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인사드리네요
안녕하세요~
이제벌써 연말 정산을 준비해야하는 12월이에요
요즘 장안의 화제는 고향 사랑 기부제 고향사랑e음이라는 기부제도 인데요
10만원을 기부하면 연말정산할때, 10만원 세액 공제에 (최대) 3만원의 답례품을 받을수 있어서
10만원으로 130%의 효과를 볼 수 있답니다.
10만원으로 13만원 벌기.. 근데 그게 진짜로 가능하답니다!?
이름하야,
고향사랑 기부제(aka.고향사랑e음) 답례품 추천과 세액공제 총 정리!
먼저 주요사항을 정리하면
10만원 기부하면, 최대 13만원을 돌려받음
즉, 130%의 효과를 볼 수 있다는건데요
(10만 원: 세액공제, 최대 3만원: 답례품)
1. 고향사랑기부제란? (고향사랑e음)
-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고향에 기부하고 지자체가 이를 활용하는 기부 제도.
-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 혜택 중, 기부한 금액의 10만 원까지 전액 세액공제.
- 10만 원 초과부터 16.5%의 세액공제 적용.
- 기부 금액의 30%를 포인트로 돌려받아 지자체의 답례품 구매 가능.
2. 연말정산 세액공제 한도 및 기부 혜택
- 기부한 금액의 10만 원까지는 전액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 10만 원 초과부터는 16.5%의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 연 3,000만 원 초과 기부 시, 최대 40%까지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3. 고향사랑 기부제 답례품 추천
- 기부한 금액의 30%를 포인트로 돌려받으며, 해당 포인트로 지자체의 답례품 구매 가능
개인적으로 그 지역의 맛있는 특산품이나 맛있는 음식/고기를 답례품으로 주는 곳이 좋더라구요
3-1) (개인 취향 주의) 추천 답례품은 고기류 혹은 지역 특산품 (대게, 과메기, 전통음식, 전통주 등)

4. 원하는 답례품 검색하는 방법
답례품 검색은 필터링이 잘 안되는게 너무 불편하더라구요..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몰릴땐, 서버도 엄청 느리고ㅠ
그래서 마음에 드는 답례품을 찾기 위해선 하나씩 찾아보는 수 밖엔 없어보여요
원하는 상품 카테고리가 있다면 그럴댄 아래 처럼 검색을 이용하시면 편리해요
<예시는 한우를 검색하는 장면>
아니면 브랜드나 카테고리, 음식이름 등으로 검색하셔도 돼요

<카테고리 + 3만포인트 필터링 사용>
두번째 방법은
카테고리와 유일한 포인트별 필터링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저는 농축산물과 수산물만 찾아보는데
그 안에 들어가서 새로 고침 옆에 있는 3만포인트 이하를 누르면 중복으로 선택 가능해요
그나마 답례품 목록을 저희가 원하는 3만원대의 내용으로 추려서 볼수 있어요

5. 주의 사항
- 현 주소지에는 기부 불가능
- 기부는 생년월일 홀/짝 여부에 따라 날짜 가능 (ex. 12월 1일이면, 홀수 생일자 기부가능)
- 사람이 몰리지 않는 점심~오후시간대를 피해야, 쾌적하게 사용이 가능해요
연말까지, 고향사랑 기부제에 참여하면
- 최대 100% 연말정산 세액공제 혜택 (10만원 기준)
- 최대 30%의 답례품 (최대 3만원)
위의 혜택이 있으니까, 꼭 하시길 바래요!
이상으로 고향사랑 기부제 답례품에 대한 추천과 세액공제 혜택에 대한 정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재테크 > 정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 아동수당, 영아수당, 양육수당 차이 & 중복지급 확인하기 (0) | 2023.02.04 |
---|---|
모르면 손해보는 부모급여 대상자, 신청방법, 지급방법 알아보기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