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에는 부동산 불패 신화라는 말이 있습니다.

부동산이 조정받는 장은 있을 수 있으나 결국 부동산은 오른다(우상향)는 믿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큰 자본금과 입지 분석 등 시간과 노력을 들여 수년 이상의 장기투자 적인 관점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몇 년동안 주식을 끄적여본 결과 주식 수익률도 결코 밀리지 않는데 유독 "부동산"만 강조가 되는 것 같아 궁금해져서 찾아봤습니다.

 

1. 주식 vs 부동산 시장의 수익 비교

코스피 수익률 > 서울 강남 아파트 수익률

가장 먼저 시장의 전체적인 수익률을 비교해보자면 의외로 주식의 수익률이 더 좋았습니다.

코스피의 수익률은 연평균 10.1%로 1986년 대비 21.4배가 올랐구요 (2017년)

서울 강남권 아파트의 수익률은 연평균 9.2%로 16.7배 올랐다고 합니다.

2. 대장전 수익률 비교 (삼성전자 vs 은마 아파트)

삼성전자 수익률 > 은마 아파트 수익률

은마 96배 오를 때 삼성전자 804배 올랐다!

삼전이 무려 그 "은마 아파트"보다 8~9배 더 올랐다고 하네요...?

자세한 내용은 여기 기사에서 확인하세요

 

[줌인]은마 96배 오를때 삼성전자 804배 뛰었다

삼성전자·은마아파트 장기보유 수익률 비교(표=김정훈 기자)[이데일리 권소현 기자] ‘8만305% vs 9519%’ 한국 증시의 대장주 삼성전자, 그리고 한국 부동산 블루칩으로 꼽히는 은마아파트의 최근

www.edaily.co.kr

 

 

3. 그렇다면 주식 > 부동산?

위에 2개의 기사와 자료를 보면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보다 월등히 좋아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위의 기사들도 그렇고, 제가 이 글을 쓰는 의도도 그렇고 주식의 수익률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결과가 어느 정도 왜곡이 됐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지금 국내 주식 중 1위가 삼전은 맞지만, 은마 아파트가 부동산 1위라고 할 때 반박의 여지가 있겠죠.

 

제가 지금 이 글을 쓰는 이유도, 위의 기사들도, 생각보다 주식의 수익률이 부동산의 그것에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말을 하고 싶었던겁니다.

 

결국 2가지 자산(주식, 부동산) 모두 "보는 눈"만 있다면 우상향이고, 엄청난 수익률을 낼 수 있다

는 게 제 생각입니다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주식 / 부동산에 유리한 점이 있긴 하죠

 

4. 주식 vs 부동산 장점

주식의 장점

  • 소액으로 시작 가능 (진입 장벽이 낮다)
  • 투자 / 현금화가 쉬움

부동산의 장점

  • 레버리지의 극대화
  • 신중한 투자

 

5. 결론

처음부터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은 정말 극소수일 겁니다.

조금씩 주식을 포함한 재테크로 시드 머니를 만들고 굴려서, 꽤 큰 자본금이 되면 그제서야 부동산에 투자가 가능해지는순서겠죠. 

 

"오히려 수익률 측면에서는 주식이 부동산보다 더 좋을 수도 있으니, (지금 할 수 있는) 주식 투자에 더욱 열심히 하는게 좋을것 같다" 가 결론입니다.

 

그리고 부동산의 장점으로는 대부분 대출을 끼고(=레버리지를 적극적으로 일으킨다) 투자를 하고,

거액이기 때문에 많은 공부와 공을 들여 매매한다는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인 것 같아요.

 

특히 레버리지는 아파트를 산다고 해도 금액의 반만 보유하고, 반은 대출로 빌려서 1~2%대의 초저금리로 이자를 내고, 집값 상승분으로 커버하면 된다는 게 주요한 개념입니다.

컨트롤이 가능한 선에서 적당히 레버리지를 일으켜서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좋을것 같네요

괜히 영끌해서 투자하는게 아니었어!

 

2022년에는 이자와 원금이 컨트롤 가능한 선에서, 어느정도 레버리지를 일으켜서 투자하고,

그걸로 투자 일지를 한번 써보는게 목표입니다.

 

그럼 끄읕!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성공적인 주식 투자를 위해선

자신이 했던 주식 매매를 모니터링하고, 이성적인 판단을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가계부를 적으면서 지출을 추적하고, 자연스레 불필요한 지출을 줄였던 효과를 되살리며

주식 매매 일지를 작성을 시작해보려고 하는데요.

 

1. 포트폴리오의 시대

이전에는 가지고 있는 주식을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목록화해서 포트폴리오로 관리해왔습니다.

구성

  • 종목명
  • 카테고리
  • 투자금액
  • 현재가
  • 보유수량
  • 수익률
  • 메모
  • 포트폴리오 카테고리별 차트

대부분은 증권사 앱으로도 볼 수 있는 정보들이고.

카테고리, 메모, 포트폴리오의 차트를 추가로 보고 싶어서 작성했던 거라 특별한 내용이라기보단

포트폴리오의 밸런스를 확인하고 추적하는 용도였습니다.

이런 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작성해서 관리하다 보니,

매매할 때마다 수동으로 동기화해주는 작업이 굉장히 수고스러워서 점점 손에서 멀어져 가...

 

2. 주식 매매 일지의 시대

매매를 자주 하는 편이 아니다 보니, 매도 타이밍을 언제 잡아야 할지 막막해지는 찰나.

내가 왜 샀고, 언제 팔지를 생각할 시간을 가져보고자 주식 매매 일지를 써보고자 합니다.

역시 모를 땐 구글링이 답이 쥬.

많은 블로그와 탬플릿을 공유해주시고 있으니, 자신에게 맞는 탬플릿을 골라서 "꾸준히" 쓰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저는 전업투자자가 아닌이상 기술적으로 너무 많은 항목이 있으면 오히려 쓸때마다 스트레스가 받을것 같아서,

일단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시작해서, 점점 항목을 늘려가는게 좋을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구성

  • 종목명
  • 매수시 => 매수일자, 매수가, 수량, 매수 이유, 예상 매도 시기
  • 매도시 => 매도일자, 매도가, 실현손익, 수익률, 매도 이유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주식을 시작하게 된 이유를 한번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1. 예금 적금 외의 다른 재테크가 필요한 이유

0~1% 초저금리 : 예적금은 돈을 안 쓰는 용도일 뿐

 

한국의 금리는 이제 제로금리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우리나라도 이제 제로금리를 향해 가는 지금! 은행 예적금(1%대)으로는 1000만원을 넣어놔도 1년에 10만원을 받을까 말까하는 초저금리 시대이죠!

10%대의 이율이라고 하면 1년에 100만원정도

 

 

2. 그렇다면 왜 주식인가?

복리야 말로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혹시 72의 법칙을 들어보셨나요?

72의 법칙은 흔히 복리로 자본이 2배가 될 때 걸리는 기간을 계산할때 사용하는 마법의 공식입니다.

 

 

 

친구A)

자산 1000만원을 1%의 수익률(예금)로 2000만원을 만들려면 => 72 / 1(이율) = 72(년)

=> 72년이 걸립니다.

 

친구B)

자산 1000만원을 10%의 수익률(주식)로 2000만원을 만들려면 => 72 / 8(이율) = 9(년)

=> 9년이 걸린다는 계산이 나오죠

=> 8%의 수익률이라면 9년마다 투자금이 2배가 됩니다.

=> 72년이면 2배가 되는게 8번정도 가능하겠죠 

=> (2의 8제곱) 7년간 무려 128배로 성장합니다

 

1000만원을 투자한 친구A가 2000만원으로 만든 72년
=
1000만원을 투자한 친구B가 12억8000만원으로 만든 72년

같은 72년이지만,

현재 예적금 이율 (1%)을 복리로 적용한 72년과

8%의 이율을 복리로 적용한 72년의 차이는 64배가 됩니다...?ㄷㄷㄷ

 

이말은 재테크를 모르고 돈 안 쓰고 예적금으로 모아도

쓸 거 다 쓰면서 재테크하는게 이득?

 

3. 그래도 주식이 무섭고 어렵다면..

하지만 8%의 높은 이율을 예적금처럼 안정적으로 주는 상품이 없으니 문제 아닌가요?

 => 1926년부터 지금까지 100년 가까이 동안 평균 수익률이 10%내외이고,

근 50년간의 수익률이 8%인 안정적이면서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는 주는 상품이 있으면 투자하시겠습니까?

S&P 500 는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로 미국 주식시장을 모두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아름다운 우상향 그래프 (S&P 500의 주가, 티커:SPY)

 

아내에게 내가 죽은 뒤 유산으로 
미국 국채에 10%를 투자하고, 나머지 90%는 전부 S&P500 에 투자하라고 말해두었다
- 워렌 버핏

물론 S&P500이라도 편차가 있기 때문에 -가 나거나 +가 더 크게 나오는 해도 있지만,

장기투자를 했을 경우 수익률은 결국 평균을 따라가게 되겠죠.

그러니, 너무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들은 S&P500 이라는 ETF를 매월 조금씩 분할 매수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건전하게만 투자하면 안정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벌 수 있다고 생각한 3년차 주린이였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