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VIX 지수란?
Volatility index의 줄임말로, 변동성 지수라는 뜻입니다.
시카고 옵션거래소에 상장된 S&P 500 지수옵션의 향후 30일간의 변동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VIX는 직접 매매할수는 없고 관련 ETF를 매매해야 합니다
주식시장이 빠르게 하락할 때 상승하므로 공포지수라고도 불린다.
쉽게 말해서 VIX가 올라가면, 주가는 떨어지고,
VIX가 떨어지면, 주가가 올라간다고 보면 됩니다.
저는 지켜보고 있는 종목이 있다면, VIX 지수가 급등하거나, 해당 종목만 급락한 시점에 매수 포인트를 잡곤 합니다
2. VIX 상세 설명
- S&P500 선물옵션을 사용해 콜옵션과 풋옵션 사이의 갭을 계산하여 수치로 나타냅니다.
- 옵션만기일이 중요한데, 만기일이 다가오면서 갭이 작아지면 VIX 수치가 작아진다.
- 매주 만기일이 돌아오므로, 매주 금요일마다 VIX가 하락하는 추세가 있다고 합니다.
- 급격한 하락(ex. 대공황)이 일어나기 전에 VIX는 계속 상승한다는 점에 필요성이 대두됐습니다.
- S&P500은 꾸준히 우상향 하기 때문에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크지만, 완전히 S&P 하락 = VIX 상승 은 아님
- 지수가 높을수록 주가가 많이 출렁인다고 합니다.
3. 매수/매도 타이밍
일반적으로 VIX 지수의 평균은 20% 정도라고 볼 수 있고, 30% 이상이라면 바닥권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굳이 VIX에 투자하지 않고, 지켜보던 주식의 매매 타이밍을 참고하기에 좋은 것 같아요
따라서 정리해보자면
매수 타이밍
- VIX 급등(10% 이상)
- 20 미만
매도 타이밍
- VIX 급락(10% 이상)
- 40 이상
반응형
'재테크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전 없이 해외 주식 사는 꿀팁 (0) | 2022.01.06 |
---|---|
1년 반 동안의 카카오 증권 AI 투자, 수익률은? (1) | 2022.01.04 |
Toss(토스) 증권으로 해외주식 시작하기 (1) | 2021.11.22 |
시장 과열 판단 : 폭락장 판단기 (vix, fear and greed index, spy rsi) (1) | 2021.11.15 |
MSCI 지수 (1) | 202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