일본 종합상사 ETF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상업&도매무역 산업 : ETF (NEXT FUNDS TOPIX-17 COMMERCIAL & WHOLESALE TRADE ETF (티커 - 1629))

여기에 저희가 원하는 일본 5대 종합 상사가 모두 담겨 있습니다.

이토추, 마루베니, 미쓰비시, 미쓰이, 스미모토가 전체 지분의 70%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거의 한 방에 투자 가능하다는점!

 

저는 한번에 투자하고 싶어서 해당 ETF에 대해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3. NEXT FUNDS TOPIX-17 COMMERCIAL & WHOLESALE TRADE ETF란?

개요

일본 증시에 상장된 상장지수펀드(ETF)로 일본 증권거래소의 TOPIX-17 상업 및 도매 거래 지수를 추종합니다.

즉, 상업&도매무역 산업 섹터에 있는 일본 상업 및 도매 거래 부문의 17개 상장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Top 10 종목 비중 (%)

2023년 6월 기준

미쓰비시상사 19.4
미쓰이물산 17.3
이토추상사 16.0
스미토모상사 9.0
마루베니 8.5
도요타쯔우쇼 3.0
미스미 그룹 2.5
고베물산 1.6
소지쯔 주식회사 1.5
메디팔 홀딩 1.1

주요정보

운용자산 : 205억 원

거래소 : 도쿄

운용사 : 노무라

배당률 : 0.93 (연 배당)

설정일 : 2008-03-25

평균 거래량 : 0.1만 

 

4. 해당 ETF 투자시 장단점

4-1. 장점

  • 약한 엔화 (900원 - 현재 최저 수준, 추후 환율 복구시, 수익 상승 가능)
  • 워렌 버핏의 일본 5대 상사 주식 모두 포함 (+ 엘니뇨, 이상기온등으로, 올해 자원 관련 상사주식 좋아보임)

4-2. 단점

  • 낮은 거래량 (30일 평균 0.1만주)

5. 나의 결론

(장기 관점) 일본의 나홀로 양적완화 끝나고 정상화되면서 엔화가 오를것으로 기대 (+ 워렌버핏의 어깨에 올라타기)

(중단기 관점) 여름부터 자원 문제등으로 인해, 상사 주식 전망이 좋아보임

 

그래서 조금씩 투자해보기!

반응형
반응형

자바에서 문자열을 처리하는 방법에는 String, StringBuilder, StringBuffer가 있습니다. 

 

시간이 없다면, 맨 아래로..

한 줄로 정리하자면..

이들은 각각 고정된 문자열, 가변적인 문자열, 스레드 안전한 가변적인 문자열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1. String

먼저, String 클래스는 불변 객체입니다.

이것은 생성된 문자열이 수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String 클래스는 final 키워드가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String 클래스의 메소드들은 문자열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문자열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 클래스의 concat() 메소드는 기존 문자열과 다른 문자열을 연결하여 새로운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2. String과 StringBuilder, String Buffer의 차이

반면에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 클래스는 가변적인 문자열을 처리합니다.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는 둘 다 append()와 insert() 메소드를 제공하여 문자열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는 내부 버퍼를 가지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버퍼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StringBuilder스레드 안전하지 않지만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반면에 StringBuffer스레드 안전하지만 느린 속도를 제공합니다.

 

 

3. 비교 방법이 다른 이유 (내용 vs 주소)

또한, String 클래스와 StringBuilder/StringBuffer 클래스의 문자열 비교 방법도 다릅니다. 

String 클래스에서는 equals() 메소드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비교합니다. 

equals() 메소드는 문자열 내용이 같은지를 비교합니다. 

반면에 == 연산자는 두 개의 객체가 같은 객체인지를 비교합니다.

 

즉, == 연산자는 두 개의 문자열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참조(=주소)가 같은지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String 클래스에서의 == 연산자 예시입니다.

String s1 = "Hello World";
String s2 = "Hello World";
System.out.println(s1 == s2); //true

위 코드에서 s1과 s2는 같은 문자열을 참조하고 있으므로 == 연산자는 true를 반환합니다.

4. StringBuilder 와 StringBuffer 의 차이

StringBuilder 클래스는 StringBuffer와 유사하게 문자열을 가변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하지만 StringBuffer는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안전하도록 구현되어 있어서, 동기화 관련 오버헤드가 있습니다. 

그에 반해 StringBuilder는 단일 스레드 환경에서만 사용하도록 고안되어 있어서, 동기화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더 빠르게 문자열을 조작할 수 있습니다.

StringBuilder의 메서드는 StringBuffer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많은 부분이 동일합니다. 

하지만 동기화 처리가 빠진만큼 메서드 수행 시간이 더 빠르고, 더 효율적으로 동작합니다.

 

 

5. 응용!

그럼 내용을 다르게 수정했다가, 다시 원래대로 바꾸면, 참조 값이 다시 같아질까?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1 = "Hello World";
        String s2 = "Hello World";
		
        System.out.println(s1 == s2); //true
		
        s2 = s2 + "!";
        System.out.println(s1 == s2); //false
		
        s2 = "Hello World";
        System.out.println(s1 == s2); //true
    }
}

첫 번째 System.out.println(s1 == s2)는 s1과 s2가 모두 "Hello World" 문자열을 참조하고 있으므로 true를 출력합니다.

두 번째 System.out.println(s1 == s2)는 s2에 "!"를 추가한 후, s1과 비교하므로 false를 출력합니다. 이는 s2 + "!" 연산이 새로운 String 객체를 생성하고, 그 객체의 참조값을 s2가 가리키게 되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 System.out.println(s1 == s2)는 다시 s2를 "Hello World"로 초기화한 후, s1과 s2가 모두 같은 문자열을 참조하고 있으므로 true를 출력합니다.

 

+ 더 자세한 해설
Java의 String 클래스는 불변(immutable) 객체입니다. 

이는 생성된 String 객체가 변경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한 번 생성된 String 객체는 그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불변성은 Java의 메모리 모델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Java는 객체를 참조하는 변수가 있을 때, 해당 객체에 대한 참조 값을 변수에 저장합니다. 

불변 객체는 생성된 이후에 값이 변경될 수 없기 때문에, 이들의 값은 항상 일정합니다. 

따라서, 불변 객체에 대한 참조를 갖는 변수는 해당 객체가 가리키는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Java의 스레드 안정성(thread-safety)을 보장하는 데에도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불변성 때문에, String 객체를 수정하려고 하면 기존 객체를 변경하는 대신 새로운 객체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String 객체에 대해 문자열 결합 연산자(+)를 사용하면, 기존 객체를 변경하는 대신, 두 개의 String 객체를 연결한 새로운 String 객체를 생성합니다. 

이 때문에 String을 연결하거나 수정하는 작업이 빈번하게 일어날 때, 메모리 소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불변성으로 인해 String 객체가 많은 수로 생성될 수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을 많이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할 경우 새로운 String 객체가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StringBuilder나 StringBuffer 클래스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이 클래스들은 가변(mutable) 객체로, 문자열을 연결할 때 기존 객체를 변경하는 대신에 내부적으로 저장공간을 조정하여 문자열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6. 총정리

그래서 언제 사용하는게 좋을까?!

String : 값이 자주 변하지 않을 때 (자주 변하면, 메모리 소비가 심함)

StringBuilder : 값이 변하고, 싱글스레드일때 (대신 빠름)

StringBuffer : 값이 변하고, 멀티스레드일때 (대신 느림)

 

 


이상으로, Java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String, StringBuffer, StringBuilder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적절한 상황에서 각 클래스를 적절히 사용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문자열을 다룰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Toss 앱에서 만든 굴비 적금은 사용자들이 일정 기간 동안 매일 작은 금액을 저축하여,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 적금입니다. 

 

굴비 적금의 핵심은 매일 작은 금액을 저축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은 하루에 100원, 500원, 1,000원, 2,000원, 5,000원 중 원하는 금액을 선택하여 저축할 수 있습니다.

 

가장 핵심은 조건없이 연 5%의 이자가 적용된다는 점(6개원 만기시)

 



굴비 적금의 가장 큰 장점은 저축 금액이 매우 적은 것입니다. 매일 100원씩 저축하면 한 달에 3,000원, 6개월에 18만원이 저축됩니다. 또한, 목표 금액을 달성하면 2%~3%의 보너스를 받을 수 있어, 좀 더 많은 금액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굴비 적금은 목표 금액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자신의 목표에 따라 적절한 금액을 저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목표 금액까지 남은 기간과 목표 금액을 달성하기 위해 매일 얼마를 저축해야 하는지 계산해주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 외에도, 굴비 적금은 예상 이자, 저축 일정 변경, 자동 이체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저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Toss 앱을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쉽게 굴비 적금에 가입하여 자신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3.04.11 - [ChatGPT] - ChatGPT 똑똑하게 활용하는 법 1 - 나의 PT쌤 만들기(운동코치)
 
지난 글에 이어, ChatGPT 활용법 2편!
이번에는 개발자 용으로 준비해봤습니다!
각설하고, 실제로 제가 요즘 사용하고 있는 방법들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에러 로그 원인과 해결 방안 찾기

실제로 요즘 제가 써보고 깜짝 놀랐는데, 특히나, 로그 보는게 어색한 주니어들에게 아주 좋은 꿀팁입니다!
개발하다가 자주 보는 에러 로그나, 익숙한 환경의 로그를 읽고, 대처하는건 조금 적응했지만,
가끔 일을 하다보면, 새로운 기술이나, 언어나, 환경에서 업무를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그 때 에러로그를 ChatGPT에 검색하면 신세계가 펼쳐집니다.

반응형

아래는 실제로 제가 경험해서 작성했던 글이고

(JAVA) jar 파일실행시 File 사용 - java.io.FileNotFoundException

상황 로컬(IDE) 환경에서 잘 실행되던 로직인데, Jar파일로 실행할때 에러 발생 (FileNotFoundException) Log java.io.FileNotFoundException: src/main/resources/keystore/server.truststore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

fire-programmer.tistory.com

아래는 이번에 chatGPT에게 같은 에러로그를 단편적으로 잘라서 보여줬는데요.
블로그 글은 제가 겪었던 케이스에만 해당됐던 이야기였고, 실제로 비슷한 실수를 하는 사람들에겐 도움이 됐을것 같지만, 더 근본적인 접근 법을 알려줍니다. 

비록 제가 원했던 답변은 아니지만, 어쨋든 에러로그를 제대로 해석해주니까, 에러 로그를 읽기 힘든 사람들에겐 빛과 소금..
그리고 때때로는 가려운데를 시원하게 긁어주더랍니다.
 

2. 개념/기술 조사하기

이미, ChatGPT의 검색, 요약, 정리 기능은 최고로 알려졌죠.
작업 중 궁금한게 있으면, 공식 문서나 좋은 블로그를 선별해서 읽는 게 당연한 번거로움(?)이라고 생각했는데
진짜 구글링도 이러다가 옛말이 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간단한 개념에 대해 검색하는건 일도 아닙니다

 

3. 개발 - 소스코드 작성(?!)

이게 찐으로 감탄했던 부분이었는데요.
 
나 :
Spring, Java 기반 프로젝트에 Swagger를 추가하려고 합니다.
수정하거나 추가해야 할 구성 파일이나 소스 코드를 알려주십시오.

어떻게 해야하는지 방향을 알려달라고 했던거 였는데,
아예 샘플 코드를 포함해서, 정확하게 수정/추가가 필요한 부분을 모두 알려주대요?! 대박..
 
실제로 pom에 라이브러리를 추가하고, Config파일을 만들고, Bean을 등록하고, Controller에 swagger 코드를 추가하니까.. 바로 동작해버리는.. 이 매직...
 
예.. 그냥 너무 신기해서 이거 써보려고 써봤습니다
 
저만 신기했나요?!
 
어제는 깜빡하고 새로운 PC에서 영어로 번역 안 하고 한글로 검색했는데, 
바로 처리해서 알려주길래 또 한번 놀랐네요.
확실히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 되나봅니다.
무슨 얘기냐면..
아래 내용을 보시면 돼요

ChatGPT 자동 번역기, 프롬프트 지니 사용후기 (설치 방법, 사용 방법)

1. ChatGPT chatGPT가 뭔지는, 어떻게 쓰면 좋을지는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ChatGPT(챗GPT) vs NotionAI(노션AI) 비교 : 누가 더 훌륭한 AI인가? ChatGPT에 좀 더 궁금하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

fire-programmer.tistory.com

 
아무튼 요즘 이거 쓰는 맛에 재미납니닿ㅎ

반응형
반응형

ChatGPT 똑똑하게 활용하기 1편!

ChatGPT를 활용한 나만의 운동 PT 코치 만들기

 
 
 
운동을 하기 위해 PT 코치와 함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PT 코치와 함께 운동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갑니다. 
이때, ChatGPT를 활용하여 나만의 운동 PT 코치를 만들 수 있습니다.

반응형

 

ChatGPT란?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 언어모델입니다. ChatGPT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대화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ChatGPT란 무엇인가? 나도 가입해봐야지! (챗GPT)

다른 ChatGPT 관련글 구경하기 ChatGPT(챗GPT) vs NotionAI(노션AI) 비교 : 누가 더 훌륭한 AI인가? ChatGPT에 좀 더 궁금하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ChatGPT 자동 번역기, 프롬프트 지니 사용후기 (설치

fire-programmer.tistory.com

 

 

운동 PT 코치를 만드는 방법

ChatGPT를 활용하여 나만의 운동 PT 코치를 만들기 위해서 운동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ChatGPT에게 학습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운동 전문가나 운동 지식이 풍부한 사람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ChatGPT에게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만, 우리의 갓GPT는 이미 알고 계십니다. 그냥 물어보면 돼요

더 정확하게 , 운동 PT 코치처럼 운동 관련 질문에 답변을 제공하고, 운동 계획 및 운동 방법 등을 안내해줄 수 있습니다.

 
그럼 각설하고..

ChatGPT로 PT 상담하기


chatGPT에게 더 정확하게 일을 맡기기 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있으면, 나에게 질문을 하라고 하고, 필요한 내용을 담아 질문합니다
 
나 :
당신은 이제 내 운동 코치가 되어 나를 코치해야 합니다.

그래서 운동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나의 운동 목표, 실력 수준, 원하는 수준 등 필요한게 있으면 질문을 통해, 완벽한 운동을 계획해야 합니다.

나는 일주일에 3~4회 피트니스 클럽에서 1시간 이내에 운동하는 것을 선호하며,
너무 빡빡하고 힘든 관리를 원하지 않아, 짧은 시간에 빨리 운동하는걸 좋아한다.

필요하다면 분할운동법이나 다른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저를 알아야 한다면 더 많은 질문을 해주세요


나 :
운동으로 이루고 싶은건 약간의 근력 (옷 입으면 핏이 좋아보임)
2년 정도(주 3~4회) 운동을 했는데, 초급이나 초급과 중급 사이가 조금 높은 것 같아요.
 
운동 강도는 혹독하기보다는 적당히, 조금 더 근육을 만들고 싶을 정도로 해주세요
 


나 :
그런 다음 당신이 알아낸 것을 기반으로 내 운동 계획을 세웁니다.
일주일에 몇 번이나 운동을 하는지, 어떤 종류의 운동을 하는지, 몇 번을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등 전략을 세워줘


나 :
방금 말한걸 기준으로 하되,
조금 더 상체를 열심히 하게 해줘.
등과 가슴, 어깨, 이두와 삼두, 복근에 대한 운동을 포함해서 짜줘


심지어 이런식으로, 내가 방향을 좀 더 바꿔가면서 요구할수도 있답니다... 넘나 좋은것..
 


ChatGPT를 활용한 운동 PT 코치의 장단점


장점

언제 어디서든 대화를 통해 운동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간 PT 코치와 달리, ChatGPT를 활용한 운동 PT 코치는 24시간 내내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
ChatGPT를 이용해 질문에 빠르게 답변을 받을 수 있으므로, 운동에 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점

ChatGPT는 인간 PT 코치만큼 실제 운동 도움을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인간 PT 코치와 달리, ChatGPT는 개별적인 신체적 특성이나 상황을 고려해주지 못합니다.
그리고 운동에 대한건 아무래도 피드백이 중요한데, 텍스트의 한계가 어느정도 있을 수 있으니, 유튜브 등으로 운동 방법을 더 알아봐야 합니다.
 

총평

몇 가지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에게 필요한 롤을 딱 수행해주기 때문에
그것도 무료료, 빠르게, 아무때나 답변을 해 줄 수 있으니까,
저는 아주 만족스러워서, 일단 저걸로 운동 계획을 수정해서 해보려고 합니다!
 
ㄲㅡㅌ

반응형
반응형

오늘은 이클립스와 스프링 기반의 프로젝트에 스웨거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전체 프로세스

  1. Pom.xml 에 의존성 추가(swagger 라이브러리)
  2. SwaggerConfig.java 생성 (Swagger 관련 설정 담당)
  3. Dispatcher-Servlet.xml 수정 (Bean 등록 추가)
  4. Controller 단 수정  (Swagger관련 어노테이션 추가)
  5. Swagger UI 확인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Pom.xml 에 의존성 추가(swagger 라이브러리)

pom에 관련 라이브러리 2개를 추가합니다.
버전은 2.9.2를 기준으로 작성할게요.
(3.0.0 부터는 상세 설정이 조금씩 달라지니까, 다른 글을 확인 해보세요) 
아래를 복사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dependency>
    <groupId>io.springfox</groupId>
    <artifactId>springfox-swagger2</artifactId>
    <version>2.9.2</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io.springfox</groupId>
    <artifactId>springfox-swagger-ui</artifactId>
    <version>2.9.2</version>
</dependency>

SwaggerConfig.java 생성 (Swagger 관련 설정 담당)

Swagger 관련 설정을 정의할건데, 적당한 위치에 아래 파일을 만들어주세요

@Configuration
@EnableSwagger2
public class SwaggerConfig {

    @Bean
    public Docket api() {
        return new Docket(DocumentationType.SWAGGER_2)
            .select()
            .apis(RequestHandlerSelectors.basePackage("com.example.controller"))
            .paths(PathSelectors.any())
            .build()
            .apiInfo(apiInfo());
    }
    
    private ApiInfo apiInfo() {
        return new ApiInfoBuilder()
            .title("Your API Title")
            .description("Your API Description")
            .version("1.0.0")
            .build();
    }
}

위의 Docket은 Swagger 문서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설정은 Swagger가 문서화 할 API의 내용과 대상 패키지를 지정합니다.
DocumentationType.SWAGGER_2: Swagger 버전을 지정합니다.
select(): 문서화 할 API를 선택합니다.
apis(RequestHandlerSelectors.basePackage("com.example.controller")): 문서화 할 API가 포함 된 패키지를 선택합니다. 해당 패키지 내에 있는 모든 클래스가 문서화 대상이 됩니다.
paths(PathSelectors.any()): 문서화 대상 API의 URL을 선택합니다. PathSelectors.any()를 사용하면 모든 URL이 대상이 됩니다. 이것은 대부분의 경우에 유용합니다.
build(): Docket 객체를 생성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Swagger는"com.example.controller" 패키지에 있는 모든 API를 문서화하고, 모든 URL을 대상으로 문서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Swagger UI를 사용하여 문서화 된 API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래의 apiInfo()는 Swagger UI 페이지에 출력될 API 소개 내용에 대한 설정입니다.
일단 이렇게 설정해서 화면을 만들고, 원하는 문구로 수정하시면 됩니다


Dispatcher-Servlet.xml 수정 (Bean 등록 추가)

bean의 class 속성에는 SwaggerConfig.java 파일에 속한 패키지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 swagger -->
<bean id="swagger2Config" class="com.example.config.SwaggerConfig"></bean>
<mvc:resources location="classpath:/META-INF/resources/" mapping="swagger-ui.html"></mvc:resources>
<mvc:resources location="classpath:/META-INF/resources/webjars/"  mapping="/webjars/**"></mvc:resources>

SwaggerConfig 클래스를 swagger2Config 빈으로 등록합니다. SwaggerConfig 클래스는 Swagger 설정을 담당합니다.

mvc:resources를 사용하여 Swagger UI에서 사용할 정적 리소스를 등록합니다. 
location 속성은 Swagger UI 리소스가 위치한 경로를 지정하고, mapping 속성은 해당 리소스를 사용할 URL 패턴을 설정합니다.
 
첫 번째 mvc:resources 요소에서는 swagger-ui.html 파일에 대한 매핑을 설정합니다. Swagger UI는 이 HTML 파일을 통해 브라우저에서 Swagger UI를 표시합니다.

두 번째 mvc:resources 요소에서는 webjars 디렉토리 내에 있는 정적 리소스에 대한 매핑을 설정합니다. 이 디렉토리에는 Swagger UI에서 사용되는 JavaScript, CSS, 이미지 등의 파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webjars/** URL 패턴은 모든 webjars 디렉토리 내의 파일에 대해 매핑됩니다.


Controller 단 수정  (Swagger관련 어노테이션 추가)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test")
@Api(value = "Example API List", tags = "Example API")
public class ExampleController {

    @ApiOperation(value = "id로 결과를 조회합니다", notes = "Returns an example by their ID")
    @ApiResponses(value = {
        @ApiResponse(code = 200, message = "성공"),
        @ApiResponse(code = 404, message = "오류")
    })
    @GetMapping("/examples/{id}")
    public Example getExampleById(@PathVariable Long id) {
        // 기존 Controller 로직
    }
    
}

새롭게 작성이라면 이런식으로 작성을 하시면 되고
추가를 하게 된다면 @Api로 시작 되는 어노테이션을 프로젝트와 기능에 맞게 작성해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ApiOpera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각 엔드포인트에 대한 설명과 메서드를 지정합니다. 
@ApiResponses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각 응답 코드에 대한 설명과 메시지를 지정합니다.
 
 
마지막으로 테스트는
http://localhost:8080/swagger-ui.html 에 접속해서 UI를 확인합니다.
만약 prefix (context-path)등이 있다면8080 뒤에 /{prefix}를 넣어서 입력해주세요
 
 
ㄲㅡㅌ

반응형
반응형

 

ChatGPT에 좀 더 궁금하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ChatGPT 자동 번역기, 프롬프트 지니 사용후기 (설치 방법, 사용 방법)

1. ChatGPT chatGPT가 뭔지는, 어떻게 쓰면 좋을지는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ChatGPT란 무엇인가? 나도 가입해봐야지! (챗GPT) 1. ChatGPT란? ChatGPT에 대해 먼저 간단히 알아보자면, 테슬라로 유

fire-programmer.tistory.com

 

 

ChatGPT란 무엇인가? 나도 가입해봐야지! (챗GPT)

1. ChatGPT란? ChatGPT에 대해 먼저 간단히 알아보자면, 테슬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의 AI관련 회사인 OpenAI가 만든 언어 모델중 하나입니다. 인공지능 챗 서비스로 간단한 회원가입 후에 무료 사용

fire-programmer.tistory.com

 

 

직접 써 본 ChatGPT 사용하는 방법(활용 예시,활용 꿀팁) - 챗GPT

이전에 쓴 글 보고오기 ChatGPT란 무엇인가? 나도 가입해봐야지! 1. ChatGPT란? ChatGPT에 대해 먼저 간단히 알아보자면, 테슬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의 AI관련 회사인 OpenAI가 만든 언어 모델중 하나입

fire-programmer.tistory.com

반응형

0. 노션AI와 챗GPT에게 같은 질문하기

요즘 ChatGPT가 쏘아올린 AI 대전!

저는 notion을 평소에 쓰고 있는데, 노션에도 비슷한 AI비서가 있어서, ChatGPT와 비교하고 싶어져서, 같은 내용으로 질문해서 내용을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궁금하신 분들도 직접 확인해보시면 재밌어요

물론 질문 내용이나, 방식등에 따라 답변의 퀄리티가 달라지니까

다소 주관적인 내용이라고 느껴질순 있겠으나, 참고용이라고 생각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질문 내용은 이탈리아의 남부 소도시 10군데에 대한 볼거리와 먹을거리등의 내용을 알려달라는 내용입니다.

NotionAI
ChatGPT

 

1. 노션AI (NotionAI) 답변

알아서 마크다운 포맷으로 번호를 메기면서 리스트업을 해주네요.

한글 기반으로도 잘 작성하고, 도시 이름은 영어로 같이 표기해주어서 좋네요.

질문이 좀 추상적이긴 하지만, 볼거리, 유명한것, 관광지가 거의 중복된 답변이라 아쉽군요.

2. ChatGPT 답변

ChatGPT는 답변을 글로 풀어서 작성했습니다. (원문은 영어지만, 한글로 번역된 상태)

그 도시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써주는 게 아주 마음에 들었습니다.

근데 내용을 자세히 보면 마테라라는 도시를 2번 중복해서 출력하는 실수를 범했어요.

 

3. 비교

일단 가독성은 노션AI가 작성해준 스크립트가 더 좋아보여요.

노션AI : 알아서 마크다운 형식을 적용해서 리스트업을 해서 한눈에 보기 편하다.

ChatGPT : 글을 구어체로 풀어서 작성해서 읽기가 편하다.

 

하지만 chatGPT도 마크다운 형식으로 결과를 받을 수 있어요.

요구 사항을 더 명확하고, 상세하고 알려줄수록 제가 기대하는 내용에 비슷하게 응답을 받을 수 있어요.

 

 

4. 더 좋은 질문하기

이탈리의 남부 소도시 여행지 10군데와 각 도시의 설명과 특징, 볼거리, 먹을거리, 특산품, 관광정보를 스크립트로 작성해줘

4-1.NotionAI

특징이 간단히 추가 됐지만, 먹을거리와 특산품은 의미없이 반복해서 쓰는 느낌이 있네요.

어쩌면 쓸 내용이 없었던걸까?!

7번에 특산품을 쓰다가 중간에 멈춰서, 다시 NotionAI에게 이어서 써더달라고 해서, '특산'이라는 흔적이 남아있네요.

 

정리는 잘 된것 같은데, 따지고 보면 내용이 좀 빈약해보이는 느낌이 다시 한번 드네요

 

4-2.ChatGPT

마크다운으로 출력해달라는 내용과 함께 추가해서 다시 물어봤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간에 6번정도에 끊겨서 다시 이어서, 써달라고 부탁했는데, 이어서 쓴 부분에는 마크다운 형식을  빼버렸네요. 역시 요청할때에도 구체적으로 모든 니즈를 넣어서 요청해야 하나봅니다.

 

그래서, 포함해서 다시 요청했더니, 뭔가 이어지는 내용이나 순서가 좀 바뀐것 같아요.

코센지가 추가되고, 다른 곳은 순서가 좀 바꼈습니다만..?, 일단 내용 중심으로 한번 보겠습니다.

 

어쨋든, 처음처럼 같은 도시를 2번 추천하는 문제는 있지만,

설명,특징,관광지,음식,특산물,관광정보등 내용이 아주 알차서 실제로 더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근데 저 내용이 실제 맞는것인지는 확인해볼 필요가 있어요ㅎㅎ 

가끔 chatGPT가 틀린 말을 진짜처럼 말한다는 이슈는 이미 유명하기 때문에..

5. 결론 / 느낀점

처음에 느끼기에는 노션AI가 가독성이 좋아보였으나,

ChatGPT의 내용이 확실히 더 알차고 좋아 보였어요.

 

다만 질문할때, 내가 원하는게 무엇인지를 확실하게 전달해야하고,

내용이 끊겼을때, 정확하게 다시 이어받기만 한다면..

 

체감상 ChatGPT의 승리일것 같습니다!

 

물론 처음에 말했듯이, 어떤 주제인지, 어떻게 질문했는지 등에 따라 많이 좌지우지 될테니

참고 정도 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ChatGPT

chatGPT가 뭔지는, 어떻게 쓰면 좋을지는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ChatGPT(챗GPT) vs NotionAI(노션AI) 비교 : 누가 더 훌륭한 AI인가?

ChatGPT에 좀 더 궁금하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ChatGPT 자동 번역기, 프롬프트 지니 사용후기 (설치 방법, 사용 방법) 1. ChatGPT chatGPT가 뭔지는, 어떻게 쓰면 좋을지는 이전에 작성한 글에서

fire-programmer.tistory.com

 

ChatGPT란 무엇인가? 나도 가입해봐야지! (챗GPT)

1. ChatGPT란? ChatGPT에 대해 먼저 간단히 알아보자면, 테슬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의 AI관련 회사인 OpenAI가 만든 언어 모델중 하나입니다. 인공지능 챗 서비스로 간단한 회원가입 후에 무료 사용

fire-programmer.tistory.com

 

직접 써 본 ChatGPT 사용하는 방법(활용 예시,활용 꿀팁) - 챗GPT

이전에 쓴 글 보고오기 ChatGPT란 무엇인가? 나도 가입해봐야지! 1. ChatGPT란? ChatGPT에 대해 먼저 간단히 알아보자면, 테슬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의 AI관련 회사인 OpenAI가 만든 언어 모델중 하나입

fire-programmer.tistory.com

이제는 chatGPT를 쓰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많이들 쓰고 계실텐데요.

한글을 쓰는 우리 한국인들에게는 약간의 불편함이 있어요.

반응형

물론 한글로 chatGPT를 사용할 수 있지만, 실용성이 많이 떨어지거든요.

 

2. ChatGPT에 필요한 기능

chatGPT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서 많은 확장팩들이 나왔는데요.

오늘은 제가 필요해서, 알아본 자동 번역기능!

 

써보신 분들은 아실테지만, chatGPT에 영어로 질문할때와 한글로 질문할때의 퀄리티 차이가 상당합니다.

한글로 질문하면 가끔 엉뚱한 얘기를 하거나, 처리속도가 오래 걸리고, 그래서 중간에 끊기는 경우가 종종 발생해요.

이런 문제는 영어로 질문하면 많이 개선되더라구요.

 

그래서 전 구글번역기와 파파고를 하나씩 켜서 각각 번역 한-영, 영-한으로 번역해서 사용했어요.

근데 계속 복붙하는게, 양이 많아지니까 너무 번거로웠답니다.

그래서 자동 번역 툴이 있나 찾아봤더니, 역시 있네요!

 

꿀팁. 그리고 영-한 번역이면 같은 글이어도 구글보단 파파고가 더 한국스럽게 번역해주는 것 같아요

 

그래서 소개합니다!

 

3. 확장 프로그램

프롬프트 지니 : ChatGPT 자동번역기

질문이나 답변을 복붙해서 번역할 필요 없이, chatGPT의 페이지에서 한번에 사용가능해요.

한글 질문을 작성하면, 영어로 질문해주고

영어 답변이 돌아오면, 한글로 번역해주는 확장 프로그램

 

4. 설치 방법

설치는 아래링크로 들어가서 하시면 됩니다

 

프롬프트 지니: ChatGPT 자동 번역기

ChatGPT 쓸 때 질문을 영어로 번역해 주고, 답변도 한글로 번역해 주는 번역기입니다.

chrome.google.com

4-1. 링크 접속

4-2. 크롬에 추가 버튼 클릭

4-3. 다운로드 완료시, 접근 제어 허락 팝업에서 접근 허용해주기

4-4. chatGPT 접속해서 확인 ('번역해서 질문' 버튼이 생겼다면 잘 설치된것입니다!)

 

 

5. 사용예시

5-1. 질문내용을 한글로 작성하고, 위에 번역해서 질문 버튼을 누르면 돼요. 참 쉽죠잉?

그럼 자동으로 영어로 번역해서 chatGPT에 질문 한답니다.

(답변 대기중)

답변이 돌아오는 동안은 영어로 출력이 되는데, 답변이 끝나면 영어/한글 내용을 모두 한번에 보여준답니다.

5-2. 답변 완료시, 위에는 원문인 영어 답변, 아래에는 번역된 한글 답변이 자동으로 출력됩니다

 

 

결론

설치도, 사용방법도 아주 간편하고, 꼭 필요한 기능이기에 저는 아주 만족스러웠어요.

아마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프로그램인것 같네요.

 

이 외에도 다른 chatGPT 확장 프로그램이 많으니까, 필요한 기능이 있는지 찾아보시면 좋을것 같아요:)

반응형
반응형

예금, 적금의 금리를 한군데에서 한 번에 알아보고 싶다면?
전체 펀드의 수익률을 알고 싶다면?

반응형

투자금액이나 기간에 따라 세전&세후의 예금, 적금의 금리와 펀드 수익률을 알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믿을 만한 '금융감독원'에서 제공되는 금융 상품통합비교 공시 서비스인 '금융상품 한눈에'에서 한번에 확인 가능합니다.
여기서 은행, 저축은행, 보험사등 166개 금융회사가 판매중인 다양한 금융 상품의 금리와 수익률을 한번에 비교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정기예금, 적금, 펀드, 절세 금융 상품에 대하여 자세하 알아볼 수 있습니다.
 

 

1. 정기예금 비교

 

2. 적금 비교

 

3. 펀드 비교

펀드 다모아에서 펀드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확인 가능
펀드다모아 : 펀드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쉽고 간편하게 펀드를 비교할 수 있도록 전자공시서비스의 주요 정보
펀드다모아 주요 특징

1) 펀드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1년 수익률 기준 상위 50개의 펀드가 내림차순으로 정렬
2) 기존의 전자공시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하여 투자자의 선택에 따라 펀드 및 운용사·판매사에 관한 정보 조회기능
3) 펀드 판매사명 클릭 시, 해당 판매사 홈페이지로 연결

 
 
금융감독원이 제공하는 아래 링크(금융상품 통합 비교 공시 시스템)에서 정확한 금리/정보 확인 해보세요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시스템

finlife.fss.or.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