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투자론

18. 내가 사용하는 가장 간단하면서, 잘 먹히는 주식 매도 전략 (RSI)

주식쟁이 개발자 2025. 1. 15. 17:55
반응형

안녕하세요! 은둔형 관종입니다.

오늘은 레버리지 ETF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효율적인 매도 전략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해요.

저처럼 TQQQ, SOXL, FNGU 같은 3배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분들은 매도 타이밍 잡기가 정말 어렵죠?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목표 수익률 기반, RSI 기반, 기간 기반 매도 전략을 조합한 복합 매도 전략을 소개할게요.

 

19. 2월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 재매수를 위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해야 할 때

안녕하세요, 투자자 여러분! 오늘은 2월의 미국 주식시장 투자 전략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특히, 2월에 보유한 주식을 일부 매도하는 전략이 왜 유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최근 시장 동

fire-programmer.tistory.com

 

 


진짜 이 글을 쓴 이유!

2025-01-03에 RSI 지수가 높아져서 300만원이상의 수익을 얻고 매도!(soxl,bulz)

하지만 1~2영업일 뒤에 수익률이 2.5배가 되어 배가 아픈 상황!(2025-01-06)

전략을 세우고 글을 작성하는 2025-01-10 현재 기준,, 주식이 급락하면서..

내가 판 그 곳이 어깨였음을 알게되었다 (머쓱)

나쁘지 않았네요. 허나 매도 전략을 실제로 세워두면 나쁠게 없죠!

마저 작성합니다 

 

1. 나의 투자 스타일

  • 종목 - tqqq soxl fngu 같은 세배 레버리지를 주로 투자
  • 매수 포인트 - (계속 주시중에)우상향 한다는 믿음으로 RSI 지수가 40이하로 내려갈때 주로 매수 (특히 급락직후)
  • 매도 포인트 - RSI 지수70 넘어갈때 주로 매도
  • 강점 - 하락장이나 공포감이 시장에 있을때 잘 버티고,매수도 잘 하는 편
  • 개선 포인트 -
    매수 포인트는 무릎에서 잘사는데, 매도 포인트를 현재 가슴정도에서 파는듯. 어깨까지 높여보자!

 

2. 계기

이번 글을 쓰게 된 계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매수 포인트는 잘 잡는 편이지만, 매도 포인트를 조금 더 잘 잡고 싶다

rsi 지수를 주로 보고 우상향한다는 믿음아래 50아래로 떨어지면 조금씩 사모으다가 오래동안 들고 엄청올랐을때까지 잘 버팀.

근데 rsi기 떨어지면 더 사 모으면 되는데, 매도를 못 한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매도 포인트를 한번 놓쳤을때에 다음 사이클까지 투자금과 기회비용이 묶여있는게 아쉬움

그렇다면 분할매도가 좋을까.

그럴 경우 또 수일 덜 먹는 경우도 있긴하지만 안전하니까.. 어떤 전략이 나에게 어울릴까

 

아래는 매도에 대한 현재 저의 상태이면서 추구하는 방향입니다

  • 목표 수익률은 없음 (보유기간도 3주에서 2년까지 다양한데 대부분은 3-6달 정도 안에 매도 하는편)
  • 보통은 1~2번정도에 매도 (분할매도하는것에 대한 결과론적인 장단점은 있지만..)
  • 상승사이클때 팔지 못해서 1년이상 길게 장투해서 그 비슷한 고점 근처까지 가거나 혹은 1년이상 장투하다가 결국 손절하고 다른 더 떨어진 주식우로 갈아타서 성공하는적도 있음
  • 레버리지 리스크는 알고 있지만 안전하게 우상향하는 상품이라 사실 크게 우려하진 않음 => 대부분 이득
    결국 올라갈 etf이고 수수료나 레버리디로 깎이는겅 감안해도 훨씬 더 많은 수익율을 기록

3. 기본 매도 전략: 세 가지 기준

주로 사용할 매도 기준은 크게 세 가지예요.

a. 목표 수익률 기반

• 목표 수익률을 30%, 50%, 70%로 설정해 각각의 구간에서 1/3씩 분할매도하는 방식이에요.
• 이렇게 하면 급등장에서 빠르게 수익을 확보할 수 있어요.

b. RSI 기반 매도

• RSI가 70 이상으로 과매수 상태에 진입할 때 분할매도를 시작해요.
• 상승장에서 RSI가 더 높아질 수 있지만, 최소한 일부 수익을 확정짓는 데 유리하죠.

3. 기간 기반 매도

• 보유 기간이 3개월을 넘기면 분할매도를 시작하는 전략이에요.
• 3배 레버리지는 장기 보유 시 손실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일정 기간 이후에는 반드시 일부 수익 실현이 필요하다고 봐요.

 

4. 복합 매도 전략: 세 가지 전략을 조합

위 세 가지 기준을 조합하면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요.

매도 비율 설정

1. 급등장(강한 상승장)
• 목표 수익률 50% 달성 시 50% 매도 → RSI 80 도달 시 30% 매도 → 3개월 보유 시 나머지 20% 매도
2. 완만한 상승장
• 목표 수익률 30% 달성 시 30% 매도 → RSI 70 도달 시 30% 매도 → 3개월 보유 시 나머지 40% 매도
3. 횡보 또는 약한 상승장
• 3개월 보유 시 50% 매도 → 목표 수익률 20% 달성 시 30% 매도 → RSI 70 도달 시 나머지 20% 매도

상승장 강도 판단 기준

• 급등장: 한 달 내 수익률이 20% 이상 증가할 때
• 완만한 상승장: 3개월 내 수익률이 10~20% 증가할 때
• 횡보장: 3개월 내 수익률이 10% 이하일 때

 

이렇게 하면 좋은 이유

1. 기회비용 최소화
• 상승장에서 일부 수익을 확정 지어 다음 투자 기회를 잡을 수 있어요.
2. 리스크 관리
• 3배 레버리지는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일정 수익 실현이 필수입니다.
3. 심리적 안정감
• 분할매도 덕분에 고점에서 매도하지 못했다는 아쉬움을 줄일 수 있어요.
4. 나만의 매도 전략 한 줄 요약

 

5. 결론 : 나의 매도 전략

RSI + 목표 수익률 or 보유 기간을 기준으로 2단계 분할매도!

  • RSI : 70%돌파시 70%
  • 목표 수익률(30%)/보유기간(3달) 달성시 30%


올해는 상승장과 횡보장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런 복합 매도 전략을 잘 활용한다면 더 안정적으로 수익을 실현할 수 있을 거예요.

여러분도 자신만의 매도 기준을 세워서 꾸준히 실천해보세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년에도 함께 성공 투자해봐요! 😃

 

반응형