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배당 투자자들 사이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있는 ETF SCHD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SCHD는 대표적인 배당 ETF로 추천되는 상품으로, 안정성과 배당 수익률이 특징입니다.

또한, SPY와의 차이를 통해 어떤 상황에서 SCHD가 더 유리한지 살펴보겠습니다.


1. SCHD 소개

SCHD는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로,

미국 주식 중 배당 성장이 뛰어나고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우량주를 선별해 투자하는 ETF입니다.

주요 특징

  • 높은 배당 수익률: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하며, 안정적인 배당 소득을 제공합니다. (3%이상의 배당률)
  • 낮은 운용 보수: 0.06%라는 매우 낮은 운용 비용으로 비용 대비 효율이 좋습니다.
  • 다양화된 포트폴리오: 100여 개의 대형 우량주에 분산 투자합니다.

구성 종목

SCHD는 배당 안정성을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경기 변동에 강한 기업이 다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쉐브론(Chevron), 홈디포(The Home Depot), 시스코(Cisco) 같은 기업이 대표적입니다.


2. SCHD vs SPY 비교

운용 목표 고배당 및 배당 성장 중심 S&P 500 지수 추종
구성 종목 수 약 100개 기업 약 500개 기업
배당 수익률 약 3.5~4.0% 약 1.5~2.0%
성장성 낮음 (배당 안정성 위주) 상대적으로 높음 (성장주 포함)
운용 보수 0.06% 0.09%

SPY는 시장 전체를 추종하며, 배당보다는 성장성과 주가 상승을 목표로 합니다. 반면, SCHD는 고배당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한 상품입니다.


3. 어떤 경우에 SCHD가 좋은가?

  • 배당 소득을 원하는 경우: 정기적으로 현금 흐름이 필요한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 안정적인 장기 투자: 시장 변동성을 줄이면서 꾸준히 배당을 재투자하려는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 리타이어 플랜: 노후 대비를 위해 고배당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4. 어떤 경우에 SPY가 좋은가?

  • 성장주 중심의 투자: 주가 상승으로 자산을 늘리고 싶은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 분산 투자: 다양한 산업과 기업에 투자하고 싶은 분들에게 유리합니다.
  • 단기 수익 추구: 배당보다는 주가 상승을 통한 수익을 원하는 경우.

5. SPY, SCHD 매달 100만원 씩 투자했을때 예상 수익 비교

  • 아래는 SPY와 SCHD에 매달 100만 원씩 투자했을 때
    10년, 20년, 30년 후 예상되는 투자 평가액과 누적 배당금입니다.

    1. SPY: 연평균 수익률 10%, 배당수익률 1.5%
    • 총 투자금액:
    • 10년: 1억 2천만 원
    • 20년: 2억 4천만 원
    • 30년: 3억 6천만 원

    투자 기간 평가 금액 누적 배당금 총 수익 (평가액 + 배당금)
    10년 약 2억 원 약 1,276만 원 약 2억 12백만 원
    20년 약 7억 18백만 원 약 7,586만 원 약 7억 94백만 원
    30년 약 20억 62백만 원 약 2억 69백만 원 약 23억 31백만 원

    2. SCHD: 연평균 수익률 9%, 배당수익률 3.5%
    • 총 투자금액:
    • 10년: 1억 2천만 원
    • 20년: 2억 4천만 원
    • 30년: 3억 6천만 원

    투자 기간 평가 금액 누적 배당금 총 수익 (평가액 + 배당금)
    10년 약 1억 89백만 원 약 2,877만 원 약 2억 18백만 원
    20년 약 6억 38백만 원 약 1억 63백만 원 약 8억 1백만 원
    30년 약 17억 2백만 원 약 5억 48백만 원 약 22억 5백만 원

    3. 분석 및 결론
    1. SPY:
    • 높은 연평균 성장률(10%)로 장기 투자 시 자본이 크게 불어납니다.
    • 배당 수익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자산 성장에 중점을 둔 투자에 적합합니다.
    2. SCHD:
    • SPY보다 약간 낮은 자본 성장률(9%)에도 불구하고, 배당수익률이 높아 꾸준한 현금흐름을 제공합니다.
    • 배당 수익을 통한 추가 재투자 또는 생활비 충당에 유리합니다.

위 내용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한것으로 약간의 오차가 있을수 있는데,

결론은 SPY보다 수익률 자체는 낮지만, 배당률이 높아 전체 수익은 어느정도 비슷하게 나올수 있으며

장점은 확실한 현금흐름이 매달 나온다는 것입니다.


6. 결론

  • 배당 중심 투자자: SCHD
  • 성장 중심 투자자: SPY

결국, 자신의 투자 목표와 재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CHD는 배당 소득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에게 강력히 추천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2025년 새해가 밝았지만, 증시는 여전히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경기 둔화와 금리 동결 또는 인하 기대감 속에서도 하락 및 횡보장이 예상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데요.
이런 시기, 과연 어떤 투자 전략이 적합할까요?
특히 많은 투자자들이 선택하는 SPY와 SCHD를 비교해 어떤 ETF가 하락·횡보장에서 더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보수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아래에 적어놨습니다.

17. 2025년 투자전략 - 보수적인 투자 (장단기 금리차 활용)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에 있어 꼭 알아둬야 할 장단기 금리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최근 뉴스를 보다 보면, “장단기 금리차 역전”이라는 단어가 종종 나오는데요,이게 단순한 경

fire-programmer.tistory.com

 


SPY와 SCHD: 무엇이 다른가?

  1. SPY
    •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미국 대형주 전체 시장에 투자하는 효과를 가짐.
    • 장기적으로 꾸준한 우상향(평균 연8~10%)을 보여왔지만, 배당 수익률은 낮음(1% 초반).
    • 상승장에서는 높은 성장 잠재력으로 유리.
  2. SCHD
    • 미국의 고배당 성장주에 투자하는 ETF로, 배당 수익률이 높음(현재 약 3.5%).
    •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장기적으로 안정적 성과를 기대.
    • 하락·횡보장에서 배당금으로 손실을 완화하는 특징.

하락·횡보장에서 SPY vs. SCHD: 과거 데이터를 통한 비교

가정:

  • 투자 금액: 1억 원
  • 투자 시점: 2013년 (금융위기 이후 하락장)
  • 분석 기간: 10년 (2013~2022년)
연도SPY 총가치SCHD 총가치누적 배당금SCHD 총 수익
201313,000만 원12,800만 원384만 원13,184만 원
201414,560만 원14,080만 원835만 원14,915만 원
201514,706만 원14,502만 원1,313만 원15,816만 원
202230,764만 원28,602만 원6,870만 원35,472만 원

분석 결과:

  • SPY: 상승장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총 가치 약 3억 760만 원.
  • SCHD: 배당금으로 손실을 줄이고, 총 가치와 배당을 합쳐 약 3억 5472만 원.

하락·횡보장에 추천하는 투자 전략

  1. 장기 투자
    • 하락장에서 SCHD는 배당금 효과로 안정적.
    • 반면, 상승장이 예상된다면 SPY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음.
  2. 배당금 재투자
    • SCHD는 하락장에서 배당금으로 투자 손실을 보완.
    • 배당금을 재투자하면 복리 효과를 극대화 가능.
  3. 분산 투자
    • 두 ETF를 조합해 성장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
    • 예: 70%는 SPY, 30%는 SCHD로 배분.

2025년 하락장이 온다면?

올해는 경기 침체와 기업 실적 부진으로 하락·횡보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안정적 배당을 통한 수익 보전이 중요한데, SCHD가 더 적합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하락장에서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하고 배당금을 재투자하면 장기적으로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결론: 어떤 ETF를 선택할까?

  • SPY: 상승장 예상 시 선택.
  • SCHD: 하락·횡보장에서는 배당 재투자로 안정적 수익 확보.
  • 장기적 목표와 시장 상황에 따라 선택하거나, 두 상품을 적절히 혼합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2025 투자 전략

매달 100만원씩 1년간 투자 예정
기대 효과 : 현재 3.5%인 배당률이 10,20,30년 후에는 5%가 넘는 배당금이 되지않을까
"황금알을 낳는 아기 거위를 키워보자"
 
올해도 꾸준한 투자로 경제적 자유를 향해 같이 나아가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올해부터 시작한 노후 준비 프로젝트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인생을 길게 보고 20년, 30년 후를 대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매달 조금씩 꾸준히 투자하는 세 가지 방법을 선택했어요.

1. 개인연금 - S&P 500

첫 번째는 개인연금 계좌로 S&P 500 ETF에 투자하는 거예요. 개인연금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현재의 세제 혜택과 함께 복리 효과를 누리기에 정말 적합한 투자 방법이에요.

왜 S&P 500인가요?

  • S&P 500은 미국을 대표하는 500대 대형 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정적이고 꾸준히 우상향하는 투자처예요.
  • 역사적으로 연평균 수익률이 약 **7~10%**로, 장기 투자에 적합해요.
  • 전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기업들(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이 포함되어 있어서 리스크가 분산되죠.

함께 보면 좋은

 

S&P 500의 연평균 수익률은 정말 10%일까?

1. 풍문으로만 듣던 10%의 수익률 여태까지 들어온 바로는 S&P500의 연 수익률이 10%정도 된다고 알고 있었습니다. 제가 예전에 정리했던 글에도 적혀있지만 spy, S&P 500 : 워렌 버핏도 믿고 사는 미국

fire-programmer.tistory.com

 

개인연금의 장점

  • 세액공제 혜택: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납입하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복리 효과: 길게 투자할수록 수익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죠.

개인연금 알아보

 

개인 연금 저축 : 노후를 위한 준비, 하지만 30대는..?

노후를 위한 대표적인 연금의 종류는 3가지가 있습니다. 퇴직연금, 개인연금, 국민연금 직장인의 경우, 퇴직연금&국민연금은 회사에서 알아서 처리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와는 반대로개인

fire-programmer.tistory.com

 

국내에서 살 수 있는 ETF 추천

개인연금 계좌에서는 미국 주식을 직접 살 수 없으니, 국내 상장된 S&P 500 ETF를 활용하면 돼요. 대표적으로 TIGER S&P500 ETFKODEX S&P500 ETF가 있어요.


2. 개인연금 - QQQ

두 번째는 QQQ ETF에 투자하는 방법이에요. QQQ는 S&P 500보다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라고 할 수 있어요. 미국의 기술주 중심 나스닥 100 기업에 투자하기 때문에,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죠.

왜 QQQ인가요?

  • QQQ는 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어요.
  •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NVIDIA 같은 혁신 기업에 집중 투자하죠.
  • 과거 데이터에 따르면 QQQ의 연평균 수익률은 약 **12%**로 S&P 500보다 높아요.

QQQ가 궁금하다면?

 

QQQ : 나스닥 1등부터 100등 (금융주 넌 빠져)

나스닥 100지수를 추종하는 대표적인 미국 ETF Invesco에서 운용하며, 현재 미국 ETF 시총 5위 규모의 성장주 위주의 ETF! 개인적으로도 QQQ는 S&P 500과 더불어 주변 미국 주식 입문자들에게 가장 많이

fire-programmer.tistory.com

 

국내에서 살 수 있는 ETF 추천

마찬가지로 개인연금 계좌에서는 TIGER 나스닥100 ETFKODEX 나스닥100 ETF 같은 국내 상장 ETF를 이용하면 돼요.


3. 배당 ETF 투자

마지막으로 배당 ETF에 투자하고 있어요. 배당주는 단순히 주가 상승뿐만 아니라, 꾸준히 지급되는 배당금으로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는 점이 매력적이에요. 특히 저는 SCHD에 투자 중입니다.

왜 SCHD인가요?

  • 배당 수익률 약 3%: 안정적인 배당금과 함께 자산도 성장할 수 있어요.
  • 저렴한 비용: 경비율이 0.06%로 낮아서 장기 투자에 유리해요.
  • 성장성과 배당의 균형: 배당금을 받으면서도 자산도 꾸준히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죠.

SCHD 외에 비슷한 ETF 추천

SCHD 외에도 좋은 배당 ETF가 많아요:

  • VYM: 배당 수익률은 약간 낮지만, 폭넓은 종목에 분산 투자.
  • DVY: 고배당 주식에 집중하며 안정적인 배당 수익 제공.

4. 예상 수익률 비교: 매달 100만 원씩 20년 투자

가정:

  • S&P 500: 연평균 수익률 8%
  • QQQ: 연평균 수익률 12%
  • SCHD: 연평균 수익률 7%, 배당 수익률 3% 포함
  1. S&P 500 (20년 후)
    • 투자 원금: 2억 4,000만 원
    • 예상 자산: 약 5억 9,200만 원
  2. QQQ (20년 후)
    • 투자 원금: 2억 4,000만 원
    • 예상 자산: 약 8억 9,000만 원
  3. SCHD (20년 후)
    • 투자 원금: 2억 4,000만 원
    • 예상 자산: 약 4억 9,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470만 원 (월 약 122만 원)

역시나 QQQ가 수익률이 좋을수밖에 없죠. 과거데이터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생각보다는 자산이 꽤 차이가 나죠?

다만, 이전에 그렇다고 해서 앞으로도 저런 수익률이라고는 보장 할 수 없으니 고민은 필수

 

배당주로 유명한 SCHD는 예산자산 자체는 많이 오르지 못했네요.

S&P500보다는 예상 자산은 작지만, 확실한 현금흐름(배당)을 만들수 있다는 장점이 아주 매력적이네요


결론

이 세 가지 방법 모두 안정적이면서 장기적으로 자산을 키우기에 좋은 선택이에요.

개인연금은 세제 혜택과 복리 효과를 활용하기 위해 꾸준히 넣고,

배당 ETF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키우는 마음으로 장기 투자에 적합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꾸준히, 길게 투자하는 거예요.

노후 준비는 시간의 도움으로 복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자산이 되니까요.

반응형
반응형

노후를 위한 꾸준한 현금흐름, 배당주 투자가 답입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노후를 대비해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방법 중 하나로 배당주 투자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요즘 은퇴 후 경제적 자유를 꿈꾸는 분들이 많잖아요?

안정적으로 매달 들어오는 현금이 있다면 마음도 한결 편해지겠죠.

그런 의미에서 배당주 투자는 정말 매력적인 선택이에요.

특히, 미국 배당주는 안정성과 수익성 모두를 갖춘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어요.

최고의 배당주는?!

 

9. 최고의 배당주를 뽑아라! 코카콜라 vs 삼성전자(워렌버핏 vs 재드래곤)

최고의 투자자 워렌버핏이 배당금으로 2년마다 원금 회수하는 주식 = 코카콜라위의 내용을 요약하면, 지금으로부터 30년전에 투자를 했다고 하고, 현재 기준으로 배당률이 50%가 넘는다고 합니다

fire-programmer.tistory.com

 

황금알을 낳는 거위에 대한 목표를 잡기전에 보면 좋은글

 

5. 내가 10억을 모으려면 얼마나 걸릴까

10억이 가지는 의미는 여러 의미가 있습니다.FIRE족을 꿈꾼다면 나의 조기 은퇴를 시켜주는 은퇴 자금이 되기도 하겠죠   그렇다면 평범한 직장인이 월급을 모아서 10억을 모으기 위해 얼마나

fire-programmer.tistory.com

 

 

4. FIRE 운동 : FIRE족이 온다 - 얼마를 모으고, 얼마를 써야 은퇴가능한가

FIRE 가 무엇이냐FIRE 운동 : Financial Independence & Retire Early직역하자면, 경제적 독립을 해서 이른 나이에 은퇴하자는 운동입니다.정년까지 일하지 않고 최소한의 지출만 하고 임금의 70%가량을 저축

fire-programmer.tistory.com



1. 왜 미국 배당주에 투자해야 할까요?

1. 안정성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고, 안정적인 기업들이 많아요. 특히 배당을 꾸준히 지급하는 회사들은 재무 구조가 탄탄한 경우가 대부분이라 리스크가 적습니다.
2. 수익성
미국 배당주는 매년 배당금을 증가시키는 기업들이 많아요. 이른바 **배당 귀족주(Dividend Aristocrats)**들이죠. 이런 기업들에 투자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배당 수익률도 함께 높아져요.

 


2. 배당 투자의 쉬운 방법: 미국 배당 ETF

“직접 기업을 고르는 게 어렵다” 하시는 분들께 추천드리는 방법이 ETF 투자예요.

미국에는 배당주에 특화된 ETF들이 많아서 소액으로도 손쉽게 분산 투자할 수 있거든요.
여기 대표적인 미국 배당 ETF들을 소개할게요.
1. Vanguard High Dividend Yield ETF (VYM)
• 주요 특징: 대형 우량주 위주로 구성. 안정성과 배당률의 균형이 뛰어남.
• 2024년 기준 배당 수익률: 약 3%


2. iShares Select Dividend ETF (DVY)
• 주요 특징: 배당 지급 이력이 긴 기업에 집중. 높은 배당률이 장점.
• 2024년 기준 배당 수익률: 약 3.5%


3.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SCHD)
• 주요 특징: 배당 성장성과 배당률 모두 뛰어난 기업 위주.
• 2024년 기준 배당 수익률: 약 3.7%

이 중에서도 개인적으로 SCHD를 추천드려요. 배당 수익률이 높을 뿐 아니라, 과거 10년 동안 꾸준히 좋은 성과를 보여줬거든요.

 


매달 100만 원 투자하면 얼마나 벌 수 있을까?

매달 100만 원씩 투자했을 때 배당 수익금

  1. VYM (배당 수익률 2.84%)
    • 10년 후:
      • 예상 자산: 1억 6,7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474만 원 (월 약 39만 5천 원)
    • 20년 후:
      • 예상 자산: 4억 9,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391만 원 (월 약 116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10억 6,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3,010만 원 (월 약 250만 원)
  2. DVY (배당 수익률 3.38%)
    • 10년 후:
      • 예상 자산: 1억 5,8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534만 원 (월 약 44만 5천 원)
    • 20년 후:
      • 예상 자산: 4억 4,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487만 원 (월 약 124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9억 2,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3,110만 원 (월 약 259만 원)
  3. SCHD (배당 수익률 3%)
    • 10년 후:
      • 예상 자산: 1억 7,4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522만 원 (월 약 43만 5천 원)
    • 20년 후:
      • 예상 자산: 5억 8,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740만 원 (월 약 145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13억 5,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4,050만 원 (월 약 338만 원)

10년간 투자 후 추가 매수 없이 보유했을 때 배당 수익금

  1. VYM (배당 수익률 2.84%)
    • 20년 후:
      • 예상 자산: 3억 2,8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932만 원 (월 약 77만 5천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6억 4,4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828만 원 (월 약 152만 원)
  2. DVY (배당 수익률 3.38%)
    • 20년 후:
      • 예상 자산: 3억 1,2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055만 원 (월 약 88만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6억 1,6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2,081만 원 (월 약 173만 원)
  3. SCHD (배당 수익률 3%)
    • 20년 후:
      • 예상 자산: 3억 9,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1,170만 원 (월 약 97만 5천 원)
    • 30년 후:
      • 예상 자산: 7억 8,000만 원
      • 연간 배당금: 약 2,340만 원 (월 약 195만 원)

결론

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거예요. 미국 배당주는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잡을 수 있는 투자처로, 특히 ETF 투자는 초보자들에게도 쉬운 선택이 될 수 있답니다. 매달 100만 원씩 투자하면서 시간과 복리의 힘을 믿는다면, 20~30년 뒤에는 여러분도 경제적 자유에 가까워질 수 있을 거예요.

오늘부터 조금씩 준비해보는 건 어떠세요? 여러분의 노후가 더 행복해지길 응원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